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대십국시대 십국/왕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32725 0%, #1E3F3C 20%, #1E3F3C 80%, #132725); color: #ECE5B6" '''전촉 초대 황제[br]{{{+1 고조 명혜제 | 高祖 明惠帝}}}'''}}}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WangJian%27s-Tomb.jpg|width=100%]]}}} || ||<-2> {{{#ECE5B6 {{{-2 영릉 전경}}} }}} || ||<|2> '''출생''' ||[[847년]] [[2월 26일]] || ||[[당나라|당]] [[허난성|허주]] [[뤄허시|무양현]][br](現 [[허난성]] [[뤄허시]] 우양현) || ||<|2> '''즉위''' ||[[907년]] [[11월 3일]] || ||[[후량]] [[청두시|성도]][br](現 [[쓰촨성]] [[청두시]]) || ||<|2> '''사망''' ||[[918년]] [[7월 11일]] (향년 71세) || ||[[전촉]] [[청두시|성도]] 황궁[br](現 [[쓰촨성]] [[청두시]]) || || '''능묘''' ||[[영릉]](永陵) || ||<|4> '''재위기간''' ||'''{{{#ECE5B6 당의 촉왕(蜀王)}}}''' || ||[[903년]] [[9월 6일]] ~ [[907년]] [[11월 3일]] || ||'''{{{#ECE5B6 초대 황제}}}''' || ||[[907년]] [[11월 3일]] ~ [[918년]] [[7월 11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씨''' ||[[왕(성씨)|왕(王)]] || || '''휘''' ||건(建) || || '''양부''' ||전령자 || || '''배우자''' ||순덕황후 || || '''자녀''' ||11남 3녀 || || '''자''' ||광도(光圖) || || '''작호''' ||촉왕(蜀王) || || '''묘호''' ||'''[[고조]](高祖)''' || || '''존호''' ||영무예성광효황제[br](英武睿聖光孝皇帝) || || '''시호''' ||신무성문효덕명혜황제[br](神武聖文孝德明惠皇帝) || || '''연호''' ||무성(武成, [[908년]] ~ [[910년]])[* 907년에는 [[소종(당)|당소종]]의 천복(天復) 연호를 습용하였다.][br]영평(永平, [[911년]] ~ [[915년]])[br]통정(通正, [[916년]])[br]천한(天漢, [[917년]])[br]광대(光大, [[918년]])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오대십국시대]]의 [[전촉]](前蜀)의 건국자. 자는 광도(光圖). == 생애 == [[황소의 난]] 평정에 가담하여 공적을 세웠다. 그 뒤 [[당나라]]의 실력자였던 [[환관]] 전령자(田令孜)의 양자로 들어갔고, [[당희종]](僖宗)이 [[황소(당나라)|황소]]에 쫓겨 [[촉]](蜀)으로 피신했을 때 도와 벽주자사(璧州刺史)를 역임했다. 이후 점차 권모술수를 써서 촉 전체와 [[한중]]을 장악하였고, 903년 당나라로부터 촉왕(蜀王)의 지위를 하사받았으며, 이후 907년 [[후량]](後梁)이 당나라를 멸망시키자, 스스로 황제를 칭했다. 이후에는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심사단(尋事團)이라 불리는 비밀 경찰을 만들어 불평분자들을 압박하고 살해했다. 이 때문에 붙은 별명이 '''왕팔(王八)''', 중국의 '''비속어'''중 아주 유명한 것으로 정착한다. == 여담 == '''한자가 고려 태조 [[태조(고려)|왕건]]과 같으며''', 생몰년과 재위 기간이 묘하게 겹친다.고려 왕건은 877년생이며, 전촉 왕건이 사망한 년도인 918년에 고려를 건국하고 황제가 되었다. 이런 점 때문에 [[대륙설]], 특히 대륙고려설과 대륙조선설을 신봉하는 [[환빠]]들이 좋아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이들은 전촉의 왕건이 고려 왕건과 아예 동일인물이라고 우기는 만행을 저지른다. 조선 태조 [[태조(조선)|이성계]]도 이와 비슷한 경우가 있는데, 이성계가 개명한 이단(李旦)은 [[예종(당)|당 예종]]과 한자가 같다. 그러나 두 사람은 다른 시대의 인물인데다, 이성계가 개명했다는 사실이 잘 알려지지 않다보니 언급이 적은 편. 그리고 당시 왕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는 것은 [[불경죄]]에 해당됐다. 전촉의 왕건은 죽은 직후, 양자와 친자 사이에 제위 쟁탈전이 일어났으며, 막내 왕연이 승리하게 된다. 그러나 지나치게 사치에 몰두하면서 나라가 크게 어지러워졌고, [[후당]]에게 나라가 멸망하게 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구오대사)] [include(틀:신오대사)]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왕건(동음이의어),version=243,paragraph=3)] [[분류:오대십국시대/황제]][[분류:847년 출생]][[분류:918년 사망]][[분류:뤄허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