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봇치 더 록!)] || {{{#ffffff,#ffffff '''{{{#ff66cc,#ff66cc 외톨}}}{{{#efb432,#efb432 이}}} {{{#5687d0,#5687d0 THE}}} {{{#e24a3f,#e24a3f ROCK}}}{{{#ff66cc,#ff66cc !}}} {{{#ff66cc,#ff66cc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망가타임 키라라 작품)] ---- [include(틀:봇치 더 록!)] ---- }}} || [include(틀:외톨이 THE ROCK! )] ||<-2>
'''{{{+1 {{{#ff66cc,#ff66cc 외톨}}}{{{#efb432,#efb432 이}}} {{{#5687d0,#5687d0 THE}}} {{{#e24a3f,#e24a3f ROCK}}}{{{#ff66cc,#ff66cc !}}}}}}''' {{{#ff66cc,#ff66cc (2022)}}}[br]{{{#ff66cc,#ff66cc ぼっ}}}{{{#efb432,#efb432 ち}}}{{{#5f5f5f,#5f5f5f ・}}}{{{#5687d0,#5687d0 ざ}}}{{{#5f5f5f,#5f5f5f ・}}}{{{#e24a3f,#e24a3f ろっく}}}{{{#ff66cc,#ff66cc !}}}[br]{{{#ff66cc,#ff66cc BOC}}}{{{#efb432,#efb432 CHI}}} {{{#5687d0,#5687d0 THE}}} {{{#e24a3f,#e24a3f ROCK}}}{{{#ff66cc,#ff66cc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occhi The Rock TVA 공식 비주얼 한글어 패치.png|width=100%]]}}} || ||<-2> {{{#ff66cc,#ff66cc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66cc,#ff66cc 장르}}}''' ||[[음악물|음악]], [[일상물|일상]], [[드라마]] || || '''{{{#efb432,#efb432 원작}}}''' ||[[하마지 아키]] || || '''{{{#5687d0,#5687d0 감독}}}''' ||[[사이토 케이이치로]] || || '''{{{#e24a3f,#e24a3f 부감독}}}''' ||[[야마모토 유스케(山本ゆうすけ)]] || || '''{{{#ff66cc,#ff66cc 시리즈 구성}}}''' ||<|2>요시다 에리카(吉田恵里香) || || '''{{{#efb432,#efb432 각본}}}''' || || '''{{{#5687d0,#5687d0 캐릭터 디자인}}}''' ||<|2>[[케로리라]] || || '''{{{#e24a3f,#e24a3f 총 작화감독}}}''' || || '''{{{#ff66cc,#ff66cc 라이브 디렉터}}}''' ||[[카와카미 유스케]] || || '''{{{#efb432,#efb432 라이브 애니메이터}}}''' ||이토 유키(伊藤優希) || || '''{{{#5687d0,#5687d0 프롭 디자인}}}''' ||나가키 아유미(永木歩実) || || '''{{{#e24a3f,#e24a3f 2D 웍스}}}''' ||우메키 아오이(梅木 葵) || || '''{{{#ff66cc,#ff66cc 색채 설계}}}''' ||요코타 아스카(横田明日香) || || '''{{{#efb432,#efb432 미술 감독}}}''' ||모리야스 야스나오(守安靖尚) || || '''{{{#5687d0,#5687d0 미술 설정}}}''' ||taracod || || '''{{{#e24a3f,#e24a3f 촬영 감독}}}''' ||카나모리 츠바사(金森つばさ) || || '''{{{#ff66cc,#ff66cc CG 디렉터}}}''' ||미야지 카츠아키(宮地克明) || || '''{{{#efb432,#efb432 라이브 CG 디렉터}}}''' ||우치다 히로아키(内田博明) || || '''{{{#5687d0,#5687d0 편집}}}''' ||히라키 다이스케(平木大輔) || || '''{{{#e24a3f,#e24a3f 음악}}}''' ||[[키쿠야 토모키]] || || '''{{{#ff66cc,#ff66cc 음향 감독}}}''' ||[[후지타 아키코]] || || '''{{{#efb432,#efb432 음향 효과}}}''' ||야소 쇼타(八十正太) || || '''{{{#5687d0,#5687d0 제작총괄}}}''' ||시미즈 아키라(清水 暁) || || '''{{{#e24a3f,#e24a3f 프로듀서}}}''' ||이시카와 타츠야(石川達也)[br]코바야시 히로유키(小林宏之) || || '''{{{#ff66cc,#ff66cc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우메하라 쇼타]] || || '''{{{#efb432,#efb432 애니메이션 제작}}}''' ||[[CloverWorks]] || || '''{{{#5687d0,#5687d0 제작}}}''' ||[[호분샤]][br][[애니플렉스]] || || '''{{{#e24a3f,#e24a3f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애니메이션/2022년 10월|2022. 10. 09.]] ~ 2022. 12. 25.[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메이션/2022년 10월|2022. 10. 15.]] ~ 2022. 12. 31.^^애니원^^[br][[파일:투명.png|width=20]] [[애니메이션/2022년 10월|2022. 10. 16.]] ~ 2023. 02. 03.^^챔프TV^^ || || '''{{{#ff66cc,#ff66cc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TOKYO MX]] / (일) 00:0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원]] / (토) 00:00 || || '''{{{#efb432,#efb432 스트리밍}}}''' ||[[대원방송#VOD 서비스|JBOX]] [[https://www.jbox.co.kr/v3/content/detail/38091|▶]][br][[Laftel]] [[https://laftel.net/item/41087|▶]][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533378|▶]][br][[TVING]] [[https://www.tving.com/contents/P001682518|▶]][br][[왓챠]] [[https://watcha.com/contents/tRB6xAw|▶]][br][[wavve]] [[https://www.wavve.com/player/vod?programid=CR02_DN0000000418|▶]] || || '''{{{#5687d0,#5687d0 