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02년부터 2007년까지 펼쳐진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하부 리그로 규칙은 아래와 같다. * 예선을 통과한 24명이 챌린지리그 본선에 진출[* 잠시 전년도 듀얼 토너먼트 최종전 패자 6명이 챌린지리그 본선에 시드되고 예선에서 18명만 진출시킨 적이 있었다.] * 6개조 듀얼 토너먼트를 펼쳐 조 1위(승자전 승자)는 순위 결정전, 조2위(최종전 승자)는 듀얼 토너먼트로 진출[* 2002년 1차 챌린지리그에서는 조별 풀리그로 진행되었으며, 조 1위의 스타리그 직행이 존재하지 않았다.] * 각조 1위 6명이 순위결정전을 펼쳐 1위를 한 선수가 4번 시드로 차기 스타리그로 진출, 나머지 5명은 [[듀얼 토너먼트]]로 진출 2005년 듀얼 토너먼트 1라운드라는 이름으로 듀얼 토너먼트에 편입되었다가 2007년과 2008년 부활하였으나, 스타리그가 1차 본선, 36강 체제로 변화하면서 챌린지는 폐지되었다. 이후 [[진에어 스타리그 2011]]에서 16강으로 환원되고 듀얼 토너먼트 제도가 부활했음에도 불구하고 챌린지리그는 끝까지 재개되지 못했다. == 역대 챌린지리그 == === 2002 1st 챌린지리그 : 2002년 4월 9일 ~ 2002년 6월 8일 === 6개조 24강 풀리그를 진행하여 듀얼 토너먼트 진출자를 가려냈다. 출전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진출자는 볼드체로 표시) || A조 || '''[[강민]]''',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베르트랑]]''', 한정근, 김현철 || || B조 || '''[[김완철]]''', '''[[주진철]]''', 심성수, [[오창종]] || || C조 || '''[[장진수]]''', '''[[최수범]]''', [[임성춘]], 민광현 || || D조 ||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박정석]]''', 김시훈, 주한진 || || E조 || '''조성봉''', '''[[서지훈]]''', [[박태민]], [[이운재(프로게이머)|이운재]] || || F조 || '''[[이현승(프로게이머)|이현승]]''', '''[[장진남]]''', [[황영재]], 박현준 || 자세한 대진은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대진표#s-2|항목]] 참조. === 2002 2nd 챌린지리그 : 2002년 7월 6일 ~ 2002년 9월 10일 === * 공식맵 - 개마고원, 네오 비프로스트, 네오 포비든존, 네오 버티고 * A그룹 순위결정전 - [[임성춘]], [[손승완]], [[김현진(e스포츠)|김현진]] * B그룹 순위결정전 - [[김완철]], 박현준,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4번 시드 결정전 -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3:1 [[임성춘]] 자세한 대진은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대진표#s-2|항목]] 참조. === 2002 3rd 챌린지리그 : 2002년 10월 19일 ~ 2002년 12월 31일 === * 공식맵 - 개마고원, 네오 비프로스트, 네오 포비든존, 아방가르드2 * A그룹 순위결정전 - [[전태규]], [[박용욱]], [[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 * B그룹 순위결정전 - [[강민]], [[박상익]], [[장진수]]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4번 시드 결정전 - [[박용욱]] 3:2 [[강민]] 자세한 대진은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대진표#s-2|항목]] 참조. === 2003 1st 챌린지리그 : 2003년 2월 16일 ~ 2003년 4월 22일 === * 공식맵 - 기요틴, 개마고원, 신 개마고원, 노스텔지아, 네오 비프로스트, 아방가르드2 * A그룹 순위결정전 - [[주진철]], 심성수, [[손승완]] * B그룹 순위결정전 - [[나경보]], [[이주영(프로게이머)|이주영]], [[박정석]]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4번 시드 결정전 - [[주진철]] 3:2 [[나경보]] 자세한 대진은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대진표#s-2|항목]] 참조. === 2003 2nd 챌린지리그 : 2003년 7월 17일 ~ 2003년 10월 14일 === * 공식맵 - 기요틴, 신 개마고원, 노스텔지아, 패러독스 * 순위결정전 - [[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 [[변은종]], [[이재훈(1981)|이재훈]], [[조정현(프로게이머)|조정현]], [[최우범]], [[박태민]]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4번 시드 결정전 - [[박태민]] 3:0 [[변은종]] 24강 최종 진출전은 3판 2선승제로 진행되었다. 