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 [[분류: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분류:칠곡군의 교통]] [목차] == 개요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중앙로에 있는 버스 터미널이다. 대부분 농어촌버스다. [[왜관북부정류장]]에 비하면 노선망이 부실하다. == 시외버스 노선 == [include(틀:운행중단)] 고속버스 노선은 없으며, 시외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서울특별시|서울]]로 가는 버스 조차 전국에서 유일하게 없다. --영남권:[[북부정류장|대구북부]], [[김천(구미)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 세 노선 코로나19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시외버스 대구북부-김천]] 참고. === 농어촌버스 노선 === [[성주, 칠곡 버스 250|250번]]: 삼청, 연화, 신동, 뱃재, 태전동을 거쳐 [[북부정류장|대구북부]]까지 운행하며, 대구북부에서 5분 휴식 후 [[성주버스정류장|성주]]까지 운행한다. 성주까지 빨리가려면 400번 혹은 택시로 이용해야한다. [[칠곡 버스 400|400번]]: [[왜관북부정류장|왜관북부]], 원골, 기산, 용신공단, 영리, 유월, 월항, 삼산리를 거쳐 [[성주버스정류장|성주]]까지 운행한다. 1일 2회 뿐이므로 그 외 시간대에 성주로 가려면 왜관북부로 가야한다. 33번: [[왜관북부정류장|왜관북부]], 망정, 도개, 다부, [[천평정류장|천평]]을 거쳐 심곡까지 운행한다. 과거에는 왜관에서 안동, 영주가는 방법은 이 노선 또는 32번 탑승 후 천평에서 하차해서 [[코리아와이드 경북|경북고속]] 소속 [[안동터미널]], [[영주종합터미널]]행 버스를 타고 안동이나 영주에서 하차하면 됐다. 심지어 [[북부정류장|대구북부]], [[효령정류소|구효령, 효령]], [[군위시외버스공용터미널|군위]], [[도리원시외버스정류장|도리원]], [[의성시외버스터미널|의성]], 단촌, 일직, [[안동역]], [[안동대학교]], [[진보버스터미널|진보]], [[영양버스정류장|영양]], 옹천, 평은에도 가는 등 천평이 오히려 왜관보다 시외버스가 더 많았다. 물론 지금은 안동가려면 얄짤없이 김천 또는 대구에서 환승해야 한다. 구미에서 환승하는 방법도 있다. 기산면 수요응답버스: 기산면 주민들의 교통불편 해소를 위해 만든 버스이다. 일반 농어촌버스 노선은 전부 왜관북부에서 출발한다. 7번, 9번, [[칠곡 버스 20|20번]]: 왜관공단, 금남, 낙산, 묘리, 동곡을 거쳐 [[문양역]]까지 가는 노선이다. 7번의 경우 상행은 숭오3리까지 가며,[* [[구미 버스 360]]이 종착 하는 정류장이다.]9번은 석적, 성곡을 거쳐 팥재주차장 까지 간다. [[칠곡 버스 27|27번]]: 연화, 금호를 거쳐 기곡까지 가는 노선이다. 기곡에서 [[대구 버스 성서2|성서2번]]이랑 연계가 가능하다. 이 외 농어촌버스는 [[칠곡군 농어촌버스]]를 참고. == 시내버스 노선 == [[구미 버스 11, 111|11번, 111번]]: [[왜관북부정류장|왜관북부]], 무림, [[약목정류장|약목]], 복성, 율리, [[북삼정류장|북삼]][* 정확히는 이 근처에 정차한다.], 오태, 상모사곡, 공단본부, [[구미종합터미널|구미]]를 거쳐 [[구미역]]까지 가는 노선이다. 약목, 복성, 북삼, 오태, 상모사곡, 공단본부를 가려면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것이 현명하나 구미는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웬만하면 [[왜관역]]에서 [[무궁화호]]를 이용하자. [[구미 버스 10, 110|10, 110번]]: 왜관북부, 포남, 석적, 성곡, 중리, 3공단, 인동을 거쳐 구미역까지 가는 노선이다. 구미 까지 소요시간은 11, 111번 보다도 10분 더 오래 걸린다. [[김천 버스 13, 113|13-9, 113-9번]]: 율리 까지는 [[구미시 시내버스|구미 버스]]랑 똑같이 가다가 율리에서 직진하여 어로, 숭오, 지경, 부상, 운양, [[김천(구미)역]]을 거쳐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까지 운행한다. 1일 2회 뿐인데다가 소요시간이 65분이나 걸리므로 웬만하면 왜관역에서 무궁화호를 타고 [[김천시|김천]]으로 가자. 위 노선 때문에 약목, 북삼, 석적에는 [[경일교통]]이 똑바로 들어오지 못한다. == 과거에 운행했던 노선 == 북삼, [[구미종합터미널|구미]]직행,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대구국제공항|대구공항]], [[경산시외버스정류장|경산]]: 2018년 1월 5일 개통, [[코리아와이드 진안]]에서 운행했다. 전부 철도 또는 버스로 대체할 수 있었기 때문에 수요는 거의 없었으며, 결국 1일 4회로 개통했다가 2회로 감회당했다. 결국 2018년 11월 23일 폐선되었다. 여담으로, 상행은 약목과 북삼, 구미, 김천구미역을 경유해 김천까지 갔다. 장산, 수죽, 초전: 어른들 말씀에 따르면 이 노선이 있었다고 한다. 물론 지금은 폐선되었다. [[성주버스정류장]] 시간표에 초전행 19:30 차가 초전, 장산, 수죽, 인촌을 거쳐 왜관까지 운행한다고 나와있는데 실제로는 모방에서 회차한다. 일부 어른들 말씀에 따르면 초전에서 위에 열거한 정류장을 거쳐 [[북부정류장|대구북부]]로 가는 노선도 있었다고 한다. [[옥산정류장|옥산]], [[청리정류장|청리]], [[경북대학교/상주캠퍼스|경북대학교상주캠퍼스시외버스정류장]], [[상주종합버스터미널|상주]], [[양정정류장|양정]], 함창, [[점촌터미널|점촌]], 점촌북부, [[산양정류장|산양]], [[용궁역]], 용궁, 개포, 부대후문, 부대정문, 가동, [[예천시외버스터미널|예천]], 상리동, 풍산, 과학대, [[안동터미널|안동]], 감천, [[유동정류장|유동]], 장수, [[영주종합터미널|영주]]: 경북고속에서 운행한 천평 경유 노선과 달리 진안고속에서 운행했으며, 안동을 거쳐서 영주로 가는 것이 아닌 예천까지 공동 운행하다가 안동행/영주행으로 분리되었다. 창천, 양정, 수륜, [[고령터미널|고령]]: [[경일교통]]의 전신 경상여객이 시외버스를 운행했을때 운행한 [[대구북부정류장|대구북부]]-[[성주버스정류장|성주직행]] 노선이 [[고령터미널|고령]]까지 운행했을때 운행했다. [[추풍령터미널|추풍령]], [[황간버스정류장|황간]], [[화령버스터미널|화령]]: [[김천버스]]의 전신 대한교통이 시외버스를 운행했을때 운행했다. [[상부정류장|지례]], [[대덕면(김천)|대덕]], 무풍, 설천, [[무주공용버스터미널|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