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 [[분류: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분류:칠곡군의 교통]] [목차] == 개요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중앙로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이다. 대부분 [[경일교통]]에서 운행하는 [[농어촌버스]]다. [[시외버스]]는 코로나19 이전에도 극히 부실했으며 [[서울특별시|서울]]로 가는 버스도 전국에서 유일하게 없었다. 이유는 [[왜관역]]이 있기 때문이며, 어찌 보면 [[김천시]], [[경산시]], [[청도군]], [[밀양시]]를 뛰어넘는 철도 강세 지역이라고 할 수 있겠다. [[왜관남부정류장]] 문서도 같이 보자. == --시외버스 노선-- == [include(틀:운행중단)] 고속버스 노선은 없으며, 시외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영남권:[[북부정류장|대구북부]][* 과거엔 운행횟수가 엄청났다. 현재의 김천발 이외에도 안동발, 영주발, 점촌발, 충주발, 황간발, 대전(복합)발, 성주발, 초전발, 무주발, 상주발 등 어마어마한 계통이 있었다.], [[김천(구미)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 세 노선 현재는 모두 코로나19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 [[공기수송(교통)|코로나 이전에도 대구북부~왜관남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수요가 매우 적었다.]]] 대구북부는 [[성주, 칠곡 버스 250|250번]]을 이용해 가거나 [[왜관역]]에서 열차를 타고 [[대구역]]에서 내려서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을 이용한 다음에 [[만평역]]에서 내려서 도보를 해야 한다. [[김천(구미)역]]은 13-9번 또는 113-9번을 타거나 김천 또는 [[김천 버스 14, 14-0|성주]], 혹은 [[구미 버스 53, 553|구미]]에서 갈아타야 한다. 김천은 13-9, 113-9번을 타거나 [[성주버스정류장|성주]] 또는 구미에서 갈아타는 방법이 있지만 환승을 하느니 차라리 [[왜관역]]에서 '''일반열차'''를 이용하는 것이 요금도 싸고 여러모로 환승할 필요가 없어 훨씬 낫다. 약목 까지의 발권은 불가능하다. 자동발매기를 이용해 표를 발권했다. 자세한 내용은 [[시외버스 대구북부-김천]] 참고. === 농어촌버스 노선 === [[성주, 칠곡 버스 250|250번]]: 삼청리, 연화, 신동역, 뱃재, 태전동 경유. 북부정류장에서 종착하며 5분 대기 후 [[성주버스정류장]]으로 출발한다. 1일 4회 영진전문대로 들어가며 이 때는 250-1번으로 운행한다. 250-1번은 대구북부에서 종착한다. [[칠곡 버스 400|400번]]: 원골, 기산, 용신공단, 영리, 유월, 월항, 삼산리를 거쳐 [[성주버스정류장|성주]]까지 간다. 250번도 있지만 대구를 거치기 때문에 너무 둘러서 간다.(2시간 20분 정도) 1일 2회는 [[왜관남부정류장|왜관남부]]에서 출발한다. [[칠곡 버스 33|33번]]: [[왜관남부정류장|왜관남부]] 출발, 망정, 도개, 다부, [[천평정류장|천평]][* 2018년 6월 11일 부로 폐쇄]을 거쳐서 심곡까지 간다. 과거에는 왜관에서 [[안동시]], [[영주시]]로 가는 방법은 이 노선 또는 32번 타서 천평 하차 후 천평에서 [[코리아와이드 경북|경북고속]] 소속 [[안동터미널]], [[영주종합터미널]]행 버스 타는 방법도 있었다. 심지어 안동터미널행 타고 [[안동역]], [[안동대학교]], [[진보버스터미널|진보]], [[영양버스정류장|영양]]까지 갈 수 있었다. 완행 시간대는 [[효령정류소|구효령, 효령]], [[군위시외버스공용터미널|군위]], [[도리원시외버스정류장|도리원]], [[의성시외버스터미널|의성]], 단촌, 일직 까지 갈 수 있었다.[* 즉, 천평정류장은 왜관보다 시외버스 노선망이 넓었던 셈.] 이 외 시간대에 심곡리 주민들이 왜관으로 가려면 구미로 가야 한다. [[칠곡 버스 42|42번]]: 기산, [[경북과학대학교|경북과학대]], 각산리를 거쳐 인촌까지 간다. 중간에 어떤 정류장에서 내려 봉정삼거리까지 도보한 다음에 봉정삼거리 정류장에서 [[김천 버스 14, 14-0|14번]]을 타고 김천 가는 방법도 있다. 7번, 9번, [[칠곡 버스 20|20번]]: 왜관공단, 금남, 낙산, 묘리, 동곡을 거쳐 [[문양역]]까지 간다. 