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완주, other1=다른 뜻, rd1=완주(동음이의어))] [include(틀:전라북도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완주군의 읍면)] ||<-4> '''{{{#000,#fff [[전라북도|{{{#000,#fff 전라북도}}}]]의 [[자치군|{{{#000,#fff 자치군}}}]]}}}'''{{{#!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완주군 CI.svg|height=65]]||'''{{{+1 완주군}}}'''[br]完州郡[br]{{{-1 Wanju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완주군&zoom=9, 너비=100%, 높이=100%)]}}} || ||<-2> {{{#fff '''군청 소재지'''}}} ||<-2> [[용진읍]] 지암로 61 (운곡리) || ||<-2> {{{#fff '''광역자치단체'''}}} ||<-2> [[전라북도]] || ||<-2> {{{#fff '''하위 행정구역'''}}} ||<-2> 3읍 10면 || ||<-2> {{{#fff '''면적'''}}} ||<-2> 821.15㎢ || ||<-2> {{{#fff '''인구'''}}} ||<-2> 97,304명[*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 ||<-2> {{{#fff '''인구밀도'''}}} ||<-2> 117.32명/㎢ || ||<-2> {{{#fff '''군수'''}}}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유희태(정치인)|유희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초선)]],, || ||<|2><-2> {{{#fff '''군의회'''}}}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11석[* 완주군 가선거구 (삼례읍, 이서면): 유의식,이경애[br]완주군 나선거구 (상관면, 소양면, 구이면): 유이수, 이주갑[br]완주군 다선거구 (봉동읍, 용진읍): 김재천, 성중기, 심부건[br]완주군 라선거구 (고산면, 비봉면, 운주면, 화산면, 동상면, 경천면): 김규성, [[서남용(정치인)|서남용]][br]비례대표: 이순덕, 최광호] || ||<-2> {{{#fff '''도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2석[* 완주군 제1선거구 (삼례읍, 상관면, 이서면, 소양면, 구이면): [[윤수봉]][br]완주군 제2선거구 (봉동읍, 용진읍, 고산면, 비봉면, 운주면, 화산면, 동상면, 경천면): 권요안] || ||<-2>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fff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안호영]]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재선)]],, || ||<|3> {{{#fff '''상징'''}}} || {{{#fff '''군화'''}}} ||<-2> [[철쭉]] || || {{{#fff '''군목'''}}} ||<-2> [[느티나무]] || || {{{#fff '''군조'''}}} ||<-2> [[까치]] || ||<-2> {{{#fff '''슬로건'''}}} ||<-2> [[파일:민선 8기 완주군 군정 슬로건.gif|width=150]] || ||<-2> {{{#fff '''마스코트'''}}} ||<-2> [[파일:완주군 캐릭터.gif|width=100]] || ||<-2> {{{#fff '''지역번호'''}}} ||<-2> '''063-2XX(전주와 공유)''' || ||<-2> {{{#fff '''웹사이트'''}}} ||<-2> [[http://www.wanju.go.kr/|www.wanju.go.kr]] || ||<-2> {{{#fff '''SNS'''}}} ||<-2> [[https://www.youtube.com/channel/UCS5ANGu3CmvAEw8KJuqXZaw/|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wanjugun|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wanjustory/|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wanjustory|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wanju county hall.jpg|width=400]] || || 완주군청 || ---- || [[파일:attachment/daedunsan.jpg|width=400]] || || [[대둔산]] || ---- [[전라북도]]의 군. 본 지역을 기준으로 동쪽으로 [[진안군]], 동북 방향으로 [[충청남도]] [[금산군]], 서쪽으로 [[익산시]], [[전주시]], 서남 방향으로 [[정읍시]], 남쪽으로 [[임실군]], 북쪽으로 [[충청남도]] [[논산시]]와 접해 있으며, 월경지인 [[이서면(완주)|이서면]]을 기준으로는 동쪽으로 [[전주시]], 서남북쪽으로 [[김제시]]와 접해 있다. [[전주시]] 대부분을 둘러싸고 있으며, 전주시를 제외하고 7개 시, 군과 인접해 있다. 