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입법원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2680, #0d2680 20%, #0d2680 80%, #0d2680)" '''{{{#fff 대만 제4-8계 입법원원장[br] {{{+1 王金平}}} [br] 왕진핑 | Wang Jin-py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왕진핑.png|width=100%]]}}} || ||<|2> '''출생''' ||[[1941년]] [[5월 17일]] ([age(1941-05-17)]세) || ||[[대만일치시기|일본령 대만]] [[가오슝|타카오주]] 오카야마군[br](現 [[대만]] [[가오슝시]]) || || '''학력''' ||대만성립사법학원 {{{-2 (법학 / 학사)}}} || || '''소속 정당''' ||[include(틀:중국 국민당)] || ||<|4> '''재임기간''' ||제2 ~ 3계 입법원부원장 || ||[[1993년]] [[2월 1일]] ~ [[1999년]] [[1월 31일]] || ||제4 ~ 8계 입법원원장 || ||[[1999년]] [[2월 1일]] ~ [[2016년]] [[1월 31일]] || || '''경력''' ||제1대 입법위원[br]제2대 입법위원[br]제3대 입법위원[br]제4대 입법위원[br]제5대 입법위원[br]제6대 입법위원[br]제7대 입법위원[br]제8대 입법위원[br]제9대 입법위원[br]제10대 입법위원[br]중국국민당 부주석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만]]의 [[정치인]]. 당적은 [[중국 국민당]]이다. [[2015년]]까지 [[입법원]]의 입법원장, 즉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 상세 == [[국립대만사범대학]]을 나와서 잠시 동안 수학 교사로 지내다가 군에 입대하였다. 제대 후 학교로 돌아가지 않고 가업을 이었기 때문에 교사 경력은 그대로 끝[* 이 시절 제자로 유명한 사람이 대만 루엔텍스그룹 회장 인옌랑이다. [[http://news.mk.co.kr/column/view.php?year=2013&no=108430|관련 기사]]]. [[1975년]]부터 [[가오슝]]시 [[지역구]]에서 [[입법원]] 의원([[국회의원]])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이후 [[중국 국민당]] 내에서도 두각을 나타내어 국민당 지도부에 있다. [[대만]]의 [[입법원]] 부원장을 지냈고, 이후 원장([[국회의장]])을 했는데 무려 [[1999년]]부터 '''16년간''' 국회의장직을 지켰다. [[대한민국]]에서 국회의장은 정계은퇴 직전의 마지막 [[정치]] 커리어로 2년 단임[* 이론적으로는 왕진핑처럼 무제한 연임이 가능하지만 [[이만섭]] 국회의장 시절부터 국회의장들이 관례적으로 단임 및 퇴임 후 정계은퇴를 해왔다.]인 것에 비하면 [[대만]]은 상당히 파격적인 것이다. 그리고 왕진핑 입법원장 하에서 수많은 '''[[국회 공성전]]'''이 나왔다.(...) 하도 [[공성전]]을 많이 해서 어지간한 공성전에는 꿈쩍도 않고 법안처리를 진행하는 강한 [[멘탈]]의 소유자다. [[2013년]] 한 때 [[마잉주]] [[총통]]과 사이가 안 좋아서 [[중국 국민당]] 당적을 [[http://www.voakorea.com/content/article/1748243.html|박탈]]당한 적이 있으나 [[2015년]] 복당해서 여전히 국민당 지도부 및 [[국회의장]]으로 활동중이다. [[마잉주]] 전 총통과는 2005년 [[중국 국민당]] 주석선거에서 맞붙은 적 있었다. 한 때 [[차이잉원]]에 맞설 [[중국 국민당]] 대선후보 얘기도 나왔지만,[* 국민당 소속이지만 전통적으로 민진당 지지층이 많은 가오슝 출신이고, 입법원장으로 장기간 재직하면서 여야간 타협을 이끌어내는 경험이 풍부하여 중도층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대만 정부총통 선거]] 출마를 포기했다. 아무래도 70대로 접어든 고령의 나이가 부담으로 작용한 듯. [[3인칭화]]표현을 즐겨쓴다. 또 [[2013년]]에 [[대한민국]]에 개인 자격으로나마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262&aid=0000005967|방한한 적이 있다]]. [[2016년]] [[제9대 대만 입법위원 선거]]에서는 [[지역구]] 낙선을 우려했는지 [[소선거구제]] 지역구를 버리고 '''[[비례대표]] 1번'''으로 나갔다.(...) 왕진핑 본인은 당선됐지만 결국 선거에서 참패하고 입법원장직 임기가 끝나 입법원장이 [[민주진보당]]의 [[쑤자취안]]한테 넘어갔다. [youtube(sEDPhjOiLRU)] 왕진핑의 17년 [[국회의장]] 시절을 나타낸 보도. 차이잉원이 총통에 취임한 후 중국과의 양안 대화, 교류를 담당하는 반관반민 기구 해협교류기금회(해기회) 이사장을 제의했지만, 사양한 것으로 전해졌다. 2020년의 [[제15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에서 [[중국 국민당]] 총통 후보 경선에 출마할 것을 선언했다. 