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분류:유희왕/러시 듀얼/전사족]][[분류:유희왕/러시 듀얼/일반 몬스터]]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파일:ProtectoroftheThrone-DM2-JP-VG.png|width=100%]] ||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 || [[파일:ProtectoroftheT-DM3-JP-VG.png|width=100%]] || [[파일:ProtectoroftheT-DDS-NA-VG.png|width=100%]] ||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 ||<#F8F8A0> {{{#000 한글판 명칭}}} ||<-4>'''왕좌의 수호자''' (비공식 번역명)|| ||<#F8F8A0> {{{#000 일어판 명칭}}} ||<-4>'''[ruby(王座, ruby=おうざ)]の[ruby(守護者, ruby=しゅごしゃ)]'''|| ||<#F8F8A0> {{{#000 영어판 명칭}}} ||<-4>'''Protector of the Throne'''|| ||<-5><#F8F8A0> {{{#000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5.] || 흙마족 || 전사족 || 800 || 1500 || ||<-5>왕이 출타한 동안 외적으로부터 왕좌를 지키는 왕비. 수비력은 높다.|| DM1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 [[파일:card100042270_1.jpg|width=100%]] || [[파일:ProtectoroftheThrone-MRD-EN-C-UE-25thAnniversaryEdition.png|width=97%]]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왕좌의 수호자, 일어판명칭=王座(おうざ)守護者(しゅごしゃ), 영어판명칭=Protector of the Throne, 속성=땅, 레벨=4, 공격력=800, 수비력=1500, 종족=전사족, 효과외1=왕이 출타한 동안 외적으로부터 왕좌를 지키는 기사. 수비력은 높다.)] 왕좌를 수호하는 여성. 그런데 일러스트에서는 왕좌에 위에서 비스듬히 앉아있다. 능력치 상으로는 [[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맨]]의 하위 호환으로서, 수호자라는 이름과는 달리 수비력 1500은 너무 낮은 수치라 전투에서는 1회용 벽의 역할밖에는 못한다. 게다가 다른 수비력 1500의 카드들중에서 공격력도 제일 낮다. 즉, 전투에서 활용할 가능성은 0%라는 소리. 덱에 채용할 경우 전사족 / 땅속성이라는 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좋다. 낮은 공격력 덕분에 [[거대쥐(유희왕)|거대쥐]], [[황야의 여전사]] 등으로 특수 소환할 수 있으며, 레벨 4라서 [[일반 몬스터]]의 구세주인 [[레스큐 래빗]]으로 덱에서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 거기다 [[마법 기사 길티어]]의 융합 소재로 지정되어있는 덕분에 융합 소재로서 서포트를 받을 수 있지만, 상술한 서포트들은 전부 상위 호환인 [[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맨]]에게도 해당하기 때문에 이 카드만으로 차별화할 수 있는 요소가 거의 없다. 복장이고 왕좌 위에 자기가 직접 앉아 있는 모습이고 왕좌를 지키는 [[기사]]라는 [[플레이버 텍스트]]와 전혀 어울리지 않는데, 사실 이건 한글판 카드의 [[오역]] 때문에 그런 것이다. 원래 일본판의 플레이버 텍스트는 왕좌를 지키는 기사가 아니라 왕좌를 지키는 '''[[왕비]]'''였다. 원래 그 자리에 앉을 만한 사람이라 앉아서 지키고 있는 것이었는데 한글판에서 괴상한 오역이 터져서 이렇게 된 것.(…) TCG판에서도 제대로 Queen이라고 되어 있는데 어쩌다 이렇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수록 시리즈 || ||<(> 1999-11-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 '''[[볼륨(유희왕)|Vol.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1-02-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ME-27 | [[강철의 습격자|鋼鉄の襲撃者 - METAL RAIDERS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6-2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RD-087 | '''[[강철의 습격자|METAL RAID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4-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RD-EN087 | [[강철의 습격자|METAL RAIDERS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3-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MRD-K087 | '''[[강철의 습격자]]'''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유희왕 러시 듀얼]] === || [[파일:王座の守護者(KP09).jpg|width=100%]] || [[파일:ProtectoroftheThrone-RDKP09-KR-R.png|width=98%]]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왕좌의 수호자, 일어판명칭=王座(おうざ)守護者(しゅごしゃ), 영어판명칭=Protector of the Throne (미발매), 속성=땅, 레벨=4, 공격력=800, 수비력=1500, 종족=전사족, 효과외=왕이 출타한 동안\, 외적으로부터 왕좌를 지키는 왕비. 수비력은 높다.)] 전사족의 하급 수비력 1500 벽 몬스터. [[레전드 카드]]를 제외하면 하급 중에서는 수비력이 가장 높다. [[플레이버 텍스트]]가 허세가 아니게 된 것은 좋지만, 종족에 구애받지 않는다면 같은 수비력에 공격력이 더 높은 [[루이즈(유희왕)|루이즈]], [[그리폴]] 등이 선호되기 마련이니 전사족이라는 점을 활용하는 편이 좋다. 한글판의 경우 OCG판과는 달리 텍스트가 정상적으로 번역되었다. ||수록 시리즈 || ||<(> 2022-07-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09-JP011 | '''[[운명의 갤럭시!!|デッキ改造パック 運命のギャラクシー!!]]'''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2-07-2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KP09-KR011 | '''[[운명의 갤럭시!!|덱 개조 팩 -운명의 갤럭시!!-]]'''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관련 카드 == === [[마법 기사 길티어]] === 왕좌의 수호자를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 [[왕좌의 침략자]] === 왕좌의 수호자의 [[팔레트 스왑]]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