편당 러닝타임}}}''' ||24분 || || '''{{{#e24a3f,#e24a3f 화수}}}''' ||12화 || || '''{{{#ff66cc,#ff66cc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2 {{{#373a3c (언어, 모방위험)}}}}}} || || '''{{{#efb432,#efb432 관련 사이트}}}''' ||[[https://bocchi.rock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TR_anime)] | [[https://www.instagram.com/BTR_isost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tiktok.com/@btr_chiktok|[[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봇치 더 록! 애니메이션 로고.svg|width=90%]] || [[파일:외톨이 THE ROCK! 한글로고.svg|width=90%]] || || '''{{{#ff66cc,#ff66cc 일본판 로고}}}''' || '''{{{#ff66cc,#ff66cc 한국판 로고}}}''' || [[하마지 아키]]의 만화 [[봇치 더 록!]]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사이토 케이이치로]], 캐릭터 디자인은 [[케로리라]], 제작 프로듀서는 [[우메하라 쇼타]]. [[애니메이션/2022년 10월|2022년 10월]]에 방영되었다. == 공개 정보 == * 2021년 2월 19일에 발매된 [[망가타임 키라라 MAX]] 2021년 4월호에서 3권 발매 소식과 함께 [[TV 애니메이션]]화 소식이 발표되었다. * 2021년 12월 18일, 방영 시기와 키 비주얼, 그리고 PV 1탄이 공개됐다. * 2022년 7월 11일, [[애니메이션/2022년 10월|2022년 10월]]이라는 구체적인 방영 시기와 키 비주얼이 공개되었다. * 2022년 9월 14일, [[AbemaTV]]에서 신규 키 비주얼 및 방영 정보를 공개하는 특별 방송을 송신하였다. * 악기 연주 신은 CG나 실사 영상을 일부 참고는 하지만 최종적으론 전부 [[작화|손작화]]로 그린다고 한다. 정확히는 모션 캡처한 CG를 돌려 보면서 구도를 만들고 그걸 참고해서 그리는 프리비즈 기법이라고 한다.[* [[안노 히데아키]]가 [[신 에반게리온 극장판 𝄇]] 때 쓴 기법이다. 실제로 신 에반게리온 제작 다큐를 보고 이 기법을 쓰기로 했다고 한다.] 라이브 신만 참고한 것이며 이외에는 전혀 쓰지 않았다고 한다. 연습하는 장면도 안 썼다고 한다.[[https://twitter.com/kei_globster/status/1626186455134646274|#]] 돈과 시간이 너무 드는 기법이라 다른 장면에선 못 쓴다고 한다. * 1화, 2화 선행 상영회 때 스태프 말에 따르면 여러 사정으로 원작의 일부 수위가 높은 장면들은 애니메이션에서 낮게 나온다고 한다.[* 히토리가 알몸으로 목욕을 하거나 속옷 차림으로 기타를 치는 장면은 전부 수영복 차림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원작과 달리 문화제 편에서 메이드복 차림 히토리의 거유가 부각되지 않게 나왔다.] 중국에서도 [[중국/문화 검열|검열]]을 통과하여 일본과 동시 방영되는 작품이라 이게 영향이 된 것으로 보인다. === PV === ==== 본편 ==== ||<-2>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Fp7lnCp_LW0, width=100%)]}}} || ||<-2> '''티저 PV'''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nomJbjuQXAY,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kXNzx8qh2S8, width=100%)]}}} || || '''PV 제1탄''' || '''PV 제2탄'''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UFvA_pBSog4, 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4px -14px" [include(틀:video, src=https://video.twimg.com/ext_tw_video/1588785396443271168/pu/vid/1280x720/zqqQQclXyDW4UYN8.mp4?tag=12, width=100%)]}}} || || '''애니원 PV''' || '''애니원 예고편''' || ==== 캐릭터 ==== ||<-2>
'''캐릭터 PV'''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zyuZFkbpVZg,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HtI2PPXdQaQ, width=100%)]}}} || || '''{{{#ff66cc,#ff66cc 고토 히토리}}}''' || '''{{{#efb432,#efb432 이지치 니지카}}}'''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zT9O8cJ_hjY, 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ExKWf4h8X_A, width=100%)]}}} || || '''{{{#5687d0,#5687d0 야마다 료}}}''' || '''{{{#e24a3f,#e24a3f 키타 이쿠요}}}''' || ====# 본 PV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1-o7fmQqSNg, width=100%)]}}} || || '''본 PV'''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음악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목''' || 플래시배커[br]{{{-1 フラッシュバッカー / Flashbacker}}} || || '''노래''' || [[결속 밴드]] || || '''작사''' ||<|2> 오토하(音羽-otoha-) || || '''작곡''' || || '''편곡''' || 미츠이 리츠오(三井律郎) || }}}}}}}}} || === 키 비주얼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text-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0px;" [br][[봇치 더 록!