주요 기관 대부분이 전주 시내에 소재한다. 완주군 관내에 소재한 공공기관은 봉동읍의 완주경찰서, 삼례읍의 [[완주소방서]]와 완주우체국, 용진읍의 완주군청 등이 있다. [[우석대학교]]가 삼례읍에, [[한일장신대학교]]가 상관면에 있다. 전북의 시군들 가운데 면적이 가장 넓고, 전라남북도의 군 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으며 전국 단위에서는 8위에 해당된다.[* '''군'''이지만 [[남원시|남원'''시''']], [[김제시|김제'''시''']]보다도 인구가 더 많다. [[2000년대]]만 해도 도내 여타 시, 군처럼 인구 감소가 지속되어 8만선까지 떨어진 적도 있었으나 봉동읍 일대에 조성된 공단에 업체들이 속속 입주하고 둔산리, 장구리 일대에 신시가지가 조성되면서 인구가 유입되어 9만선을 회복했다.][* 물론 한때 18만에 달했던 시절에 비하면 아직 멀었다. 이건 급속한 시골 인구 감소 탓도 있지만, 수십년 간 전주시에 관내 동리 이곳 저곳을 내준 이유도 있다. 당장 85년과 90년 인구총조사 사이에 무지막지한 인구감소를 겪었는데 그 사이에 조촌읍을 죄다 빼앗긴 것도 모자라서(1987년) 다른 여러 지역들이 털렸다.] 관내에 3읍 10면을 두고 있다. 완주군 인구의 절반 가까이는 [[삼례읍]]과 [[봉동읍]]에 집중되어 있는데, 오랫동안 인구 수에서 삼례읍이 1위, 봉동읍은 만년 2위를 랭크했지만, 봉동읍에 전주 3공단이 조성되고 신시가지가 형성되면서 지금은 역전. 근래에 인구 2만 명을 넘어 고창읍, 부안읍과 맞먹는 규모로 증가했지만, 구 읍시가지와 신시가지가 상당히 떨어져 있어서 그다지 실감이 나지 않는다. [[현대자동차]]의 [[버스]] 및 대형 상용차량을 생산하는 공장, [[LS엠트론]]의 [[트랙터]], [[궤도]] 및 사출성형기를 생산하는 공장과 [[전북 현대 모터스]] 프로축구단의 클럽하우스가 봉동읍에 있다. == 역사 == 이름은 과거 전주의 이름이었던 완산주에서 따왔다.[[https://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56540|#]] 전주와 [[고산군(전라도)|고산]]은 500년 동안 별개의 지역이었다. 위 지역중 [[고산면]], 비봉면, [[동상면]], 화산면, [[경천면]], 운주면은 구 [[고산군(전라도)|고산군]] 지역이며, 나머지 부분은 구 전주부이다. 구 고산군의 면적은 약 422.18km2이다. [[1914년]] 4월 1일 전주군과 고산군이 '''전주군'''으로 통합되었다. 현 완주군 중 고산면, 비봉면, 동상면, 화산면, 경천면, 운주면이 구 고산군에 해당되며, 나머지는 구 전주군에 해당된다. 1935년 10월 1일 전주군 전주읍이 [[전주시|전주부]]로 승격됨에 따라, 전주군의 잔여지역이 '''완주군'''으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른다. 1940년 이동면 전역 및 조촌면 일부가 전주부에, [[1957년]] 11월 6일 초포면, 우전면 전역 및 조촌면 일부가 전주시에, [[1983년]] 2월 15일엔 완주군 상관면 대성리, 색장리, 용진면 산정리 일부가 [[1987년]] 1월 1일 조촌읍이 전주시에 편입되는 등 전주 시가지의 교외 지역이 일제강점기 때부터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전주시에 편입되었다. 운주면 경천출장소가 1989년에 경천면으로 승격되었다. 전주시내에 있던 군청이 2012년 6월 용진면으로 이전하였다. 전주시와 완주군은 '''원래 같은 전주군'''[* 물론 전주권 한정으로 고산권은 20년 정도 뿐이었다.]이었다가, [[일제강점기]] 때 도농분리정책으로 인해 도시지역인 전주부와 농촌지역인 완주군으로 행정구역이 분리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온 것이다. '완주(完州)'란 이름 자체가 전주의 옛 이름인 '완산주(完山州)'에서 따온 이름이기도 하고, [[전주시]]에도 마찬가지로 완산주에서 이름을 따온 [[완산구]]가 있다. '''사실 한자로도 '전(全)'과 '완(完)'은 뜻이 같다.''' 그리고 지역번호 개편 이전엔 전주시와 완주군이 지역번호 '0652'를 같이 쓰기도 했다. (지금도 집전화 국번은 전주와 같은 2로 시작된 번호 [예: 063) 221국, 244국 등]를 공유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전주시/역사]]를 참고. == 지리 == === 자연지리 === 전북 서부의 평야 지역과 동부의 산간 지역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해 있어 평야와 산지가 두루 분포해 있다. 봉동, 삼례, 용진, 이서는 평야가 우세하고 나머지는 산지가 우세한데, 특히 화산, 운주, 경천, 동상 지역은 내륙의 섬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산간 오지이다. 비봉면에 전라도 유일의 석회동굴인 천호동굴이 있고, 고산에서 대아리, 동상을 거쳐 소양으로 가다 보면 [[위봉산성]]과 위봉폭포를 볼 수 있다. 