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1999년 태풍)] [목차] == 개요 == |||||| '''{{{+5 {{{#!html 1999년 제7호 태풍 올가}}}}}}'''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Olga199908010650Z.jp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Olga19990805track.pn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1999년 7월 30일 9시 ~ 8월 4일 3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width=20]] [[미크로네시아 연방]][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류큐 제도]]''', 본토[* [[큐슈]], [[야마구치현]]][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 화둥[* [[저장성]], [[산둥성]]], 둥베이[* [[지린성]], [[헤이룽장성]]][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전역'''[br][[파일:북한 국기.svg|width=20]] '''[[북한]] 전역''' || || {{{#white 태풍 등급}}} ||<-2><:> {{{#000 '''1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태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대형(직경 1,20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70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41 m/s''' || ||<:>10분 평균 || '''33 m/s''' || ||<#3594D3><:>{{{#ffffff 인명피해}}}||<:>사망/실종자|| '''106명''' || ||<#3594D3><:>{{{#ffffff 재산피해}}} ||||<:> '''1조 490억 원'''[* 1999년 한국 환율] || [[1999년]] [[7월 30일]]에 발생해 [[8월 4일]]까지 활동한 태풍으로,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가운데 하나다. 전성기 위력은 그리 강하지 않았으나, 세력이 거의 약해지지 않은 상태로 한반도로 내습하였다. 또한 중부에는 폭우가 내리고 있었기에 상당히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서해안을 따라 북상하였기에 한반도 전역이 강풍 반경에 들어 내륙 지역에서도 바람이 꽤 강하게 불어닥쳤다. == 진로 경과 표 == ||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 JMA || || 7월 27일 3시 ||<|9> 20kn ||<|13> - ||<|12><#5ebaff> TD ||<|9><#fff> 미발생 || || 7월 27일 9시 || || 7월 27일 15시 || || 7월 27일 21시 || || 7월 28일 3시 || || 7월 28일 9시 || || 7월 28일 15시 || || 7월 28일 21시 || || 7월 29일 3시 || || 7월 29일 9시 || 25kn ||<|4><#5ebaff> TD || || 7월 29일 15시 ||<|2> 30kn || || 7월 29일 21시 || || 7월 30일 3시 || 35kn ||<|6><#00faf4> TS || || 7월 30일 9시 ||<|2> 40kn ||<|2> 35kn ||<|3><#00faf4> 약 || || 7월 30일 15시 || || 7월 30일 21시 || 45kn || 40kn || || 7월 31일 3시 || 55kn ||<|4> 50kn ||<|7><#ccffff> 중 || || 7월 31일 9시 || 60kn || || 7월 31일 15시 || 65kn ||<|12><#ffffcc> C1 || || 7월 31일 21시 ||<|2> 70kn || || 8월 1일 3시 ||<|2> 55kn || || 8월 1일 9시 || 75kn || || 8월 1일 15시 || 65kn || 60kn || || 8월 1일 21시 ||<|3> 75kn || 65kn ||<#fdaf9a> 강 || || 8월 2일 3시 ||<|6> 60kn ||<|8><#ccffff> 중 || || 8월 2일 9시 || || 8월 2일 15시 || 80kn || || 8월 2일 21시 || 75kn || || 8월 3일 3시 ||<|2> 70kn || || 8월 3일 9시 || || '''8월 3일 15시'''[* 한반도 상륙 시점] || 55kn || 55kn ||<|2><#00faf4> TS || || 8월 3일 21시 || 35kn || 50kn || || 8월 4일 3시 || 25kn || - ||<#5ebaff> TD ||<#fff> {{{#000 '''소멸'''}}} || || 8월 4일 9시 ||<-4><#fff> {{{#000 '''소멸 및 감시 종료'''}}} || == 기록 == ||<|12> 순간최대풍속(m/s) || 제주 || 서귀포 41.0 제주 38.2 고산 37.8 성산 32.4 || || 전남 || '''완도 46.0''' 여수 40.0 광주 39.6 흑산도 36.3 해남 35.9 목포 35.0 장흥 31.3 고흥 27.4 순천 16.2 || || 