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조위의 인물, rd1=왕광(조위))] [include(틀:18로 제후)] 王匡 생몰년도 미상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대]] [[중국]] [[후한]] 말의 [[군웅]]이며 자는 공절(公節)로 [[연주(중국)|연주]] 태산군 봉고현 사람. == [[삼국지(정사)|정사]] == 의협심으로 명망이 높았으며 당대의 명사 [[채옹]]에게도 높게 평가받았다. 자기 재산을 가벼이 여기며 남을 돕는데 힘썼다고 한다. [[하진(삼국지)|하진]]이 집권할 무렵 [[대장군]]부의 부관으로 있었는데, 하진이 [[환관]]을 주살하기 위해 외지의 군사를 소집하자 고향으로 가서 5백의 강노수를 이끌고 돌아와 낙양 근처에 주둔했다. 하진이 살해당할 때는 [[원소(삼국지)|원소]]와 합류해 환관들을 쳐죽였다. 189년에 [[동탁]]이 권력을 잡자 고향으로 낙향해 있던 중 이내 [[하내]] [[태수]]로 임명되는데, 190년에 곧바로 [[18로 제후|반동탁연합군]]에 가담했다. 위서 [[상림(삼국지)|상림]]전에 따르면 이때 유생들을 소속 [[현(행정구역)|현]]에 파견했다가 잘못을 저지르면 그에 해당하는 돈과 곡식을 내야 용서해주는 특이한 방법으로 물자를 조달했다. 그런데 왕광은 거기서 자신의 위엄을 세운다면서 조금이라도 늦으면 [[멸족|종족을 없애버린다.]] 이후 하양진에 주둔했다가 거짓퇴각을 하던 동탁군을 추격하다 배후를 찔려 동탁군과의 교전에서 참패했다. 또 동탁에 의해 원소를 설득하기 위해 조서를 가지고 파견된 [[호모반]], [[오수]], 왕괴 등을 원소의 명령으로 붙잡아 죽였다. 호모반은 왕광의 매부였기 때문에 호모반은 왕광에게 편지를 보내 왕광이 자신에게 하는 행동이 잘못되었음을 성토한다. 호모반의 편지를 읽은 왕광은 호모반의 어린 두 [[딸]]을 끌어안고 펑펑 울었다고 하지만, 왕광은 결국 원소의 명령을 거스르지 못하고 호모반 등을 [[공개처형]]한다.[* 왕광이 동탁군에게 참패한것과 사신으로 온 [[매부]] 등을 원소의 명령으로 잡아죽인 것의 선후관계는 논란이 있다. 만약 참패 후에 동탁의 사신들을 죽인거라면 참패 이후에 분개해서 했을거라는 추측이 가능하지만, 반대로 동탁의 사신들을 먼저 죽이고 난뒤에 참패를 당한거라면 자신의 사신들을 죽인 왕광에게 동탁이 크게 분노한 이유로 왕광군을 공격해 대승을 거둔거란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왕광이 매부의 두딸을 끌어안고 펑펑 운 거라든지 호모반의 편지 등을 감안하면 동탁이 먼저 왕광을 회유하기 위해 매부 호모반 등을 사신으로 보냈다가 죽임을 당하자 동탁이 분노해서 왕광군을 공격했을거란쪽이 좀더 이치에 맞긴 하다.] 이후 다시 고향인 [[태산]]으로 돌아가 다시 수천 명의 정예병을 모았고 [[장막(삼국지)|장막]]과 서로 세력을 합치려고 계획했지만 호모반의 친족들과 손잡은 [[조조]]에게 살해당했다. 장막이 훗날 [[여포]]와 [[진궁]]을 끌어들여 조조에게 반기를 든 것으로 보아 194년 무렵에 사망한 것으로 보이나, 조조가 왕광을 왜 죽였는지, 조조에게 살해당한 시점이 언제인지 기록이 전혀 남아있지 않아서 자세하게 알려진 게 없다. == [[삼국지연의|연의]] == 호로관 공략에 참전하여 휘하 중 가장 맹장이라는 [[방열(삼국지)|방열]]을 앞세워 [[여포]]를 [[일기토]]로 상대하지만 도리어 그에게 방열이 순식간에 살해당하고 여포가 왕광의 진을 공격하면서 군사들이 흩어지자 크게 패해 간신히 목숨만 구원 받는 걸로 나온다. == 미디어 믹스 ==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 [[파일:王匡.jpg]]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520.jpg]] || || 100만인의 삼국지 || 삼국지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39.jpg|width=400]] || || 삼국지 13, 14 || [[삼국지 2]]와 [[삼국지 3]]에 재야 무장으로 출연하고 오랫동안 나오지 않았다가 [[삼국지 6]]부터 다시 나왔다. 하내가 도시로 나오는 [[삼국지 6]], [[삼국지 7]], [[삼국지 10]], [[삼국지 13]]에서는 군주로, 다른 시리즈에서는 타 세력의 부하로 나온다. 갓 정권을 잡고 전성기에 있는 [[동탁(삼국지 시리즈)|동탁]]의 첫 공격 대상이므로 어려운 군주다. [[삼국지 12]]를 제외하고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7]]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68/지력 63/정치 58/매력 76에 특기는 정찰, 불화살, 고무, 부호. 