|[[파일:외톨이 THE ROCK! 한글로고.svg|width=200]]]]}}}[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ff66cc 45%, #ff66cc 55%, transparent 55%); width: 95%;"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min-width: 25%" {{{#!folding [ 비주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외톨이 THE ROCK! 한글 키비주얼.jpg|width=100%]]}}}|| || '''{{{#ff66cc,#ff66cc 키 비주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캐릭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외톨이 THE ROCK! 캐릭터 비주얼1.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봇치 더 락! 키비주얼1탄.jpg|width=100%]]}}}|| || '''캐릭터 비주얼[br]고토 히토리''' || '''캐릭터 비주얼[br]이지치 니지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봇치 더 락! 키비주얼2탄.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봇치 더 락! 키비주얼3탄.jpg|width=100%]]}}}|| || '''캐릭터 비주얼[br]야마다 료''' || '''캐릭터 비주얼[br]키타 이쿠요''' || }}}}}}}}}}}} ||}}} == 줄거리 == >동영상 투고 사이트에서 >평판이 자자한 기타리스트 [[고토 히토리]]는 >기타밖에 모르는 외로운 소녀였다. > >어느 날, 기타리스트를 찾고 있던 >[[이지치 니지카]]를 만나 >그녀의 밴드 '[[결속 밴드]]'에 >가입한 [[고토 히토리|히토리]]는 새로운 세계에 발을 들이게 되는데… >---- >― [[애니원|[[파일:애니원 로고.svg|width=60]]]] == [[봇치 더 록!/등장인물|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봇치 더 록!/등장인물)] ||
'''등장인물''' || '''성우''' || || '''[[고토 히토리|[[파일:고토히토리_애니메이션.png|width=90]][br]{{{#ff66cc,#ff66cc 고토 히토리}}}]]''' || [[아오야마 요시노]] || || '''[[이지치 니지카|[[파일:이지치니지카_애니메이션.png|width=90]][br]{{{#efb432,#efb432 이지치 니지카}}}]]''' || [[스즈시로 사유미]] || || '''[[야마다 료|[[파일:야마다료_애니메이션.png|width=90]][br]{{{#5687d0,#5687d0 야마다 료}}}]]''' || [[미즈노 사쿠]] || || '''[[키타 이쿠요|[[파일:키타이쿠요_애니메이션.png|width=90]][br]{{{#e24a3f,#e24a3f 키타 이쿠요}}}]]''' || [[하세가와 이쿠미]] || == [[/음악|음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외톨이 THE ROCK!/음악)] [include(틀:외톨이 THE ROCK!/음악)] ||<-4>
[[青春コンプレックス#青春コンプレックス|'''{{{+1 {{{#ff66cc,#ff66cc O}}}{{{#efb432,#efb432 P}}}}}}'''[br]'''{{{#ff66cc,#ff66cc 青}}}{{{#efb432,#efb432 春}}}{{{#5687d0,#5687d0 コ}}}{{{#e24a3f,#e24a3f ン}}}{{{#ff66cc,#ff66cc プ}}}{{{#efb432,#efb432 レッ}}}{{{#5687d0,#5687d0 ク}}}{{{#e24a3f,#e24a3f ス}}}[br]{{{#ff66cc,#ff66cc 청}}}{{{#efb432,#efb432 춘}}} {{{#5687d0,#5687d0 콤}}}{{{#e24a3f,#e24a3f 플}}}{{{#ff66cc,#ff66cc 렉}}}{{{#efb432,#efb432 스}}}''']] || || [[Distortion!!|'''{{{+1 {{{#ff66cc,#ff66cc E}}}{{{#efb432,#efb432 D}}}{{{#5687d0,#5687d0 1}}}}}}'''[br]'''{{{#ff66cc,#ff66cc D}}}{{{#efb432,#efb432 i}}}{{{#5687d0,#5687d0 s}}}{{{#e24a3f,#e24a3f t}}}{{{#ff66cc,#ff66cc o}}}{{{#efb432,#efb432 r}}}{{{#5687d0,#5687d0 t}}}{{{#e24a3f,#e24a3f i}}}{{{#ff66cc,#ff66cc o}}}{{{#efb432,#efb432 n}}}{{{#5687d0,#5687d0 !}}}{{{#e24a3f,#e24a3f !}}}''']] || [[カラカラ|'''{{{+1 {{{#ff66cc,#ff66cc E}}}{{{#efb432,#efb432 D}}}{{{#5687d0,#5687d0 2}}}}}}'''[br]'''{{{#ff66cc,#ff66cc カ}}}{{{#efb432,#efb432 ラ}}}{{{#5687d0,#5687d0 カ}}}{{{#e24a3f,#e24a3f ラ}}}[br]{{{#ff66cc,#ff66cc 달}}}{{{#efb432,#efb432 각}}}{{{#5687d0,#5687d0 달}}}{{{#e24a3f,#e24a3f 각}}}''']] || [[なにが悪い|'''{{{+1 {{{#ff66cc,#ff66cc E}}}{{{#efb432,#efb432 D}}}{{{#5687d0,#5687d0 3}}}}}}'''[br]'''{{{#ff66cc,#ff66cc な}}}{{{#efb432,#efb432 に}}}{{{#5687d0,#5687d0 が}}}{{{#e24a3f,#e24a3f 悪}}}{{{#ff66cc,#ff66cc い}}}[br]{{{#ff66cc,#ff66cc 뭐}}}{{{#efb432,#efb432 가}}} {{{#5687d0,#5687d0 나}}}{{{#e24a3f,#e24a3f 빠}}}''']] || [[転がる岩、君に朝が降る(외톨이 THE ROCK!)