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연호)] ||<:>[[일본어]]||[ruby(和, ruby=わ)] [ruby(銅, ruby=どう)]|| ||<:>[[율리우스력]]||[[708년]] [[2월 7일]] ~ [[715년]] [[9월 1일]]|| ||<:>이전||[[게이운]]|| ||<:>다음||레이키|| [목차] == 개요 == '''[[일본]]의 여섯 번째 [[연호/일본|연호]](元号).''' 시기는 [[율리우스력]] 기준 708년~715년. 708년 2월에 [[무사시|무사시노쿠니(武蔵国)]] [[치치부시|치치부군(秩父郡)]]에서 화동(和銅; 자연[[구리(원소)|동]])이 헌상된 것을 기념하여 개원했다. 715년 9월 [[겐쇼 덴노]] 즉위시 좌경직(左京職)[* 교토의 사법, 행정, 경찰을 담당한 행정기관인 경직(京職) 중 교토 동부를 맡은 기관이다. 서부를 맡은 기관은 우경직(右京職).]에서 서귀(瑞亀; 성스러운 [[거북이]])가 헌상된 것을 기념하여 연호를 와도에서 레이키(霊亀)로 바꾸었다. == 특징 == [[아스카 시대]]에서 [[나라 시대]]로 넘어가는 시기로, 제43대 [[겐메이 덴노]]가 다스린 시기. 후지와라쿄(藤原京)에서 지금의 [[나라시]]인 헤이조쿄(平城京)로의 천도로 나라 시대가 개막하였다. 또한 일본 최초의 유통화폐인 화동개진(和同開珎)이 주조되고 [[고사기]]가 완성되는 등 왕권강화와 국가발전의 초석을 닦은 시기라고 할 수 있다. == 주요 사건 == 이하는 전부 [[율리우스력]]을 사용한다. * 원년 (708) * (개원 전) 2월 6일: [[무사시|무사시노쿠니(武蔵国)]] [[치치부시|치치부군(秩父郡)]]에서 화동(和銅; 자연[[구리(원소)|동]])이 헌상되었다. * 2월 7일: '''와도(和銅) 연호 개원.''' * 2월: 헤이조(平城) 땅에 신도조영(新都造営)의 조칙이 내려졌다. * 6월 3일: 화동개진(和同開珎) 은전이 주조되었다. * 8월 16일: 화동개진(和同開珎) 동전이 주조되었다. * 8월 29일: 화동개진의 유통이 시작되었다. '''일본 최초의 화폐유통이다.''' * 10월: [[이세 신궁]]에 [[헤이조궁]](平城宮) 조영을 고했다. * 11월 14일: 에치고노쿠니(越後国) 하에 데와군(出羽郡)을 두었다. * 2년 (709) * 9월 9일: 화동개진 은전의 유통을 중지했다. * 10월 13일: [[코닌 덴노|시라카베(白壁)]]가 태어났다. * 12월 3일: 천도로 인한 민심동요를 억제하기 위해 당년의 조조(租調)[* 토지세와 특산물]를 면제했다. * 3년 (710) * 3월 10일: 후지와라쿄(藤原京)에서 헤이조쿄(平城京)로 천도. '''[[나라 시대]] 개막'''. * 10월 14일: 화동개진 은전의 유통을 전국에서 금지했다. * 4년 (711) * 12월 7일: 축전서위령(蓄銭叙位令)이 반포되었다. 동전(화동개진)을 많이 소유하면 위계(位階)를 수여하여 화폐유통을 촉진하려는 목적의 정책이었다.(880년 폐지) * (일자 불명): [[후시미이나리타이샤]]가 건립되었다. * 5년 (712) * 1월 28일: 오노 야스마로(太安万侶)가 '''[[고사기]]를 완성'''하여 [[겐메이 덴노]]에게 헌상했다. * 9월 28일: 데와군(出羽郡)에 데와노쿠니(出羽国)를 세웠다. * 6년 (713) * 4월 3일: 탄고노쿠니(丹後国), 미마사카노쿠니(美作国), 오스미노쿠니(大隅国)를 세웠다. * 5월 2일: 모든 쿠니(国)에 [[풍토기]](風土記) 편찬령이 내려졌다. * 7년 (714) * 6월 25일: [[쇼무 덴노|오비토(首)]]가 태자로 책봉되었다. * 11월 1일: 최초로 에리제니(撰銭)[* 깨지거나 손상된 악화(悪貨)를 받지 않는 것.] 금지령이 내려졌다. 개인이 양화를 가지려 하고 시장에서 악화를 꺼린다면 화폐유통에 차질이 생기기 때문이다. * 8년 (715) * 9월 2일: [[겐메이 덴노]]가 히다카노 내친왕(氷高内親王)에게 양위, [[겐쇼 덴노]]가 즉위하였다. 즉위와 동시에 서귀(瑞亀; 성스러운 [[거북이]])가 헌상된 것을 기념하여 연호를 와도에서 레이키(霊亀)로 바꾸었다. [[분류:일본의 연호]][[분류:아스카 시대]][[분류:나라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