자세한 대진은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대진표#s-2|항목]] 참조. === 2003 3rd 챌린지리그 : 2003년 12월 9일 ~ 2004년 3월 2일 === * 공식맵 - 노스텔지아, 네오 기요틴, 패러독스 2, 남자이야기 * 순위결정전 - [[이병민]], [[최연성]], [[변길섭]],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이재훈(1981)|이재훈]] [[Gillette 스타리그 2004]] 4번 시드 결정전 -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3:1 [[변길섭]][* 서지훈은 유일하게 챌린지리그를 2번 우승한 선수이자 결승을 2번 가본 4명 중 1명이다. 나머지 3명은 유일하게 2회 준우승을 달성한 [[강민]]. 그리고 우승과 준우승 1회씩 달성한 [[안기효]]와 [[염보성]].] 자세한 대진은 [[Gillette 스타리그 2004/대진표#s-2|항목]] 참조. === 2004 1st G-Voice 챌린지리그 : 2004년 4월 20일 ~ 2004년 7월 13일 === * 공식맵 - 노스텔지아, 레퀴엠, 머큐리, 남자이야기 * 순위결정전 - [[신정민]], [[이주영(프로게이머)|이주영]], [[임요환]], [[안기효]], [[박영훈(프로게이머)|박영훈]], [[홍진호]] * 6주차 지방투어 장소 - 경상남도 김해 김해체육관 [[EVER 스타리그 2004]] 4번 시드 결정전[* 챌린지리그 결승전 중 유일한 3전 2선승제 경기다.] * 준결승전 [[임요환]] 1:0 [[박영훈(프로게이머)|박영훈]] / [[신정민]] 1:0 [[이주영]] * 결승전 [[임요환]] 2:1 [[신정민]] 챌린지리그 최초로 스폰서가 붙은 대회이자 '온게임넷 챌린지리그'라는 타이틀을 가진 마지막 대회로 보이스채팅 서비스인 G-Voice가 스폰서를 맡았으며, 이 대회부터 챌린지리그도 스타리그와 앰블럼을 공유하여 사용했다. 상징색은 주황색이다. 그리고 24강 경기중 승자전 경기 일부를 김해에서 진행해 하부리그 사상 최초로 지방투어 경기를 가졌다.[* 이후 하부리그에서 지방 투어를 실시한건 2005 1st ATI배 서바이버리그에서 부산 국립 [[한국해양대학교]] 특설무대에서 한 번(1라운드 6주차), 2005 2nd MBC무비스배 서바이버리그에서 대전 [[충무체육관]]에서 한 번(2라운드 조별 승자전 1주차), 광주 [[염주체육관]]에서 한 번(3라운드 조별 승자전 1주차)씩 진행하였다.] 또한 이 대회 순위결정전 6강 풀리그에서 '''사상 처음으로 4인 동률이 나왔다.'''[* 6강 풀리그 결과 임요환, 이주영, 신정민, 박영훈 이 네 선수가 3승 2패로 동률이었다. 참고로 홍진호는 2승 3패, 안기효는 1승 4패로 순위결정전 경기를 마쳤다.]그래서 챌린지리그 결승전인 4번 시드 결정전 경기는 4명의 선수가 단판 경기후 그 승자가 3전 2선승제로 경기해서 승자가 4번 시드를 얻었다. 자세한 대진은 [[EVER 스타리그 2004/대진표#s-2|항목]] 참조. === 2004 2nd 게임빌 챌린지리그 : 2004년 8월 24일 ~ 2004년 11월 23일 === * 공식맵 - 레퀴엠, 비프로스트3, 머큐리, 펠레노르 * 순위결정전 -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정영주(프로게이머)|정영주]], [[김근백]], [[최우범]], [[한승엽(게임 해설가)|한승엽]], [[김현진(e스포츠)|김현진]] [[IOPS 스타리그 04~05]] 4번 시드 결정전 -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3:2 [[김근백]] 자세한 대진은 [[IOPS 스타리그 04~05/대진표#s-2|항목]] 참조. === 2004 3rd CYON 챌린지리그 : 2004년 12월 10일 ~ 2005년 2월 8일 === * 공식맵 - 레퀴엠, 알케미스트, 비프로스트3, 네오기요틴, 발해의 꿈 * A그룹 순위결정전 - [[이재훈(1981)|이재훈]],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김준영]] * B그룹 순위결정전 - [[송병구]], [[손영훈]], [[변형태]] [[EVER 스타리그 2005]] 4번 시드 결정전 - [[송병구]] 3:1 [[이재훈(1981)|이재훈]] 이 대회부터 순위결정전 방식을 6명이 각조 3인씩 한 조를 이뤄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하여 조 1위 선수가 나올 때 까지 진행했다. 당시 갓 신인이던 [[송병구]]의 업셋이 나온 대회가 바로 이 대회.[* 당시 [[송병구]]가 조 승자전에서 꺾고 순위 결정전 직행을 결정지었을 당시의 상대가 바로 [[서지훈]]. 