|'''{{{+1 {{{#ff66cc,#ff66cc E}}}{{{#efb432,#efb432 D}}}{{{#5687d0,#5687d0 4}}}}}}[br]{{{#ff66cc,#ff66cc 転が}}}{{{#efb432,#efb432 る岩、}}}{{{#5687d0,#5687d0 君に}}}{{{#e24a3f,#e24a3f 朝が}}}{{{#ff66cc,#ff66cc 降る}}}[br]{{{-1 {{{#ff66cc,#ff66cc 구르는}}} {{{#efb432,#efb432 바위,}}}[br]{{{#5687d0,#5687d0 네게}}} {{{#e24a3f,#e24a3f 아침이}}} {{{#ff66cc,#ff66cc 내린다}}}}}}''']]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음악|[[파일:외톨이 THE ROCK 結束バンド 앨범아트.jpg|height=400]]]]}}} || || '''노래''' ||<-3> [[결속 밴드]] || == 회차 목록 == * 셀프 타이틀인 8화를 제외한 전 회차의 부제는 [[결속 밴드]]의 모델이 된 [[ASIAN KUNG-FU GENERATION]]의 노래 제목을 패러디하거나 그대로 차용했다. 개중에서도 1화와 최종화의 제목은 같은 곡의 제목을 절반씩 나누어 차용한 것이다. * 전화 각본: 요시다 에리카(吉田恵里香) * 전화 총 작화감독: [[케로리라]] ||
'''{{{#ff66cc,#ff66cc 회차}}}''' || '''{{{#efb432,#efb432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원]]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5687d0,#5687d0 콘티}}}''' || '''{{{#e24a3f,#e24a3f 연출}}}''' || '''{{{#ff66cc,#ff66cc 작화감독}}}''' || '''{{{#efb432,#efb432 방영일}}}''' || || 제1화 || [[転がる岩、君に朝が降る|転がるぼっち]][br]데굴데굴 외톨이 ||<|2> [[사이토 케이이치로]] || 사이토 케이이치로 || [[케로리라]] || 日: 2022.10.09.[br]韓: 2022.10.15.[br][[https://youtu.be/zflEdeZDKi0|하이라이트]] || || 제2화 || [[ASIAN KUNG-FU GENERATION/싱글#18th 싱글 《それでは、また明日》|また明日]][br]내일 봐 || [[후지와라 요시유키]] || [[스케가와 히로히코]] || 日: 2022.10.16.[br]韓: 2022.10.22.[br][[https://youtu.be/KT3lNxeNWuU|하이라이트]] || || 제3화 || [[サーフ ブンガク カマクラ|馳せサンズ]][br]돌아온 기타 ||<-2> [[야마모토 유스케(山本ゆうすけ)|야마모토 유스케[br](山本ゆうすけ)]] || [[나카무라 하야테]] || 日: 2022.10.23.[br]韓: 2022.10.29.[br][[https://youtu.be/575PjrPag2w|하이라이트]] || || 제4화 || [[ホームタウン|ジャンピングガール(ズ)]][br]점핑걸(즈) ||<-2> [[카리야 노부히데]] || [[Maring Song|마링 송]][br](まりんぐ・そんぐ)[br]케로리라 || 日: 2022.10.30.[br]韓: 2022.11.05.[br][[https://youtu.be/8iHzI04HNf8|하이라이트]] || || 제5화 || [[ASIAN KUNG-FU GENERATION/싱글#7th 싱글 《ブルートレイン》|飛べない魚]][br]날 수 없는 물고기 ||<-2> [[카와카미 유스케]] || [[타카하시 사키]][* [[케로리라]] 말로는 타카하시 사키는 논크레딧으로 5화의 총작화감독도 했다고 한다.] || 日: 2022.11.06.[br]韓: 2022.11.12.[br][[https://youtu.be/6gQGHGpoBm4|하이라이트]] || || 제6화 || [[ASIAN KUNG-FU GENERATION/싱글#23th 싱글 《ブラッドサーキュレーター》|八景]][br]팔경 ||<-2> 후지와라 요시유키[br]카와카미 유스케[*L 라이브] || 케로리라[br]토미타 마리[br](冨田真理) || 日: 2022.11.13.[br]韓: 2022.11.19.[br][[https://www.youtube.com/watch?v=xdOtejdjSbI|하이라이트]] || || 제7화 || [[ASIAN KUNG-FU GENERATION/싱글#6th 싱글 《君の街まで》|君の家まで]][br]너의 집까지 || [[이시이 토시마사|아마타장치키]][* [[이시이 토시마사]]의 필명.][br](アマタジャンチキ) || [[시노하라 케이스케]] || 케로리라[br]박세영[br][[이시다 카즈마사]][br][[카와츠마 토모미]] || 日: 2022.11.20.[br]韓: 2022.11.26.[br][[https://youtu.be/xb6bj5wcEa4|하이라이트]] || || 제8화 || ぼっち・ざ・ろっく[br]외톨이 THE ROCK || 사이토 케이이치로 || 세오 타케시[br](瀬尾 健)[br]카와카미 유스케[*L] || 케로리라[br][[Franziska van Wulfen]][br][[TOMATO(애니메이터)|TOMATO]] || 日: 2022.11.27.[br]韓: 2022.12.03.[br][[https://youtu.be/dDk8fj7gNZs|하이라이트]] || || 제9화 || [[ASIAN KUNG-FU GENERATION/싱글#11th 싱글 《転がる岩、君に朝が降る》|江ノ島エスカー]][br]에노시마 에스카 ||<-2> [[히라미네 요시히로]] || 이토 히로키[br](伊藤弘樹) || 日: 2022.12.04.[br]韓: 2022.12.10.[br][[https://youtu.be/1rb79GHvPVA|하이라이트]] || || 제10화 || [[アフターダーク]][br]애프터 다크 || 카와카미 유스케 || 카와카미 유스케[br]후지와라 요시유키 || 케로리라[br]키쿤[br](きーくん)[br]타카하시 사키[br]마링 송 || 日: 2022.12.11.[br]韓: 2022.12.17.[br][[https://youtu.be/xJobisyYM_8|하이라이트]] || || 제11화 || [[フィードバックファイル 2|十二進法の夕景]][br]십이진법의 저녁 풍경 ||<-2> 야마모토 유스케[br](山本ゆうすけ) || 스케가와 히로히코 || 日: 2022.12.18.[br]韓: 2022.12.24.[br][[https://youtu.be/ErgZ6IsU1RI|하이라이트]] || || 제12화 || [[転がる岩、君に朝が降る|君に朝が降る]][br]너에게 아침이 내릴 거야 ||<-2> 사이토 케이이치로 || 케로리라 || 日: 2022.12.25.[br]韓: 2022.12.31.