전북 || 전주 31.1 정읍 29.1 군산 29.0 임실 28.0 부안 24.4 남원 23.8 장수 22.4 || || 충남 || 대전 26.8 보령 24.7 금산 22.9 부여 22.4 서산 21.8 천안 21.4 || || 충북 || 청주 32.0 추풍령 26.7 보은 20.5 충주 19.6 제천 13.2 || || 경기 || 동두천 25.2 서울 23.9 이천 21.5 인천, 양평 20.4 수원 19.9 강화 16.1 || || 경남 서부 || 통영 32.0 진주 31.2 남해 27.3 산청 24.4 거창 24.3 합천 20.8 || || 경남 동부 || 창원 37.0 울산 22.1 밀양 21.4 부산 20.4 거제 18.6 || || 경북 서부 || 대구 24.3 문경 20.4 구미 18.0 안동 14.5 의성 14.3 영주 12.6 || || 경북 동부 || 울릉 21.8 울진 20.0 포항 19.1 영덕 16.4 봉화 13.0 영천 12.7 || || 강원 내륙 평지 || 원주, 영월 24.8 춘천 21.0 철원 19.8 인제 19.5 홍천 16.9 || || 강원 동해안/산지 || 대관령 21.5 강릉 20.7 태백 18.5 동해 16.1 속초 15.7 || ||<|10> 최대풍속(m/s)[* 10분 평균 풍속] || 제주 || 고산 25.7 서귀포, 성산 24.0 제주 22.3 || || 전남 || '''여수 30.7''' 완도 27.3 고흥 25.0 흑산도 24.0 장흥 23.9 광주 23.8 해남 22.7 목포 20.5 순천 14.2 || || 전북 || 남원 23.7 정읍 20.7 임실 19.3 부안 17.3 장수 15.9 전주 15.7 군산 13.2 || || 충남 || 부여 19.6 대전 17.0 서산 16.3 천안 15.8 보령 15.7 금산 15.1 || || 충북 || 청주 17.3 보은 16.2 충주 13.0 제천 12.1 추풍령 10.3 || || 경기 || 이천 15.4 동두천 15.0 인천 14.0 양평 13.4 수원, 강화 13.0 서울 10.3 || || 경남 서부 || 통영 21.7 진주 15.8 거창 15.1 합천 14.3 남해 14.2 산청 12.2 || || 경남 동부 || 부산 18.3 창원 16.7 밀양 15.4 거제 10.5 울산 10.0 || || 경북 || 대구 16.7 의성 13.2 포항 12.0 영천 11.6 울릉 11.5 안동, 문경 10.7 울진 10.0 || || 강원 || 대관령 13.3 인제 12.0 원주 11.8 영월 11.7 춘천 11.0 홍천 10.7 철원 10.5 태백 10.2 || ||<|10> 강수량(mm)[* 8월 1일~4일 누적] || 제주 || 제주 296.1 성산 206.5 서귀포 155.7 고산 97.9 || || 전남 || 장흥 163.5 해남 151.5 완도 143.6 순천 137.0 고흥 99.5 목포 89.3 흑산도 61.8 || || 전북 || 장수 85.0 군산 63.3 부안 61.0 남원 56.5 || || 충청 || 서산 472.4 천안 222.0 충주 221.0 제천 207.5 보령 163.0 청주 140.2 보은 94.0 추풍령 85.7 부여 72.5 대전 57.2 || || 경기 || '''동두천 697.8''' 강화 580.0 인천 531.3 서울 492.0 수원 293.2 양평 198.0 이천 187.5 || || 경남 서부 || 통영 187.1 남해 144.0 산청 132.5 진주 124.4 거창 100.5 합천 81.5 || || 경남 동부 || 거제 219.0 부산 192.6 창원 191.0 울산 149.5 밀양 134.5 || || 경북 || 영주 292.0 봉화 257.0 문경 193.5 포항 145.8 울진 130.4 영덕 127.5 영천 120.0 안동 83.1 구미 77.0 대구 63.3 || || 강원 내륙 평지 || 철원 549.3 춘천 474.2 인제 437.5 홍천 262.5 영월 217.1 원주 210.5 || || 강원 동해안/산지 || 속초 349.4 대관령 284.8 강릉 257.8 태백 239.3 동해 199.2 || 광주, 전주, 청주에서는 내륙임에도 순간최대풍속 30 m/s 이상과 최대풍속 15 m/s 이상이 기록되었다. 또한 태풍의 중심에서 100 km도 넘게 떨어진 창원과 통영에서도 30 m/s 이상의 순간최대풍속과 15 m/s 이상의 최대풍속이 기록되었다. 태풍 자체에 동반된 강수량은 적었지만, 그 전부터 중부를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려 피해를 키웠다. 실제로 충청도 북부와 경상북도 북부까지는 강수량이 많으나, 그 남쪽인 충청도 남부, 경상북도 남부, 전라북도는 태풍 자체에 동반된 비도 비교적 적게 내렸고, 태풍 전의 폭우도 적게 내려 강수량이 전체적으로는 적은 편이었다. == 피해 == 1조 490억 원에 해당하는 재산피해와 약 60여 명의 사상자를 냈다. 특히 [[파주시]] [[문산읍(파주)|문산읍]]에 많은 피해를 내었으며, 전국적으로 2만 8천여명의 [[이재민#s-1|이재민]]이 발생하였다. [[1999년]] [[8월 1일]]에는 [[동두천시|동두천]]에 377.5 mm를 뿌렸으며[* 태풍에 의한 비는 아니지만 피해를 키웠다.], [[제주특별자치도|제주도]] [[한라산|어리목]]에는 568 mm의 폭우가 내렸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올가, version=23, paragraph=2)] [[분류:1999년 태풍]][[분류:1999년/사건사고]][[분류:태풍/대한민국]][[분류:나무위키 태풍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