군 최북단의 [[논산시]], [[금산군]] 경계와 접점을 이루는 지점에 [[대둔산]]이, [[전주시]], [[김제시]] 경계와 접점을 이루는 지점에 [[모악산]]이 있는데, 두 산 모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 도시구조 및 생활권 === [include(틀:완주군의 신도시 및 개발지구)]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전의 구 전주부 영역인 삼례읍, 봉동읍, 용진읍, 이서면, 상관면, 구이면, 소양면은 전주생활권이다. 특히 상관면은 20분에 한 대씩 전주행 버스가 올 정도로 생활권 종속 경향이 강했으나 코로나19이후 감차해서 배차간격이 꽤 늘었다. ~~상관초등학교에서 걸어서 5분이면 전주다.~~ 나머지 지역 역시도 전주에 거의 대부분의 생활을 의존한다. 읍으로서의 역사가 오래된 삼례읍과 봉동읍은 나름대로의 자체 생활권을 갖추고 있지만 인구가 3만명도 되지 않는 농어촌 지역이라는 점은 변함이 없어서 역시 전주에 의존하는 편이다. 그나마 봉동읍의 경우 국가산단이 조성되어 있어 역으로 전주에서 출퇴근하는 인구가 많지만, 중생활권 이상에서는 전형적인 전주 생활권에 속한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이서면의 경우 완주군이기는 하지만 [[전주시]]에 의해 섬으로 떨어져 있고 특히 [[김제시]]에 좀 치우쳐 있어서 일부에서는 '''[[김제시]]로 편입'''되었으면 싶다고도 하였다. [[김제시]]의 경우 이서면 주변이 농촌 지역이라 도시적인 [[전주시]]보다는 그나마 나아보인다는 점이었다. 통합론자들은 이걸 명분삼아 [[전주시|전주]], 완주, [[이서면(완주)|이서]]가 하나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전북혁신도시]]가 들어서면서.. 반면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전의 [[고산군(전라도)|고산군]] 지역에 해당하는 고산면, 비봉면, 화산면, 운주면, 경천면, 동상면은 생활권이 다르다. 이곳 주민들은 고급 의료서비스나 생필품 구매를 위해 전주를 왕래하는 경우 빼면 고산장을 비롯하여 치킨을 여기서 다배달할 정도로 고산에 종속된 경향이 강하며, 정서적으로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고산 지역은 자연환경이 많이 보존되어 있고 계곡도 많아서 여름철만 되면 익산, 전주에서 피서오는 사람들로 북적인다. === [[전주시|전주]] 통합 논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행정구역 개편/호남/전주시-완주군 통합)] 완주군과 전주시의 통합 논의는 시, 군 통합에 의한 도농복합시 설치가 추진되던 1990년대부터 있어 왔으나, 2020년대까지도 여전히 실현되지 않고 있다. 만약 전주시와의 통합[* 법적으로는 구 [[전주시]]와 구 완주군을 모두 폐지하고 통합전주시를 신설하는 식으로 만들게 된다. 한쪽은 시고, 다른 한쪽은 군이라고 해도 동급의 기초자치단체이기 때문에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편입하는 형태로는 이뤄질 수 없다.]이 성사된다면 전주시는 면적 1,028㎢로 [[광주광역시]] (501.1㎢)의 2배이자 전라도에서 전남 [[해남군]](1,031㎢) 다음으로 가장 넓은 지방자치단체가 된다. === 인구 === || [[파일:완주군 CI.svg|width=50]] '''{{{#000 전라북도 완주군}}} {{{#000 인구 추이}}}''' [br] {{{-3 (1911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42.81%, #888 0%, #888 100%, #AAA 0%)" {{{#fff 1911년 85,62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60.92%, #888 0%, #888 100%, #AAA 0%)" {{{#fff 1915년 121,8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72.48%, #888 0%, #888 100%, #AAA 0%)" {{{#fff 1920년 144,96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83.07%, #888 0%, #888 100%, #AAA 0%)" {{{#fff 1925년 166,13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92.74%, #888 0%, #888 100%, #AAA 0%)" {{{#fff 1930년 185,470명}}}}}} || || [[1935년]] [[10월 1일]] 전주군 전주읍 → [[전주부]] 승격분리 [br] 전주군 잔여지역 → '''완주군'''으로 개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75.51%, #888 0%, #888 100%, #AAA 0%)" {{{#fff 1935년 151,02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77.74%, #888 0%, #888 100%, #AAA 0%)" {{{#fff 1940년 155,485명}}}}}} || || [[1940년]] [[11월 1일]] '''완주군''' 이동면[* 홍산리(현 효자동3가) 제외, 홍산리는 이후 1957년에 전주시에 편입된다.] 