[br][[https://youtu.be/eujUyAhrqWU|하이라이트]] || == 각 화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 특수 직책 == [[https://gall.dcinside.com/bocchi_the_rock/213404|참여한 애니메이터들을 정리한 글]]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우메하라 쇼타]], 감독 [[사이토 케이이치로]], 캐릭터 디자인 [[케로리라]]의 넓은 인맥으로 인해 베테랑 애니메이터와 [[WEB계 애니메이터]]가 대거 참여했다. 케로리라는 모든 에피소드에서 원화도 그려냈다. [[사이토 케이이치로]] 감독이 파격적인 연출을 해서 다른 애니메이션에 없는 특이한 직책으로 참가하는 사람도 있다. ||<-2> [[파일:외톨이 THE ROCK! 한글로고.svg|height=50]] || || '''{{{#ff66cc,#ff66cc 1화}}}''' || [[사토 토시유키]], [[오다 케이몬]], [[TOMATO(애니메이터)|TOMATO]], [[노나카 마사유키|나카노 코이치]](仲野晃一), [[MYOUN]], [[하마구치 아키라]], 미야치(みやち), 이토 유키(伊藤優希), [[케로리라]]^^60컷 작화^^[* 일반적인 애니는 1화 분량에 300컷 내외의 원화를 쓴다.], [[사토 토시유키]]^^유치원 벽에 걸린 어린이 그림, 논크레딧^^ 등 || ||<-2> || || '''{{{#efb432,#efb432 2화}}}''' || [[케로리라]]^^60컷 작화^^, [[KAWAHAGI]], 오오타니 아오이(大谷藍生), [[나카무라 하야테]], [[스케가와 히로히코]], [[요시카와 토모키]], 토미타 마리(冨田真理) 등 || ||<-2> || || '''{{{#5687d0,#5687d0 3화}}}''' || [[나카무라 하야테]]^^절반 분량(140컷) 작화^^, [[하마구치 아키라]], [[케로리라]]^^20컷 작화^^, [[TOMATO(애니메이터)|TOMATO]], [[우치다 나오토]], 몬자야키우마타로(もんじゃ焼きウマ太郎)[* 정체 불명.]^^파티 피플 밴드 이미지 일러스트^^, [[하마지 아키]][* 원작자.]^^가짜 엔드 카드^^ 등 || ||<-2> || || '''{{{#e24a3f,#e24a3f 4화}}}''' || [[케로리라]]^^60~70컷 작화^^, [[오다 케이몬]], [[하마구치 아키라]], [[코무로 유이치로]], [[사토 토시유키]], [[Moaang]], [[KAWAHAGI]], [[안노 마사토]], [[코바야시 케이스케]], [[타카하시 사키]]^^[[인스타그램|이소스타]] 사진^^ 등 || ||<-2> || || '''{{{#ff66cc,#ff66cc 5화}}}''' || [[산노미야 쇼타]], [[하야시 이사오]], [[마에나미 타케시]], [[아카이 토시후미]], [[타카하시 사키]], [[요시카와 토모키]], [[코무로 유이치로]], 이토 유키^^라이브 원화^^, [[MYOUN]]^^라이브 원화^^, [[케로리라]]^^40컷 작화^^, [[Moaang]]^^제2원화^^, 카미사토(かみさと)^^[[댐]] 영상 제공 협력^^ [* 일본의 [[댐]] 매니아로 이 사람이 찍은 유튜브 영상을 제작진에서 허락을 받아 사용했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j9Y0sll12kD-XbEri-GD5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등 || ||<-2> || || '''{{{#efb432,#efb432 6화[* [[우메하라 쇼타]] 프로듀서가 자신의 작품에 1, 2화 정도 꼭 넣는 신인에게 주로 맡긴 편이다.]}}}''' || [[하마구치 아키라]], 히가시 카나코(東可楠子), 토미타 마리, 와타베 사쿠라(渡部さくら)^^라이브 원화^^, [[케로리라]], 최저야채코너(最低やさいコーナー)^^[[픽셀 아트|도트]] 애니메이션^^[* 도트 느낌의 CG 애니메이션 창작자. [[사이토 케이이치로]] 감독이 "이런 신은 처음 본다. 이런 신이 있었나?"라고 했는데 농담이었다고 한다. 자신이 체크하고 넣은 거 맞다고 한다.], [[오카 유이치]]^^작화 육성감독^^ 등 || ||<-2> || || '''{{{#5687d0,#5687d0 7화}}}''' || [[케로리라]], [[아라카키 잇세이]], [[미야하라 타쿠야]], [[이카라시 카이]], [[히라야마 칸나]], [[쥬라(애니메이터)|쥬라]], [[안노 마사토]]^^작화감독 보좌^^, [[야마자키 준]]^^작화감독 보좌^^, [[사토 토시유키]]^^봇치 클레이 인형 제작^^, [[카리야 노부히데]]^^입체 조이트로프 제작^^ 등 || ||<-2> || || '''{{{#e24a3f,#e24a3f 8화}}}''' || 세오 타케시(瀬尾 健), Mahmoud^^라이브 원화, 마무 명의^^[* [[사우디 아라비아]] 애니메이터. 제2원화 잘 하기로 업계에서 소문난 애니메이터였다. 제1원화는 이번이 데뷔작.], [[사쿠(애니메이터)|사쿠]]^^라이브 원화^^[* 기타치는 친구에게 손 사진 찍어달라고 부탁해서 작화했다고 한다. [[https://twitter.com/saku_pjs/status/1596618465825427456|#]]], [[Nogya]]^^라이브 원화^^, [[TOMATO(애니메이터)|TOMATO]]^^라이브 원화^^, [[코무로 유이치로]], [[하마구치 아키라]], 와타베 사쿠라, [[케로리라]]^^80컷 작화^^, [[나카무라 하야테]]^^작화감독 보좌^^, [[타카하시 사키]]^^작화감독 보좌^^, [[사토 토시유키]]^^봇치 인형 제작[* 7화에서 썼던 인형 재사용.]^^ 등 || ||<-2> || || '''{{{#ff66cc,#ff66cc 9화}}}''' || [[히라미네 요시히로]], 이토 히로키(伊藤弘樹)^^논크레딧^^[* [[케로리라]]에 따르면 9화는 히라미네와 이토가 태반을 그려냈다고 한다. [[https://twitter.com/kerorira1/status/1599065341589884929|#]]], [[하마구치 아키라]], [[타키모토 쇼코]][* 결속 밴드가 [[카메오]]로 나온 [[슬로우 루프/애니메이션|슬로우 루프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디자인 및 총 작화감독이다. 히라미네도 설마했던 "슬로우 루프 콜라보?!"라며 놀라워했다고. [[https://twitter.com/minemineo/status/1599066554548617221|#]]], 토마도(とまど), [[야에가시 요헤이]], [[케로리라]]^^15 ~ 20컷 작화. 작화감독 보좌도 겸업.