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음악 및 연극의 장르를 다룹니다. 다른 의미, rd1=오페라(동음이의어))] [목차] == 개요 == 16세기 말 [[이탈리아]] 음악극의 흐름을 따르고, 전부 또는 일부 대사가 노래로 표현되어 있는 음악극. 가극[* [[歌]][[劇]]. 다만, 가극은 좁은 의미에서는 징슈필(Singspiel)이라는 단어의 번역어로만 쓰이는 경향이 있다. 악극[[樂]][[劇]] 이라는 단어가 좁은 의미에서 [[리하르트 바그너|바그너]]가 주창한 무지크드라마(Musikdrama) 라는 단어의 번역어로만 쓰이는 것과 비슷하다.][* 실제로 전공자들은 오페라와 징슈필과 무직드라마라는 용어를 모두 다른 것으로 인지하고 사용하지만, 넓은 의미에서 노래로 연기하는 극 장르를 전반적으로 지칭하는 가장 보편적인 용어가 오페라이기는 하다.]이라고도 한다. 오페라가 가지는 특이점은 아무래도 '[[레치타티보]]'. 그러니까 음악이 끊어지고 이야기를 하는 부분이다. 오페라는 이탈리아와 [[독일]][* 독일에서 파생된 징슈필과 무지크드라마를 제외하고서도 상당히 많은 오페라가 독일(오스트리아 포함) 작곡가의 손에서 탄생했다.]에서 특히 발전된 장르이다. 근대 이전에는 이탈리아 오페라가 주류였으나, 근대에 접어들어 독일권의 음악 수준이 크게 성장하면서 독어권의 오페라 비중도 커진 것이다. 오페라의 기원은 [[피렌체]]의 바르디 백작의 저택에 있던 카메라타(camerata)라는 단체[* 이 단체에 속했던 사람 중에 하나가 빈센초 갈릴레이(Vincenzo Galilei, 1520~1591)라는 사람인데, 바로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아버지 되시겠다!]에서 그리스 비극을 재현하기 위해 쓰인 다프네(1598)다. 하지만 악보가 남아있지를 않고, 오늘날까지 악보가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오페라는 에우리디체(1600). 하지만, 작품성 등을 따질 경우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의 오르페오(1607)를 오페라의 시작으로 보기도 한다. 자세한 오페라의 기원을 보고 싶으면 [[바로크 음악]] 항목 참조. == 역사 == 오페라는 [[그리스 비극]]에서 기원된 것이다. 따라서 초창기에는 신과 영웅의 장엄한 이야기가 주제가 되고, 이런 탓에 진지한 편이다. 이를 정가극, 혹은 오페라 세리아라고 부른다.[* [[프리드리히 니체]]는 [[바그너]]의 오페라를 제외한 여타 오페라들은 그리스 비극에서 기원한 것도 아니고 그리스 비극 만큼이나 삶의 고통과 모순을 드러내지 못하는 저급한 예술 장르 취급하였다.] 이후 진지함보다 재미를 추구하는 세속 취향의 오페라가 등장한다. 이를 희가극, 오페라 부파라고 한다. 이와 별개로 좀더 민중친화적인 음악극의 흐름도 있었는데, 독일 징슈필(Singspiel) 따위이다. 19세기 초 벨칸토 오페라가 그 영향. 그 뒤 베르디와 바그너가 오페라를 양분하고, 푸치니가 활약한다. 20세기 초는 오페라의 황금기라 할 수 있다. 이 뒤로도 오페라가 작곡되기는 했지만([[리하르트 슈트라우스]], 한스 베르너 헨체 등) 영화와 뮤지컬에게 자리를 내어주고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시작하는데, 이는 신작으로서의 발전보다는 스타일의 변화로 보인다. 다만 오페라처럼 처음부터 끝까지 노래로만 진행되는 성스루 [[뮤지컬]]의 경우 오페라와 다름 없다고 보는 사람들도 있고, 구성과 음악 면에서도 오페라에 가까우면서 [[락 음악]]을 이용한 뮤지컬들을 두고 '[[https://en.wikipedia.org/wiki/Rock_opera|락 오페라]]'라는 표현이 쓰이기도 한다. === 바로크 시대 === 주요 작곡가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안토니오 비발디]], [[니콜라 포르포라]],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요한 아돌프 하세]] 등 === 고전파 시대 === 주요 오페라 작곡가: [[모차르트]], [[하이든]], [[베토벤]], [[로시니]] === 낭만파 시대 === 로시니 === 이후 현대까지 === == 장르 == === 오페라 세리아 === === 오페라 부파 === [[오페라 부파]] 항목 참조 == 시대별 주요 작품 목록 == === 17세기 주요 작품 === * [[오르페오(몬테베르디)|오르페오]] - [[몬테베르디]] (1607) * [[폼페오]] -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1683) * [[로데리코]] - [[프란체스코 가스파리니]] (1686, 1694) * [[디도와 아이네이아스]] - [[헨리 퍼셀]] (1689) === 18세기 주요 작품 === * [[나를 울게 하소서|리날도]]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1711) * [[다리우스의 대관식]] - [[안토니오 비발디]] (1717) * [[그리셀다]] -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1721) * [[오토 대제|오토네]]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1723) * [[율리우스 카이사르|줄리오 체사레]]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1724) * [[템페의 도릴라]] - [[안토니오 비발디]] (1726) * [[광란의 오를란도]] - [[안토니오 비발디]] (1727) [* RV 728. 1714년 버전인 RV 819도 존재한다.] * [[파르테노페]]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1730)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아르타세르세]] - [[레오나르도 빈치]] (1730) * [[데메트리오]] - [[레오나르도 레오]] (1732) * [[시로에, 페르시아의 왕]] - [[요한 아돌프 하세]] (1733, 1763) * [[마님이 된 하녀]] -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지]] (1733) * [[폴리페모]] - [[니콜라 포르포라]] (1735) * [[그리셀다]] - [[안토니오 비발디]] (1735) * [[테미스토클레스]] - [[안토니오 칼다라]] (1736) * [[레우키포스|레우치포]] - [[요한 아돌프 하세]] (1747) * [[마르쿠스 아틸리우스 레굴루스|아틸리오 레골로]] - [[요한 아돌프 하세]] (1750) * [[중국 여자]] -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 (1754) *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 (1762) * [[피라모와 티스베]] - [[요한 아돌프 하세]] (1768) * [[루지에로]] - [[요한 아돌프 하세]] (1771) * [[알바의 아스카니오]]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1771) * [[타우리스의 이피게네이아]] -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 (1779) * [[차이데]]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1779~80) * [[후궁으로의 도피]]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1781~82) * [[피가로의 결혼]]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1785~86) * [[돈 조반니]]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1787)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오페라#s-2.3.3|코지 판 투테]]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1789~90) * [[티토 황제의 자비]]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1791) * [[마술피리]]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1791) === 19세기 주요 작품 === * [[세미라미데]] * [[피델리오]] * [[세빌리아의 이발사]] * [[기욤 텔 서곡|빌헬름 텔]] * [[마탄의 사수]] * 마농 * [[노르마(오페라)|노르마]] * [[몽유병의 여인]] * [[청교도(오페라)|청교도]] * [[사랑의 묘약]] * [[샤무니의 린다]] * [[안나 볼레나]] * [[마리아 스투아르다]] * [[로베르토 데브뢰]] *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 [[돈 파스콸레]] * [[나부코]] * [[루슬란과 