전역, [[조촌동(전주)|조촌면]] 상가리(현 덕진동1·2가) → 전주부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73.31%, #888 0%, #888 100%, #AAA 0%)" {{{#fff 1944년 146,61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89.28%, #888 0%, #888 100%, #AAA 0%)" {{{#fff 1949년 178,55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92.15%, #888 0%, #888 100%, #AAA 0%)" {{{#fff 1955년 184,293명}}}}}} || || [[1957년]] [[11월 6일]] '''완주군''' 초포면[* 전당리(현 전미동1가), 미산리(현 전미동2가), 신성리(현 호성동1가), 봉암리(현 호성동2가), 송전리(현 호성동3가), 우방리(현 우아동3가)][* 하리는 삼례면으로, 상운리는 용진면으로 편입]·우전면[* 석불리(현 서서학동 일부 및 평화동1가), 장천리(현 평화동2가), 문정리(현 평화동3가), 송정리(현 효자동1가), 효자리(현 효자동2가), 태평리(현 삼천동1가), 계용리(현 삼천동2가), 안산리(현 삼천동3가)][* 나머지 석구리·중인리·원당리·용복리 등은 1989년에 전주시에 편입됨]·[[용진면]][* 아중리(현 우아동1가), 산정리 일부(현 우아동2가)] 일부·조촌면 홍산리(현 효자동3가) → 전주시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84.01%, #888 0%, #888 100%, #AAA 0%)" {{{#fff 1960년 168,01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93.05%,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86,09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86.96%,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73,923명}}}}}} || || [[1973년]] [[7월 1일]] '''완주군''' 용진면 금상리, 산정리 일부 → 전주시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84.32%,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68,63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76.13%,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52,257명}}}}}} || || [[1983년]] [[2월 15일]] '''완주군''' [[상관면]] 대성리·색장리, 용진면 산정리 일부 → 전주시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68.48%,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136,944명}}}}}} || || [[1987년]] [[1월 1일]] '''완주군''' 조촌읍 → 전주시 편입 [br] [[1989년]] [[1월 1일]]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금상리, [[구이면]] 용복리·중인리·원당리·석구리 → 전주시 편입 [br] [[1990년]] [[8월 1일]] '''완주군''' [[이서면(완주)|이서면]] 상림리·중리 → 전주시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44.17%,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88,34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43.23%,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994년 12월 26일 김제군 용지면 금계리(현 금평리) → '''완주군''' 이서면 편입] 86,46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42.00%,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84,00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41.82%,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83,65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42.60%,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85,11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47.65%,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95,30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45.80%,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91,60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48.44%,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1월 