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 {{{#fff {{{+1 '''올레쉬키 전투'''}}}[br]'''Бої за Олешки'''[*우 우크라이나어][br]'''Бои за Алёшки'''[*러 러시아어][br]'''Battle of Oleshky'''}}} || ||<-2> {{{#fff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fff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 [[2023년]] [[6월 26일]] ~ '''진행중''' || ||<-2> '''{{{#fff 장소}}}'''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include(틀:지도, 장소=우크라이나 헤르손주, 높이=200, 너비=100%)]}}}주요 격전지 : [[우크라이나]] [[헤르손주]] [[올레쉬키]] 일대 || ||<-2> '''{{{#fff 교전국}}}''' || ||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크기=23)]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크기=23)] || ||<-2> '''{{{#fff 병력}}}''' || || [[우크라이나군]][br]제46공중강습여단 || [[러시아 연방군]] || ||<-2> '''{{{#fff 피해규모}}}'''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br]'''미상'''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br][[BMD-2]] 1대 격파[br][[BTR-80]] 1대 격파[br][[GAZ 티그르-M]] 1대 격파[br][[T-72B3]] 1대 격파 || ||<-2> '''{{{#fff 결과}}}''' || ||<-2> '''진행 중'''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6월 26일부터 헤르손주 [[올레쉬키]]에서 벌어지는 전투이다. 우크라이나군의 자포리자 공세와 함께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우크라이군이 다치 지역을 확보했고 교두보 여러 개를 설치했으며 올레쉬키 외곽까지 도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러시아군도 헬기와 포병 전력을 동원하여 안토노프 대교 교전에서 승리하여 우크라이나군을 모래톱 뒤편 진지로 일단 밀어낸 상태다. [youtube(TiAkPB7uz-w)] == 경과 == === 6월 26일 === 우크라이나가 [[드니프로강]]을 도하하여 올레쉬키 앞의 야지에 상륙하는데 성공하였다. === 6월 27일 === 우크라이나가 올레쉬키 시내 앞까지 도달하여 M-14/M-17국도와 P-57 국도 분기점을 경계로 러시아군과 대치 중이다. === 6월 30일 ===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측 안토노우스키 대교 잔해에 [[이스칸데르 미사일]]을 명중시켰다. == 전망 == 올레쉬키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에게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 중 하나이다. [[올레쉬키]]는 [[크림반도]]의 아르미얀스크와 직결되는 고속도로가 있는 곳으로, 러시아 입장에서는 크림반도와 연결되는 우크라이나 방향 고속도로는 M-17 고속도로와 M-18 고속도로밖에 없다. 올레쉬키의 M-17 고속도로를 따라 브릴리우카와 칼란차크를 지나면 그대로 크림반도와 직결되어 있는 곳이라 이곳이 뚫리면 우크라이나군이 [[드니프로강]]을 지나 크림반도에 진입할 수 있는 교두보가 마련되기 때문이다. 결정적으로 러시아군이 다리를 파괴하더라도 드니프로 강이 바닥을 보일 정도로 말라버려서 도하 난이도가 매우 낮아진탓에 더 이상 드니프로 강이라는 천연요새는 없다고 무방하게 되었다.[[https://www.themoscowtimes.com/2023/06/13/russian-shelling-kills-ukraine-priest-in-churchyard-a81496|#]], [[https://www.bbc.com/news/world-europe-65963403|#]] 특히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쪽으로도 진격할 수 있게되면 새로운 전선이 생기므로 러시아에겐 매우 곤란한 처지에 빠진다. 당장 헤르손쪽에 배치된 병력은 매우 적거니와 대부분 자포리자 및 동부 방어선에 집중되어 있는데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쪽에서 진격한다면 러시아군은 필시 옆치기를 당할 처지에 빠진다.[* 애초에 자포리자 방어선은 헤르손쪽 방어를 전혀 고려조차 안한 상태다. 그나마 존재하던 방어선과 지뢰밭은 댐 파괴로 인해 모두 무력화된 상태다.] 그렇다고 헤르손쪽을 방어하자니 많은 병력들을 다른 전선에서 빼야하므로 방어선이 약해지는 문제가 생기며 애초부터 방어선이 없는 헤르손 특성상 방어하긴 매우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즉, 우크라이나군이 [[마지노선]]처럼 방어선을 우회하여 공격할 수 있으므로 굉장히 위협적이다. 따라서 이 전투가 우크라이나의 승리로 끝나게 된다면 러시아에서는 드니프로강이라는 천혜의 방어물이 사라지고, 크림반도의 주요 보급로 중 하나인 M-17 고속도로의 주요 분기점인 브릴리우카와 최전선이 더 가까워져 크림반도가 더 위험해질 것이고 우크라이나는 M-17 고속도로를 따라 전진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여 크림반도 탈환이라는 목표에 더 가까워질 것이다. 더 나아가 헤르손쪽에서 공세를 시작하여 남부전선에 옆치기를 할 수 있으므로 러시아군은 양방향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막아야기에 남부전선 전체가 우크라이나군에게 매우 유리해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러시아 입장에선 최악의 시나리오인데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을 도하해서 진격하기 시작하면 평야 특성상 막을 방법이 전혀 없다. 참고로 멜리토플까지 진격 및 탈환하게 된다면 [[크림대교]]가 [[스톰 쉐도우]] 사거리 이내로 들어오므로 우크라이나군이 굳이 크림 반도로 진격할 필요도 없이 크림대교만 타격해서 완전히 붕괴 및 단절시키면 크림 반도는 말그대로 고립되므로 더 이상 러시아의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되고 스스로 자멸하는 최악의 위기에 빠질 수 있다. 고로 러시아 입장에선 어떻게든 남부 전선을 방어해야 하는 처지다.[* 크림대교의 철도가 남부전선 보급을 모두 담당한다고 보아도 무방하며 애초에 러시아군은 철도보급이 주력이라 공중 혹은 해상보급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즉, 크림반도는 크림대교없인 자급자족이 불가능하다. 당장 물만 해도 없어서 사막화가 진행되던 상태다.] [[분류: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투]][[분류:헤르손주]][[분류:2023년 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