이 때문에 서지훈은 순위 결정전에 진출하지 못하고 최종전에서 승리를 거두고 듀얼 토너먼트에 가야했다.] 자세한 대진은 [[EVER 스타리그 2005/대진표#s-2|항목]] 참조. === 2005 1st Daum 다이렉트 듀얼 토너먼트 1라운드 : 2005년 4월 13일 ~ 2005년 5월 14일 === * A그룹 순위결정전 - [[안기효]], [[임요환]],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 B그룹 순위결정전 - [[오영종]], [[한승엽(게임 해설가)|한승엽]], [[최우범]] [[So1 스타리그 2005]] 4번 시드 결정전[* 여기서 진출한 오영종은 [[로얄로더]]를 달성한다. 챌린지 리그 우승으로 진출한 본선을 우승한 유일한 경우.] - [[오영종]] 3:2 [[안기효]] 자세한 대진은 [[So1 스타리그 2005/대진표#s-2|항목]] 참조. === 2005 2nd 구룡쟁패 듀얼 토너먼트 1라운드 : 2005년 7월 23일 ~ 2005년 9월 17일 === * A그룹 순위결정전 - [[한동욱]], [[최우범]], [[변형태]] * B그룹 순위결정전 - [[박태민]], [[차재욱]],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4번 시드 결정전 -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3:2 [[한동욱]] 자세한 대진은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대진표#s-2|항목]] 참조. === 2005 3rd K-SWISS 듀얼 토너먼트 1라운드 : 2005년 12월 10일 ~ 2006년 2월 1일 === * A그룹 순위결정전 - [[강민]], [[박영훈(프로게이머)|박영훈]], [[김남기]] * B그룹 순위결정전 - [[염보성]], [[홍진호]],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1]] 4번 시드 결정전 - [[염보성]] 3:2 [[강민]][* 당시 기준으로 최연소 스타리그 진출. 이 기록은 나중에 [[이영호]]에 의해 경신되었다. 또한 [[드래프트 세대]]로는 처음으로 개인리그에 진출했다.][* 강민은 유일하게 챌린지리그 준우승을 2번 한 선수이자 결승에 2번 진출한 4명 중 1명이다. 나머지 3명은 유일하게 챌린지리그 우승을 2번 한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그리고 우승과 준우승 1회씩 달성한 [[안기효]]와 [[염보성]].] 신한은행 스타리그가 24강전으로 확대됨에 따라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2]]와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3|시즌 3]]는 듀얼 토너먼트 단일 라운드로 진출팀을 가리게 되었다. 자세한 대진은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1/대진표#s-2|항목]] 참조. === 2007 1st 스타 챌린지 : 2007년 5월 30일 ~ 2007년 7월 23일 === * 순위결정전 - [[이제동]], [[염보성]], [[오충훈]], [[한승엽(게임 해설가)|한승엽]], [[안기효]], [[이성은]], [[이영호]] [[EVER 스타리그 2007]] 4번 시드 결정전 - [[안기효]] 3:1 [[이제동]] 스타리그가 24강 체제에서 16강 체제로 회귀하면서 하부리그가 '스타 챌린지'라는 이름으로 부활하여 열린 첫 대회다. 특이한 점은 기존 챌린지리그와 듀얼 1라운드 때랑은 달리 순위결정전 경기 방식이 토너먼트 방식이었다. 우선 각조 1위 6명이 토너먼트로 경기를 치른 뒤 승자 3인과 스타리그 4위가 4강을 구성해 4강 토너먼트를 치러 우승자를 가렸다는 점이다. 기존에는 스타리그 4위는 바로 듀얼로 내려갔었다. 자세한 대진은 [[EVER 스타리그 2007/대진표#s-2|항목]] 참조. === 2007 2nd 스타 챌린지 : 2007년 10월 24일 ~ 2007년 12월 26일 === * 순위결정전 -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박명수(1987)|박명수]]--, [[박영민(1984)|박영민]], [[윤종민]], [[염보성]], [[김상욱(프로게이머)|김상욱]], --[[신희승]]-- [[박카스 스타리그 2008]] 4번 시드 결정전 - [[박영민(1984)|박영민]] 3:2 [[염보성]] 자세한 대진은 [[박카스 스타리그 2008/대진표#s-2|항목]] 참조. === 2008 1st 스타 챌린지 : 2008년 2월 11일 ~ 2008년 2월 27일 === 마지막으로 치러진 챌린지 리그로 직전 시즌에 3·4위전이 진행되지 않아 시드 결정전은 진행되지 않았다. 또한 듀얼 토너먼트가 스타리그 1차 본선으로 합병되어 진출자는 바로 스타리거가 되었다. 자세한 대진은 [[EVER 스타리그 2008/대진표#s-2|항목]] 참조. [[분류:온게임넷 스타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