상행은 7번은 숭오3리까지[* [[구미 버스 360]]이 종착하는 곳이다.] 9번은 과거엔 석적을 거쳐 성곡에서 종착했으나 지금은 팥재주차장까지 간다. [[칠곡 버스 50|50번]], 50-1번, 51번, 51-1번: 50번은 기산, 도흥, 광영 등을 거쳐 [[문양역]]까지 가며 성주군으로 가는 노선 중 하나이며, 51번, 51-1번은 [[성주군]] 선남면 광영리에서 종착한다. [[칠곡 버스 27|27번]]: 연화, 금호를 거쳐 기곡리까지 간다. 기곡리에서 [[대구 버스 성서2|성서2번]]과 연계된다. 이 외 농어촌버스는 [[칠곡군 농어촌버스]]를 참조. === 시내버스 노선 === [[구미 버스 11, 111|11, 111번]]: 무림, [[약목정류장|약목]], 율리, 북삼, 사곡동, 공단본부, [[구미종합터미널|구미터미널]]을 거쳐 [[구미역]]까지 간다. 약목, 북삼, 사곡, 공단 쪽은 이 노선을 타는 것이 현명하나 구미는 60분이나 걸리므로 왜관역에서 [[무궁화호]]를 타고 구미로 가자. 이 노선 때문에 약목, 북삼 쪽으로 [[경일교통]]이 많이 들어가지 않는다. [[구미 버스 10, 110|10, 110번]]: 포남, 석적, 중리, 3공단, 인동, 구미터미널을 거쳐 구미역 까지 간다. 대부분 수요는 구간 수요다. 구미 까지 소요시간은 11, 111번 보다 더 많이 걸린다. 11-1, 11-2, 11-3, 11-4, 11-5, 11-6: 전부 [[아웃 OO 노선|아웃 구미 노선]]이다. [[김천 버스 13, 113|13-9, 113-9]]: 율리까지는 구미 버스랑 똑같이 가다가, 율리부터 어로, 숭오, 지경, 부상, 운양, [[김천(구미)역]]을 거쳐 김천까지 간다. 김천까지는 왜관역에서 열차를 타자. === 과거에 운행했던 노선 === 북삼, [[구미종합터미널|구미]]직행,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대구국제공항|대구공항]], [[경산시외버스정류장|경산]]: 2018년 1월 5일 개통했으며 [[코리아와이드 진안]]에서 운행했다. 전부 열차로 대체할 수 있었기 때문에 쓸모가 없었으며 상행은 김천까지 갔다. 결국 1일 4회로 개통한 이 노선은 1일 2회로 감회되었으며 2018년 11월 23일 폐선되었다. 수죽, 장산, 초전: 어른들 말씀에 따르면 있었다고 한다. 물론 지금은 폐선되었으며 일부 어른들 말씀에 따르면 과거에는 이 정류장들을 거쳐 [[북부정류장|대구북부]]로 가는 노선도 있었다고 한다. [[상주종합버스터미널|상주]], [[점촌터미널|점촌]], [[예천시외버스터미널|예천]], [[안동터미널|안동]], [[영주종합터미널|영주]]: 경북고속에서 운행한 천평 경유 노선과 달리 진안고속에서 운행했으며, 안동을 거쳐서 영주로 가는 것이 아닌 예천까지 공동 운행하다가 안동행/영주행으로 분리되었다. 창천, 수륜, [[고령터미널|고령]]: 대구북부-성주직행이 고령까지 운행했을때 운행하던 노선이다. [[추풍령터미널|추풍령]], [[황간버스정류장|황간]], [[화령버스터미널|화령]]: [[김천버스]]의 전신 대한교통이 시외버스를 운행했을때 운행했다. [[상부정류장|지례]], [[대덕면(김천)|대덕]], 무풍, 설천, [[무주공용버스터미널|무주]] == 문제점 == 이곳은 터미널이 아닌 그냥 정류장으로 봐도 이상할 것이 없는 수준이다. 명색이 [[칠곡군]]의 최대 지역인 왜관의 버스 터미널인데 서비스가 매우 안좋으며, 실제로 대충 훑어봐도 터미널이 아닌 정류장 느낌이 날 것이다. 일반적인 터미널은 터미널 대합실로 나와서 승차장이 있는데 여기는 승차장이 나온 다음에 대합실이 있다. 심지어 매표소[* 원래는 있었으나 칠곡군 버스에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할 무렵 즈음에 자동발매기로 교체되었다. 지금도 자동발매기와 대기실 사이에 창문이 과거 매표소의 흔적.] 조차 없으며, 자동발매기로 전부 대체한다.[* 반면 왜관남부의 경우 자동발매기가 없고 매표소로 대체한다. 참고로 왜관남부의 경우 BUSTAGO 양식의 승차권이 나오지만, 왜관북부는 별도의 옛날 양식 승차권을 사용한다.] 그 외에는 조그만 가게와 커피자판기가 있다. === 노후된 시설 === 왜관북부정류장의 시설은 매우 노후되었다. 대합실은 90년대에나 보던 그런 스타일이며, 시간표 관리도 제대로 안 되어있는 데다가, 대합실도 일찍 문을 닫는다. 대합실 곳곳엔 거미줄이 쳐져 있으며, 구석에 방치된 상태의 전국 지하철 노선도가 있는데, 12~13년도에 있었던 그런 스타일의 지하철 노선망이다. 화장실도 붙어있는 것이 아니라 떨어져 있으며, 위생이 매우 안 좋으며 냄새가 곳곳에 난다. 참고로 대합실과 화장실은 2000년대 초중반 무렵에 한 차례 리모델링을 거친 상태인데 문제는 그 이후 전혀 관리를 안 했다는 게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