[include(틀:슈츠슈타펠/장성급 지휘관)] ||<-2>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오토 쿰.jpg|width=100%]]}}}|||| ||<#666> {{{#FFF 이름}}} ||'''Otto Kumm'''[br] 오토 쿰|| ||<#666> {{{#FFF 출생}}} ||[[1909년]] [[10월 1일]], [[독일 제국]] 함부르크 || ||<#666> {{{#FFF 사망}}} ||[[2004년]] [[3월 23일]] (향년 94세), [[독일]] 오펜부르크 || ||<#666> {{{#FFF 복무}}} ||[[슈츠슈타펠]] (1934년 ~ 1945년) || ||<#666> {{{#FFF 최종계급}}} ||[[슈츠슈타펠]] [[무장친위대]] [[소장(계급)|소장]] (여단지도자) || ||<#666> {{{#FFF 주요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 ||<#666> {{{#FFF 주요 서훈}}} ||[[철십자 훈장|기사십자 철십자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치 독일]]의 친위대 [[소장(계급)|소장]]. == 초기 행적 == [[함부르크]]에서 태어난 쿰은 [[1934년]]에 친위대 특무부대인 <게르마니아>연대에 입대해 [[나치당]]에 입당 후 친위대에 가입하였다. [[1935년]] [[7월]]에 친위대 중위, [[1936년]] [[9월]]에 친위대 대위가 된 쿰은 [[1936년]] [[12월]]에 [[뮌헨]]에서 도이칠란드 연대에 이동하였다가 [[1938년]] [[3월]]에 데어 퓌러[* 후에 제 2 SS 기갑사단 다스 라이히 산하연대]연대에서 중대장이 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 || [[파일:플렙스 쿰.jpg|width=100%]] || || [[슈츠슈타펠|SS]][[대장(계급)|대장]] [[아르투어 플렙스]]와 쿰 || [[폴란드 침공]]과 [[1940년]]의 [[프랑스 침공]]에 종군한 쿰은 유능한 중대장으로 활약했는데 [[1940년]] [[10월]]에 소령으로 진급한 후 [[1941년]] [[6월]]부터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동부전선]]으로 이동하여 [[1941년]] [[7월]]에 데어 퓰러의 연대장이 되었다. [[동부전선]]에서 혁혁한 전공으로 인해 [[1941년]] [[10월]]에 친위대 중령으로 승진한 쿰은 [[1941년]] [[11월 29일]]에 독일 철십자 훈장을 받고 [[1942년]]엔 기사 철십자장을 받았다. [[1943년]] [[4월 6일]]에 기사 철십자장 백엽훈장을 받은 쿰은 대령으로 승진 후 [[1943년]] 여름부터 제5 SS 산악사단의 참모장으로 일한 후 제7 SS 산악사단으로 이동해 빨치산 토벌작전에 참가했다. 이 사단은 악명높은 학살로 유명했는데 쿰도 이 학살에 깊이 관여했다. [[1944년]] [[1월 30일]]에 친위대 상급대령이 된 쿰은 프린츠 오이겐 사단의 사단장이 되었다. 쿰의 사단은 [[발칸반도]]에서 [[소련군]]에게 밀려 [[헝가리]]로 후퇴했는데 [[1944년]] [[11월 9일]]에 친위대 소장 및 무장친위대 소장으로 임명된 쿰은 [[1945년]] [[2월 6일]]부터 패전까지 제1 SS기갑사단 LSSAH의 사단장을 지냈다. [[1945년]] [[3월 17일]]에 기사철십자 훈장 백엽장 검장을 수상한 쿰은 [[1945년]] [[5월 8일]]에 [[미군]]의 포로가 되었다. == 전후 행적 == 그는 [[전범]]으로 [[유고슬라비아]]에 넘겨질 예정이었지만 쿰은 그 전에 탈주하여 전후 인쇄소에서 일했다. 쿰은 후에 <전직 무장친위대 대원상호원조협회>를 창설하여 역사 왜곡을 주도했다. 이후 [[2004년]]에 사망하였다. [[분류:1909년 출생]][[분류:2004년 사망]][[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나치당원]][[분류:친위대(나치 독일)/인물]][[분류:함부르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