^^, [[타카하시 사키]]^^작화감독 보좌^^, 토미타 마리^^작화감독 보좌^^, [[사토 토시유키]]^^고토 후타리 그림 일기^^, 요시베 나오키(吉邉尚希)^^우주 애니메이션^^ 등 || ||<-2> || || '''{{{#efb432,#efb432 10화}}}''' || [[천성멍|슈퍼 마메진]], [[코무로 유이치로]], [[Nogya]], Mahmoud, [[Maring Song]], [[케로리라]]^^LO원화 40컷 작화, 수정 원화 40 ~ 50컷 작화^^, [[KAWAHAGI]], [[카리야 노부히데]]^^작화감독 보좌^^, 세오 타케시^^작화감독 보좌^^, 이토 히로키^^작화감독 보좌^^, [[히라미네 요시히로]]^^작화감독 보좌^^, [[오카 유이치]]^^작화 육성감독^^, _karudo[* [[사이키델릭]], [[아방가르드]] 영상 전문 제작자.]^^히로이 라이브 배경 연출, 모션 그래픽스^^ 등 || ||<-2> || || '''{{{#5687d0,#5687d0 11화}}}''' || [[쥬라(애니메이터)|쥬라]], [[야마모토 유스케(山本ゆうすけ)]], [[KAWAHAGI]], [[스케가와 히로히코]]^^세기말 남자 디자인 겸업^^, [[노나카 마사유키|나카노 코이치]], 이토 유키, [[야에가시 요헤이]], [[케로리라]]^^50컷 작화. 작화감독 보좌도 겸업^^, [[코이데 타쿠시]], [[나카무라 하야테]]^^작화감독 보좌^^, 토미타 마리^^작화감독 보좌^^, 후쿠모토 타츠야(福本達也)^^고토 히토리 CG 애니메이션^^, 야마모토 유마(山本優馬)^^트럭 CG 애니메이션^^, [[안노 마사토]]^^고토 히토리 폴리곤 모델 제작^^ 등 || ||<-2> || || '''{{{#e24a3f,#e24a3f 12화}}}''' || [[요시카와 토모키]], 히가시 카나코, 이토 유키, [[마에나미 타케시]], [[오다 케이몬]], [[쿠가이 노리후미]], [[사이토 케이이치로]], [[케로리라]]^^90컷 작화^^, [[MYOUN]]^^제2원화^^, [[오카 유이치]]^^작화 육성감독^^, [[하마지 아키]]^^엔드 카드^^ 등 || ||<-2> || == 방송국 일람 == ||
[[파일:외톨이 THE ROCK! 한글로고.svg|width=200]][br]'''{{{+1 방송국 일람}}}'''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12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일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방영기간''' || '''{{{#efb432,#efb432 방영시각}}}''' || '''{{{#5687d0,#5687d0 방송국}}}''' || '''{{{#e24a3f,#e24a3f 방송지역}}}''' || '''비고''' || ||<|6>2022. 10. 09. ~ 2022. 12. 25. ||<|4>(일) / 00:0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TOKYO MX]] ||일본 [[간토]] 지역 ||<|4>'''최속 방송국''' || ||[[BS11]] ||일본 전역 {{{-2 (BS 방송)}}} || ||[[도치기 TV|도치기 테레비]] ||일본 [[도치기현]] 지역 || ||[[군마 TV|군마 테레비]] ||일본 [[군마현]], [[사이타마현]] 북부, [[도치기현]] 서부 지역 || ||(일) / 01:28 ||[[미야자키 방송]] ||일본 [[미야자키현]] 지역 || || ||(일) / 03:08 ---- (일) / 02:38 {{{-2 (12화)}}} ||[[마이니치 방송|MBS]] ||일본 [[오사카부]], [[교토부]], [[시가현]],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지역 || || ||2022. 10. 10. ~ 2022. 12. 26. ||(월) / 22:30 ||[[AT-X]] ||일본 전역 {{{-2 (CS 방송)}}} || || ||2022. 10. 14. ~ 2022. 12. 30. ||(금) / 03:00 ||[[RKB마이니치 방송]] ||일본 [[후쿠오카현]] 지역 ||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12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한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화수''' || '''{{{#efb432,#efb432 방영기간}}}''' || '''{{{#5687d0,#5687d0 방영시각}}}''' || '''{{{#e24a3f,#e24a3f 방송국}}}''' || '''비고''' || || ||2022. 10. 15. ~ 2022. 12. 31. ||(토) / 00:00 ||[[애니원]] ||'''최속 방송국''' || ||1~3화 ---- 4~12화 ||2022. 10. 16. ~ 2022. 10. 30. ---- 2022. 12. 09. ~ 2023. 02. 03. ||(일) / 00:00 ---- (금) / 21:00 ||[[챔프TV]] || || ||1~4화 ---- 5~8화 ---- 9~12화 ||2023. 03. 27. ---- 2023. 04. 03. ~ 2023. 04. 10. ---- 2023. 04. 22. ~ 2023. 04. 29. ||(월) / 21:00 {{{-2 (1~8화)}}} ---- (토) / 00:00 {{{-2 (9~12화)}}} ||[[애니박스]] ||1~4화 한정 4화 연속 방송.[br]5화 이후는 2화 연속 방송. || }}}}}}}}}}}} || == [[/해외 공개|해외 공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외톨이 THE ROCK!/해외 공개)] === [[/해외 공개#대한민국|대한민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외톨이 THE ROCK!/해외 공개, 앵커=대한민국)] == [[/평가|평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외톨이 THE ROCK!/평가)] == 흥행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t8hhaEne9Xs, width=100%)]}}} || || '''[[닛폰 테레비|{{{#ff66cc,#ff66cc 닛폰 테레비}}}]] [[news every.|{{{#ff66cc,#ff66cc news every.}}}]] 2023년 2월 3일 방송분''' ||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어마어마한 흥행을 기록하며 [[애니메이션/2022년 10월|2022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의 '''다크호스'''로 등극했다. 