97,605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0만 명 1911-1920: [[조선총독부]] 통계연보,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ffffff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99.484%, #888 0%, #888 100%, #AAA 0%)" {{{#fff 봉동읍 24,87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77.936%, #888 0%, #888 100%, #AAA 0%)" {{{#fff 삼례읍 19,4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56.708%, #888 0%, #888 100%, #AAA 0%)" {{{#fff 이서면 14,17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31.628%, #888 0%, #888 100%, #AAA 0%)" {{{#fff 용진읍 7,90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23.192%, #888 0%, #888 100%, #AAA 0%)" {{{#fff 소양면 5,79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22.428%, #888 0%, #888 100%, #AAA 0%)" {{{#fff 구이면 5,60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17.72%, #888 0%, #888 100%, #AAA 0%)" {{{#fff 고산면 4,4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16.508%, #888 0%, #888 100%, #AAA 0%)" {{{#fff 상관면 4,12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10.292%, #888 0%, #888 100%, #AAA 0%)" {{{#fff 화산면 2,57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7.64%, #888 0%, #888 100%, #AAA 0%)" {{{#fff 운주면 1,91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7.324%, #888 0%, #888 100%, #AAA 0%)" {{{#fff 비봉면 1,83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4.336%, #888 0%, #888 100%, #AAA 0%)" {{{#fff 동상면 1,0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33 3.908%, #888 0%, #888 100%, #AAA 0%)" {{{#fff 경천면 977명}}}}}} || || {{{-2 2023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 || ---- 한국 인구가 [[광복절|광복]] 당시 2천만 명에서 현재의 5천만 명으로 늘어나는 동안 오히려 주저 앉은 전북 치고는 드물게 인구가 증가세를 보였던 지역이다. 하지만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전북의 인구가 집중됐던 전주마저 쇠퇴하면서 완주군도 인구가 감소 중이다. 그나마 공단이 있고 전주시와 가까워서 덜 줄고 있기는 하다. [[완주삼봉 웰링시티|삼봉신도시]]로 [[전주시]](86.64%), [[익산시]](9.63%), [[군산시]](4.34%)의 인구가 유입되면서 2022년부터 인구가 다시 증가하고 있는 전북 유일의 [[기초자치단체]]이다.[* 2022년 1월 ~ 2023년 6월 기준] == [[완주군/교통|교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완주군/교통)] == 경제 == 농축산업과 공업이 고루 발전한 곳으로 특히 공업 분야에서는 이렇다 할 산업이 없는 전북에서 [[군산시]]와 함께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내륙지역이기 때문에 농축산업이 성한 편으로 쌀, 보리, 콩 등을 생산하며 소, 돼지, 닭 등의 가축 사육도 활발한 편이다. 봉동읍에 조성된 완주일반산단(옛 '전주3공단')에는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이 있어서 상용차[*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라던지 [[현대 마이티]] 등.] 