부하는 한호뿐. 동탁 때문에 백이면 백 제일 먼저 멸망하는 세력.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58/지력 60/정치 71/매력 66. [[하진(삼국지 시리즈)|하진]]이나 [[장양]]의 부하로 등장한다. [[삼국지 9]]에서는 강노수를 거느렸다는 사적을 반영해서인지 노병계 최고 병법인 '''[[연노]]'''를 가지고 있다. 무력이 낮긴 해도 다른 장수에게 연노를 가르칠 수 있으므로 나쁘지 않다. 능력치는 통솔력 64/무력 50/지력 61/정치력 71. 연노 외에는 정란, 혼란, 배반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무력 57/지력 64/정치력 67/매력 79에 특기는 상업, 화시, 반목, 명사 4개. 정치력이 67이라 상업 특기는 큰 도움은 안 되고 명사 특기가 있다는 것과, 등용 셔틀로 쓰는 데에 의의를 두자. 군주로 플레이하기엔 수하 장수가 [[한호(삼국지)|한호]]와 [[방열]] 외에는 없어서 하드코어 하다. 그리고 [[영웅집결]]에서는 영웅집결 신세력인 [[사마의(삼국지 시리즈)|사마의]]의 거점이 왕광이 있던 하내라서 하진의 부하장수로 떨어지면서 삼국지 10 등장 세력 중 영웅집결에 등장하지 못하는 유일한 세력[* 이후 사마의의 영웅집결 거점은 11에서 낙양을 거쳐 12 이후로는 장안으로 옮겨가게 된다. 10 당시에는 하진이 낙양에서 거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이 되고 말았다. [[삼국지 11]]에서는 매력이 80으로 하진군에서는 [[노식]](81)을 제외하고는 최고의 매력이기는 한데 하필이면 특기가 [[잉여#s-2]] 특기인 [[위압#s-2]]이다. 게다가 반동탁 시나리오 때는 병주가 진양 하나로 통합되어서 독립군주가 아닌 장양의 부하로 나온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일러스트에서 입다문 것으로 재탕되었다. 다시 반동탁연합과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 군주로 등장한다.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55/지력 61/정치력 70이며 중신특성은 없다. 병과적성은 창병 C/기병 B/궁병 B이며 전법은 궁병공격진이다. 특기는 상업 2, 문화 2 밖에 없고 전수특기는 상업이다. 반동탁연합 시나리오에는 방열 외에 한호도 있고 재야에 학맹, 사마랑, 노식 등이 있어서 이들을 활용하면 그나마 해볼 만한 하드코어급 군주. 방열만 있고 재야도 없는 영웅집결이 오히려 더 어렵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57, 지력 61, 정치 70, 매력 80으로 전작에 비해 무력이 2 상승했다. 개성은 운반, 위무, 여망, 주의는 할거, 정책은 학익강화 Lv 3, 진형은 어린, 학익, 전법은 분전, 격려, 매성, 친애무장은 [[채옹]], [[하진(삼국지 시리즈)|하진]], 혐오무장은 [[동탁(삼국지 시리즈)|동탁]]이다. 이번작에서 하내가 지역으로 격하된 것에 따라 반동탁연합 시나리오에서는 [[장양]]군에,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하진군에 소속되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 [[레전드히어로 삼국전]] === [[레전드히어로 삼국전]]에서는 [[하진(레전드히어로 삼국전)|하진]]의 영웅패로 등장. === [[토탈 워: 삼국]] === 삼탈워에서는 마이너 세력 수장으로 나온다. 그러나, 이 게임에서는 왕광 본인보다 왕광의 [[아내]] 이건여정이 더 유명하다. [[Make Them Unique]] 참조. === [[고우영 삼국지]] === 2권에서 반동탁연합군의 주요 제후로 반페이지나마 임팩트 있게 등장한다. 리더가 없는 연합군은 감독이나 코치가 없는 축구팀과 같다면서 [[원소(삼국지)|원소]]를 [[총사령관]]으로 추대하는 인물. 그걸로 끝이다. === [[영웅조조]] === [[유대(삼국지)|유대]]에게서 동군태수에 임명될 수 있도록 하는 조건으로 [[교모]]를 찾아가 유대가 자신의 군영을 포위했다면서 도와달라고 하며, 교모가 유대를 찾아가려고 하자 그 틈을 노려 교모를 살해한다. [각주] [[분류:후한의 군벌]][[분류:살해된 인물]][[분류:타이안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