류드밀라]] * [[방황하는 네덜란드인(바그너)|방황하는 네덜란드인]] * [[탄호이저(바그너)|탄호이저]] * 타이스 * [[맥베스(베르디 오페라)|맥베스]] * [[로엔그린(오페라)|로엔그린]] * [[리골레토]] * [[일 트로바토레]] * [[라 트라비아타]] * [[파우스트]] * [[트리스탄과 이졸데]] * 팔려간 신부 * [[뉘른베르크의 명가수]] * [[시몬 보카네그라]] * [[가면 무도회]] * [[아이다(오페라)|아이다]] * [[에르나니]] * [[조반나 다르코]] * 오리 백작 * 아르미다 * 보리스 고두노프 * [[박쥐(오페레타)|박쥐]] * [[카르멘]] * [[니벨룽의 반지]] * [[예브게니 오네긴]] * 호프만의 이야기 * [[파르지팔(바그너)|파르지팔]] * [[돈 카를로스]] * [[오텔로]] *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 이고르 공 * 연대의 딸 * 운명의 힘 * [[스페이드의 여왕]] * [[팔리아치]] * 라 보엠 * 안드레아 셰니에 * [[페도라(오페라)|페도라]] * 라 조콘다 * 메피스토펠레 * [[토스카]] === 20세기 주요 작품 === * 아드리아나 르쿠브뢰르 * 펠리아스와 멜리장드 * 예누파 * [[나비부인]] * [[살로메(오페라)|살로메]] * 엘렉트라 * [[장미의 기사]] * 낙소스의 아리아드네 * 수녀 안젤리카 * 푸른 수염의 성 * 3개의 오렌지를 향한 사랑 * 오이디푸스 왕 * [[보체크]] * 모세와 아론 * [[자니 스키키]] * [[투란도트]] * 므첸스크의 멕베스 부인 * 포기와 베스 * [[룰루]] * [[전쟁과 평화]] * 난봉꾼의 행각 * 피터 그라임즈 * 빌리 버드 * 병사들 * 불관용 1960 * [[리게티#s-3.2.5|르 그랑 마카브르]] * [[해변의 아인슈타인]] * 국립극장 * 바사리드 * 닉슨 인 차이나 === 21세기 주요 작품 === * 먼 곳에서의 사랑 - 카이야 사리아호 (2000) * [[데드 맨 워킹]] - 제이크 헤기 (2000) * [[빛(오페라)|빛]] -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 (1977-2003) * [[로스트 하이웨이]] - 올가 노이비르트 (2002-03)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오페라)|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진은숙]] (2004-07) *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원자폭탄 박사]] - [[존 쿨리지 애덤스]] (2004-05) * [[안나 니콜 스미스|안나 니콜]] - 마크앤서니 터니지 (2008-10) * [[메데이아|메데아]] - 아리베르트 라이만 (2010) * 리튼 온 스킨 - 조지 벤자민 (2012) * [[마리아 막달레나#s-4.1|마리아 막달레나 복음서]] - [[존 쿨리지 애덤스]] (2012) * [[완벽한 미국인]] - [[필립 글래스]] (2011–12) * 황금용 - 페테르 외트뵈시 (2013-14) * 왼손잡이 - 로디온 셰드린 (2012-13) * 절멸의 천사 - 토마스 아데스 (2015-16) * [[햄릿]] - 브렛 딘 (2013-16) * 승부의 종말 - 죄르지 쿠르타그 (2017) * [[에우리디케|유리디시]] - 매튜 오코인 (2019) == 여담 == [[오페라의 유령]]은 오페라가 아니라, 오페라를 소재로 한 [[소설]]을 원작으로 만들어진 [[뮤지컬]]이다.[* 오페라의 유령은 사실 '오페라 극장의 유령'을 뜻하고, 극중극으로 오페라가 3편 나오긴 한다.] 가끔 오페라나 오라토리오의 [[아리아]]를 오페라라고 잘못 알고 있는 경우도 보인다. [[http://mynotepad.tistory.com/389|오페라와 뮤지컬의 다른 점.]] 세계 최고 수준의 오페라를 볼 수 있는 극장은 빈 슈타츠오퍼(국립오페라), 베를린 슈타츠오퍼, 밀라노 라 스칼라 오페라를 비롯하여 드레스덴 젬퍼오퍼, 뮌헨 바이에른 슈타츠오퍼,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런던 로열 오페라(코벤트 가든), 베를린 도이취 오퍼, 취리히 오페라 등이 있다. 번외로 [[바이로이트 페스티벌|바이로이트]]는 [[바그너]] 전용 극장.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오페라(동음이의어) ,version=50)] [[분류:오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