인기가 어찌나 대단한지 위 영상에 나오듯 일본 지상파 방송에서 특집 코너까지 마련해 자세히 다룬 적이 있으며, [[아사히 신문]] 등 메이저 언론사들도 본작이 가져온 봇치 더 록! 현상을 주목하고 있다.[[https://www.asahi.com/articles/ASR296475R28PTLC007.html|#]] 흥행의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인 광매체 판매량이 큰 폭으로 늘어 [[아마존재팬]] 등에서 예약 & 판매량 1~5위를 석권했으며, 원작은 온&오프라인 판매량이 예상보다 너무 높아져 증쇄를 하는데도 수요를 따라가기 벅찰 지경이라고 한다. 트위터 트렌드는 1만건부터 시작해 5화, 8화를 걸치면서 10만건을 넘어서더니 결국 12화에서 59만건을 달성했다.[[https://twittrend.jp/time/23424856/|#]] 4분기 작품 중에선 [[체인소 맨/애니메이션|체인소 맨]] 1화에 이은 대기록이다. 낮은 인지도로 시작했다가 중반부터 포텐이 터져 화제작으로 입성한 모습이 3분기 작품인 [[리코리스 리코일]]과 매우 흡사하다는 의견이 많다. BD 판매량과 트위터에서의 화제성과는 별개로 일본 OTT 순위에선 일부 플랫폼의 애니 부분 랭킹이 1위인 기록이 존재하기도 했으나 전체 순위에서는 중하위권으로 기록되었다. 이렇게 OTT 쪽에서 순위가 낮게 나온 건 이 작품이 일본에서 이용자가 적은 [[ABEMA]]에서 1주 선행 방영하는 계약을 맺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방 당시 반응은 좋았지만 본방을 놓치면 ABEMA 이외의 [[OTT]]에서는 3일 뒤인 화요일 12:00부터 볼 수 있었고, 접근성이 크게 떨어진 것이다. 스폰서 [[애니플렉스]]와 [[우메하라 쇼타]] 프로듀서는 이 작품이 이렇게 히트할 것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당연한 것이 본작은 제작사의 모회사가 원작 출판사 [[호분샤]]와 공동 스폰서로서 출자한 작품이다. 당연히 여러 스폰서가 끼는 [[제작위원회]] 체제보다 리스크가 더 커질 수 밖에 없다.][* 독점 계약은 보통 흥행이 불투명한 애니가 돈을 더 받고 리스크를 피하면서 제작비를 회수하고자 하는 계약이다. 흥행이 잘 되는 애니는 리스크를 감수하고 여러 OTT에서 동시 서비스하는 게 수익성 면에서 훨씬 유리하다.] 한국에서는 원작의 낮은 인지도로 인해 애니메이션 방영 초반은 그리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본진인 일본과 마찬가지로 입소문을 타면서 방영 중후반부터 초인기작으로 자리매김해 종영되고 몇달이 지난 2023년 초중반에도 작품에 대한 언급이 꾸준하게 나오고 있다. 덕분에 원작 판매량도 엄청나게 늘어 단행본은 신간이 발매되면 1~2주도 안되어 온&오프라인에서 전부 품절이 떠서 구하기 어려중 정도. 다만 애니메이션의 한국 공식 수입사인 [[대원방송]]의 방영시간이 일본 최속에 비해 훨씬 늦은데다 자막의 퀄리티 또한 그다지 좋지 않다는 평을 받으면서 일본 최속 방송 중계방을 통한 시청 및 불법 자막과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를 이용해 시청하는 사람들이 존재하기도 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한국에서 애니메이션 팬들에게 가장 인지도가 높은 스트리밍 사이트 [[Laftel|라프텔]]에서는 한일 동시 방영 당시 서비스가 불발되었다는 점이 발목을 잡았다. 애니메이션 종영 후인 2022년 12월 27일 기준 [[오리콘 차트]] 데일리 랭킹에서 둘 다 2022년 12월 28일에 발매된 음반 [[결속 밴드(음반)|결속 밴드]]는 1위, Blu-ray & DVD 1권은 2위를 차지하였다. 일반적으로 [[덴츠]]나 [[ADK]] 등 광고대행사를 비롯해 여러 기업들이 리스크 분산을 위해 공동 출자해 조직하는 [[제작위원회]] 체제와 달리, 본작은 제작사 [[CloverWorks]]의 모회사 [[애니플렉스]]와 원작 출판사인 [[호분샤]] 단 둘이서 직접 출자한 작품이다. 때문에 처음에는 흥행 여부에 대한 리스크가 크다는 점을 고려해 전술한 대로 OTT도 독점으로 계약해야 하는 등 접근성 관련해서 진통도 있었다. 따라서 본작의 흥행 초대박은 불리했던 인지도 및 접근성에도 불구하고 높은 완성도로 기존의 원작 충성층과 유입층 모두에게 호평을 받고 그대로 상업적 흥행으로 드러난 의미 깊은 성과다. 그야말로 제 2의 [[케이온!/애니메이션|케이온!]]이라 할 수 있다. == 원작과의 차이점 == * {{{#!folding 1화 ▼ * 원작에서는 첫 만남시 니지카가 히토리와 STARRY에 가는 도중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면서 기타 히어로에 대해서도 언급하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STARRY에 가서 라이브 연습을 한 후 료와 히토리까지 있을 때 언급한다. * 히토리의 [[에코백]]에 붙은 캔 뱃지 디자인이 원작에 비해 구체적으로 묘사되었는데, 실제 일본에서 활동중인 유명 록밴드 [[THE BACK HORN]], [[SUPER BEAVER]], 더 크로마뇽즈(ザ・クロマニヨンズ)[* [[블루 하츠]]의 코모토 히로토와 마시마 마사토시가 결성한 밴드.], [[크리프하이프]], [[넘버 걸]], [[삼보마스터]], [[My Hair is Bad ]], [[UNISON SQUARE GARDEN]]의 것이다. 저작권 문제 때문인지 밴드 이름 및 로고 디자인은 일부 변형했다. [[파일:봇치뱃지.jpg]]}}} * {{{#!folding 2화 ▼ * 히토리가 얼음 목욕을 하는 장면과 선풍기 앞에서 기타 연습하는 장면은 원작에선 각각 알몸과 속옷 차림이었으나, 애니메이션에선 검열 문제 때문인지 전부 학교 수영복으로 바뀌었다.}}} * {{{#!folding 3화 ▼ * 기타의 기본을 모르는 키타를 보고 히토리가 당혹스러워 하는 [[데스노트]] 패러디([[이 자식 안 되겠어 빨리 어떻게든 하지 않으면]])가 애니메이션에서는 삭제되었다.}}} * {{{#!folding 4화 ▼ * 히토리가 보컬이 무리라고 말하는 장면에서, 원작에서는 속으로는 속으로는 사실 보컬을 하고 싶었다고 생각하는 진지한 장면이 있었으나, 애니메이션에서는 고개를 도리도리 흔드는 장면으로 바뀌었다.[* 원래는 작가가 나중에 히토리가 보컬에 도전하는 전개를 생각해뒀으나 폐기하였고, 이 때문에 애니에서는 의미 없는 복선이 된 해당 대사를 빼 버리고 개그신으로 대체한 것 아니냐는 설도 있다.] * 단체 점프 사진 찍다가 히토리의 팬티가 노출되는 에피소드는 원작에선 제대로 판치라 사진을 보여주나, 애니메이션에선 노출 관련 언급만 나오고 어떻게 찍혔는지는 보여주지 않는다. 