한창 정치적 인기를 누리는 중인 [[한궈위]] 가오슝 시장의 지지 선언을 확보한 상태. 하지만 6월 7일에 출마 포기 선언했다. 2020년 9월, [[푸젠 성]] [[샤먼시]]에서 열리는 [[중국 공산당]] 관리들과 [[대만]]의 정치인들이 만나는 행사인 해협포럼에 [[중국 국민당]]측 대표로 내정되었으나, 중국 관영 [[CCTV]]가 "국민당의 왕진핑 전 입법원장이 본토에 평화를 구걸하러 온다"는 논조의 보도를 하자, [[대만]] 국내에서도 "중공 전투기가 방공식별구역을 넘나드는 이 시국에 중공을 방문한다"는 비난을 받았다. 결국 [[장치천]] [[중국 국민당]] 주석이 당 차원의 해협포럼 참석을 없던 일로 하면서 대륙방문은 좌절되었다. == 기타 == * [[외성인]] 출신이 많은 [[중국 국민당]] 정치인들 가운데 [[본성인]]이다. * 국민당 당적 박탈 문제를 놓고 크게 부딪혔던 [[마잉주]] 전 총통을 제외하면 정치권에 적이 없는 스타일이다. [[리덩후이]] 시절에 국민당 주류로 성장하였으며, 리덩후이 전 총통을 포함해 [[롄잔]], [[우보슝]], [[하오룽빈]] 등 국민당 각 계파의 주요 인사들과 친분이 깊다. [[중국]] 대륙은 여러차례 방문한 적이 있는데다 [[민주진보당]] 인사들과도 친분이 있어 [[차이잉원]]으로부터 해협교류기금회 이사장 제안을 받은 적도 있을 정도였다. * 본성인에 [[가오슝]] 출신이며 [[리덩후이]] 총통 시절에 거물로 등극한 특성상 [[중국 국민당]] 내에서는 본토파의 수장으로 불린다.[* 국민당 내 본성인들을 주축으로 한 계파로 리덩후이 시기가 전성기였지만 현재는 많이 위축된 상태다. 이들 대부분 [[화독]], 혹은 계파 좌장이었던 리덩후이를 따라 대독을 주장한다.] 물론 [[92공식]]에 대한 지지의사와 [[타이완 독립운동]]에 대한 반대의사는 명시적으로 드러냈으나, 그렇다고 해서 [[양안통일]]을 추구하는 것도 아니고, [[중국]]의 대만 간섭에도 명확하게 반대입장을 견지했다. * 온건한 스타일로 [[ECFA]] 서비스협정 확대 때도 입법원장 권한으로 국민당의 협정안 강행 처리를 막았으며, [[해바라기 운동]] 때도 시위대들을 강제로 내보내지 않고 협상을 통해 자진해산시켰다. 당시 [[마잉주]] 총통은 해바라기 운동 강경 진압을 고려하고 있었는데, 왕진핑은 이를 막기 위해 고생을 꽤나 했다는 후문. == 선거 이력 ==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75 || 입법위원 선거 || 타이완성 5선거구 ||<|13> [include(틀:중국 국민당)] || || '''당선''' || '''초선''' || || 1980 || 입법위원 선거 || 타이완성 5선거구 || || '''당선''' || '''재선''' || || 1983 || 입법위원 선거 || 타이완성 5선거구 || || '''당선''' || '''3선''' || || 1986 || 입법위원 선거 || 타이완성 5선거구[* 가오슝현,핑둥현,펑후현 일대] || || '''당선''' || '''4선''' || || 1989 || 입법위원 선거 || 타이완성 12선거구[* 가오슝현 일대] || || '''당선''' || '''5선''' || || 1992 || [[제2대 대만 입법위원 선거|제2대 입법위원 선거]] ||<|4> 가오슝현 || '''90,552(16.94 %)''' || '''당선''' || '''6선''' || || 1995 || [[제3대 대만 입법위원 선거|제3대 입법위원 선거]] || '''106,656(19.6 %)''' || '''당선''' || '''7선''' || || 1998 || [[제4대 대만 입법위원 선거|제4대 입법위원 선거]] || '''81,050(13.85 %)''' || '''당선''' || '''8선''' || || 2001 || [[제5대 대만 입법위원 선거|제5대 입법위원 선거]] || '''59,100(10.21 %)''' || '''당선''' || '''9선''' || || 2004 || [[제6대 대만 입법위원 선거|제6대 입법위원 선거]] ||<|4> 비례대표 || '''3,190,081(32.83 %)''' || '''당선(1번)''' || '''10선''' || || 2008 || [[제7대 대만 입법위원 선거|제7대 입법위원 선거]] || '''5,010,801(52.4 %)''' || '''당선(1번)''' || '''11선''' || || 2012 || [[제8대 대만 입법위원 선거|제8대 입법위원 선거]] || '''5,863,279(47.59 %)''' || '''당선(1번)''' || '''12선''' || || 2016 || [[제9대 대만 입법위원 선거|제9대 입법위원 선거]] || '''3,280,949(32.19 %)''' || '''당선(1번)''' || '''13선''' || [[분류:대만 입법원장]][[분류:1941년 출생]][[분류:가오슝시 출신 인물]][[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분류:중국국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