중 국내 생산분은 모두 여기서 생산된다.[*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의 영향으로 인해 [[한국외환은행]] 전주공단지점이 완주일반산단에 입점해 있었다. 이 지점은 외환은행이 하나은행에 인수합병되며 [[하나은행]] 전주공단지점으로 변경되었다.] 밖에도 [[LS엠트론]] 트랙터 공장이나 [[KCC]] 도료 공장이 있는 등 군급 도시 중에서 수준급의 산업시설을 유치한 덕분에 전북 군 단위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재정자립도가 가장 높다.[*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INH_1YL0000_FINDP_35|통계청 전라북도 재정자립도 통계]] 2017년 기준 재정자립도 완주군 28.0%] 그 덕분에 각종 인프라 사업이나 복지[* 예를 들면 완주군 소재 초-중-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급식비를 안 낸다.] 등에 돈을 아끼지 않는다. [[전주시]]는 통합을 원하지만[* 전주가 통합을 원하는 속내는 부족한 2차산업 기반을 [[봉동읍|봉동]] 산단이 채워줄 수 있기 때문이다.], 완주군민들은 기존의 복지가 줄어들 것을 우려해 통합을 반대하고 있다. 경천면의 경우 곶감도 유명하다. 이후 완주군의 전망도 밝은데, 삼례와 봉동은 우선 신도시인 [[완주삼봉 웰링시티]]가 한창 공사 중, 테크노밸리(공단) 2단계 역시 착공을 앞두고 있다. 또한 용진읍에는 현 완주군청 근처완주군의 공공기관을 총집합시키는 [[완주 복합행정타운]]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근처에는 체육 시설이 모인 종합스포츠타운 역시 조성할 계획이다. 그리고 봉동읍 둔산리에 [[신봉지구(완주군)|신봉지구]]라는 신도시를 지을 예정이다. 이를 통해 완주군은 15만 인구를 달성하고 시로 승격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자족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많은 정책을 진행 중이다. === 금융 === ||<-4> '''{{{#ffffff 완주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제1금융권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국가기관 }}}''' || ||<-4> [[우정사업본부|{{{#ffffff '''완주우체국 (14)'''}}}]] || ||<-4> '''{{{#1d1e23 국책은행}}}''' || ||<-4> [[중소기업은행|{{{#FFFFFF '''중소기업은행(1)'''}}}]] || ||<-4> '''{{{#1d1e23 특수은행 }}}''' || ||<-4> [[농협은행|{{{#ffffff '''농협은행(중앙회) (2)'''}}}]] || ||<-4> '''{{{#1d1e23 시중은행 }}}''' || ||<-2> [[우리은행|{{{#ffffff '''우리은행 (1)'''}}}]] ||<-2> [[국민은행|{{{#ffffff '''국민은행 (1)'''}}}]] || ||<-4> [[하나은행|{{{#ffffff '''하나은행 (1)'''}}}]] || ||<-4> '''{{{#1d1e23 지방은행 }}}''' || ||<-4> [[전북은행|{{{#4169e1 '''전북은행(3)'''}}}]] || ||<-4> '''{{{#ffffff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ffffff 농업협동조합 }}}''' || || [[농협|{{{#fcaf16 '''삼례농협 (3)'''}}}]] || [[농협|{{{#fcaf16 '''용진농협 (1)'''}}}]] || [[농협|{{{#fcaf16 '''구이농협 (2)'''}}}]] || [[농협|{{{#fcaf16 '''봉동농협 (2)'''}}}]] || || [[농협|{{{#fcaf16 '''상관농협 (1)'''}}}]] || [[농협|{{{#fcaf16 '''소양농협 (1)'''}}}]] || [[농협|{{{#fcaf16 '''전주김제완주축협 (1)'''}}}]] || [[농협|{{{#fcaf16 '''전북지리산낙농협 (1)'''}}}]] || ||<-4> '''{{{#ffffff 새마을금고 }}}''' || || [[새마을금고|{{{#afeeee '''완주새마을금고 (2)'''}}}]] || [[새마을금고|{{{#afeeee '''한누리새마을금고 (2)'''}}}]] || [[새마을금고|{{{#afeeee '''현대자동차새마을금고 (1)'''}}}]] || [[새마을금고|{{{#afeeee '''하이트맥주새마을금고 (1)'''}}}]] || ||<-4> '''{{{#ffffff 신용협동조합 }}}''' || || [[신협|{{{#ffa500 '''고산신용협동조합 (3)'''}}}]] || [[신협|{{{#ffa500 '''운주신용협동조합 (2)'''}}}]] || [[신협|{{{#ffa500 '''완주신용협동조합 (1)'''}}}]] || [[신협|{{{#ffa500 '''용진신용협동조합 (2)'''}}}]] || || [[신협|{{{#ffa500 '''봉상신용협동조합 (1)'''}}}]] || [[신협|{{{#ffa500 '''소양신용협동조합 (2)'''}}}]] ||<-2> [[신협|{{{#ffa500 '''삼례신용협동조합 (1)'''}}}]] || ||<-4> '''{{{#ffffff 산림조합 }}}''' || ||<-4> [[산림조합|{{{#9acd32 '''완주군산림조합 (1)'''}}}]] || == 교육 == [include(틀:전라북도 완주군의 초등학교)] [include(틀:전라북도 완주군의 중학교)] [include(틀:전라북도 완주군의 고등학교)] [include(틀:완주군의 대학)] == [[완주군/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완주군/정치)] == 군사 == * [[대한민국 육군]] [[제35보병사단]] [[제106보병여단]] 본부 * [[대한민국 육군]] [[제12정보통신단]] 제72통신지원대대 * [[대한민국 육군]] [[육군동원전력사령부]] [[제35동원지원단]] 과거 [[제9군단]] 사령부가 있었으나 [[국방개혁 2020]]에 의해 해체되었고 해당 부지는 제106보병여단 및 72통신 지원대대가 사용 중에 있다. == 문화·체육 == [[전북 현대 모터스]]의 [[클럽하우스]]인 [[율소리 클럽하우스]]가 봉동읍 율소리에 있다. 아울러 이 팀의 2군인 [[전북 현대 모터스 B]]는 2023년부터 삼례읍에 있는 [[완주공설운동장]]에서 홈경기를 치르고 있다. 율소리 클럽하우스 부근에 정규 규격을 갖춘 완주 야구장도 있는데 2022년에 개장했다. 완주 야구장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완주군 출신 야구 스타인 [[김준환]] 전 원광대 감독이 상당한 노력을 했다고 한다. 이 야구장은 [[한일장신대학교 야구부]]가 평일 훈련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주말에는 사회인 야구 등 생활체육 공간으로 활용 중이다. == [[완주군/행정|행정구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완주군/행정)] == 출신 인물 == * [[강상원(1932)|강상원]] * [[강신성(정치인)|강신성]] * [[고정운]] * [[국영석]] * [[국정환]] * [[권창환]] * [[김동식(1959)|김동식]] * [[김병량]] * [[김병만]]: 개그맨. [[정글의 법칙]] 족장 * [[김신호(1961)|김신호]] * [[김영(법조인)|김영]] * [[김준환]] * [[김혜정]]: [[전원일기]] 복길엄마역으로 유명한 배우 * [[나병선]] * [[남관우]] * [[남상훈]] * [[두세훈]] * [[류범수]] * [[류준상(1910)]] * [[박경배(공무원)|박경배]] * [[박광순(정치인)|박광순]] * [[박성일(정치인)|박성일]]: 전 완주군수 * [[배성기]] * [[서남용(정치인)|서남용]] * [[소병래]] * [[손권배]] * [[송삼석]] * [[송재천(1964)|송재천]] * [[송지용]] * [[심재권]]: 전 국회의원[* 당시 지역구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을]]이었다.] * [[심재철(1969)|심재철]] * [[양영환]] * [[오정례]] * [[유기정(1922)|유기정]] * [[유인촌]] * [[유창희]] * [[유현종]]: 소설가. [[SBS]] [[대하사극]] [[연개소문(드라마)|연개소문]], [[KBS 대하드라마]] [[대조영(드라마)|대조영]] 원작소설 작가 * [[유희태(정치인)|유희태]] * [[윤건중]] * [[윤수봉]] * [[이관승]] * [[이덕춘(1975)|이덕춘]] * [[이돈승]] * [[이수일(1942)|이수일]]: 전 국가정보원 제2차장, 전북/경기지방경찰청장, 경찰대학장, 감사원 사무총장, 호남대 총장 * [[이정규]] * [[이존화]] * [[이종호(군인)]] * [[이창승]] * [[이희환]] * [[임동순]] * [[임명환]] * [[임방현]] * [[임상규(1966)|임상규]]: 전라북도 행정부지사 * [[임정엽]]: 전 완주군수 * [[전진기]] * 정상수: 교감 * [[조평열]] * [[최등원]] * [[최영두(1923)|최영두]] * [[최충일]] * [[최호열]] * [[허영일(정치인)|허영일]] * [[황병오]] * 이장미 * [[Lil Nekh]] 완주군 출신 인물들은 대체로 전주시 출신으로 소개되는 경우가 많은데, 일단 완주군보다 전주시의 인지도가 더 높고, 1935년 이전에는 같은 전주시 소속이었으며, 완주군 출신들 가운데는 전주시에서 학창 시절을 보낸 사람이 많아 전주시 출신으로 소개되어도 딱히 이의 제기가 없는 편이다. 위의 고정운, 김병만의 경우는 전주시에서 학교를 다닌 적이 없는 관계로[* [[김병만]]은 고등학교까지 완주군에서 마쳤고, [[고정운]]은 중, 고등학교를 [[익산시]](당시 이리시)에서 다녔다.] 전주시 출신보다 완주군 출신으로 더 많이 알려진 케이스. == 자매 도시 == * 1999년 - [[중국]] [[장쑤성]] [[화이안시]] * 2000년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2006년 - [[서울특별시]] [[서초구]] * 2009년 - [[경상북도]] [[칠곡군]] [각주] [[분류:완주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