역시나 검열 문제 때문에 수정한 것으로 추정. * 료가 야생초를 먹고 체한 것으로 배경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개그씬이 있었으나 생략되었다.[* 대신 3화 막판에 료가 야생초를 뜯어먹으면서 등장하는 것으로 대체했다.] * 원래는 사진촬영 에피소드 이후 시점에 진행되는 별개의 이야기였던 히토리의 작사 에피소드가 통합되었다. 영화 [[토요일 밤의 열기]]의 [[https://youtu.be/LUID0jSh2Ic?si=AiABDKUIwcFOwJfS&t=77|디스코 댄스]] 등 자잘한 패러디가 추가.}}} * {{{#!folding 5화 ▼ * 오디션을 마치고 긴장한 히토리가 구토를 하는 장면이 원작에선 평범하게 묘사되었는데, 애니메이션에선 '''[[댐]] 방류 영상'''을 몇 개 곁들여 간접 표현하는 특이한 연출을 사용했다.}}} * {{{#!folding 6화 ▼ * 원작에선 히로이의 오른손 손등에 [[만다라]] 문양의 [[타투]]가 있고 옷에도 [[석산]] 무늬가 들어가 있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삭제되었다. * 히토리가 망상을 하는 도중 나오는 천사 날개 기타는 실존하는 제품으로, 일본의 유명 록밴드 [[The Alfee]]의[* 한국에선 [[몬타나 존스]]의 오프닝 곡인 [[모험자들]](冒険者たち)을 부른 것으로 유명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_Fyj0cYMIEE|영상]] 참고로 한국에선 배우 [[이정열(배우)|이정열]]이 [[https://www.youtube.com/watch?v=SoGivLC5sbU|한국어 번안 버전]] 보컬을 맡았다.] 보컬 겸 기타리스트 타카미자와 토시히코(高見沢 俊彦)가 [[ESP(기타)|ESP]]에 특별주문을 넣어 소장중인 시그니처 기타다. [[https://www.google.com/search?q=%E9%AB%98%E8%A6%8B%E6%B2%A2+%E4%BF%8A%E5%BD%A6+%E3%82%AE%E3%82%BF%E3%83%BC&source=lnms&tbm=isch&sa=X&ved=2ahUKEwjgz4XIkqv7AhUDCd4KHVoDD0AQ_AUoAXoECAEQAw&biw=1242&bih=597&dpr=1.1|관련 이미지]] * 히로이의 '행복 스파이럴'에 배경 삽화가 추가되었는데, 이는 일본에서 '[[https://moto-neta.com/net/izon-no-akujunkan/|약물의존의 악순환]]'이라는 인포그래픽이 한 때 밈으로 흥했던 것을 활용한 것이다.}}} * {{{#!folding 7화 ▼ * 히토리가 니지카에 의해 앞머리가 노출된 시퀀스는 원작에서는 별도의 연출이나 대사 없이 봇치 먼지에 감염된 니지카와 키타가 쓰러지는 장면으로 간단히 끝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의 부해 패러디가 다수 첨가되었고, 니지카와 키타의 멘붕한 대사가 추가되어 개그 포인트를 살렸으며, 이 참상을 본 고토 家의 리액션이 추가되었다. * 니지카가 디자인한 티셔츠가 최종적으로 채택되었을 때 애니메이션에서는 히토리가 "그럼 니지카가 처음부터 혼자서 디자인했으면 됐던 거 아닌가?"하는 독백을 하고 니지카가 이 속마음을 정확히 읽어내면서 히토리가 "에스퍼(초능력자)냐!"라고 놀라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 {{{#!folding 8화 ▼ * 첫 라이브를 마친 히토리가 이자카야에서 [[하얗게 불태웠어|하얗게 불태운]] 장면은 원작에도 있는 [[내일의 죠]]의 패러디이지만, 애니메이션에는 원작에 없는 추가 요소가 있다. 히토리가 "난 이제 지쳤어"라는 대사를 읊고 하늘에서 기타와 마이크 천사가 내려오는데, 이 부분은 [[플랜더스의 개/애니메이션|플랜더스의 개(1975년 애니메이션)]] 최종화의 패러디. 때문에 [[이지치 세이카|세이카]]가 '그건 다른 작품'이라고 태클을 건다. * 참고로 이번 화까지 원작 단행본 1권까지의 내용을 다뤘다.}}} * {{{#!folding 9화 ▼ *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원작의 2학기 중간고사 에피소드가 통편집되었고, 일부 내용만이 본편에 포함되었다. 9화 본편에 삽입된 부분은 료의 공부 머리와 관련된 만담. 이외에도 고토의 성적과 관련된 이야기는 약간의 각색을 거친 후 9화 웹예고편에 삽입.}}} * {{{#!folding 10화 ▼ * 일라이자가 덕밍아웃을 하며 꺼내는 것이 망가타임 키라라 MAX에서 [[슬로우 루프]] 키링으로 바뀌었다. * FOLT에서의 라이브 이후 히로이가 벽을 부수는 장면이 원작에서는 킥, 애니메이션에서는 펀치. * 키타가 문화제 공연 신청서를 내버린 사실에 놀란 히토리의 얼굴 묘사가 보강되었다. 원작에도 있던 [[에드바르트 뭉크]]의 '절규'에 더해, [[파블로 피카소]]의 [[입체파]]스러운 묘사까지 추가되었다.[* 여담으로 이 피카소 얼굴개그 장면은 굿즈로도 출시되었다.] * 문화제 공연을 위한 세트리스트를 짜는 과정에 일부 변경이 있다. 히토리의 기타 솔로를 넣기로 한 타이밍이 원작에서는 세 곡 중 마지막이었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두 번째 곡으로 바뀌었다.}}} * {{{#!folding 11화 ▼ * 히토리에게 섹시 컨셉으로 동영상을 찍게 해 조회수를 빨아먹으려는 료의 계획 가운데 '테이프를 둘둘 감고...'를 운운하는 대목이 있는데, 이는 [[니시카와 타카노리]]의 싱글 [[HOT LIMIT]]의 자켓에 사용된 기괴한 의상의 패러디이다. 입는 사람의 성별을 막론하고 원본이 워낙 노출도가 높은 의상이라 원작에 비해 애니메이션에서는 디자인이 약간 변경되었고, 원작에는 있었던 HOT LIMIT 패러디를 의식하는 반응 역시도 삭제되었다. * 메이드 카페 관련 장면에 [[케이온!/애니메이션|케이온!]]의 문화제 에피소드를 의식한 묘사가 일부 추가되었다. * 마지막 연습 전 빈 체육관에 들러 각오를 다지는 시퀀스가 추가되었다. * 히토리가 사용하는 기타가 아버지의 것을 빌린, [[복선#s-2|꽤 오래된 물건]]임을 강조하는 대화가 추가되었다. 공연 개시 직전에 히토리의 기타 헤드 머신이 화면에 잡히며 [[복선#s-2|날카로운 잡음]]이 들리는 것 역시 비슷한 맥락의 연출. * 원작과 달리 문화제 공연에서 히로이 이외에도 히토리를 보러 온 관객의 묘사가 추가되었다(히토리의 가족, 팬 1&2호, 반 친구들 등). 이에 맞춰 '(자기 이외의 멤버에게만 시선이 쏠릴 줄 알았던) 예상과 달랐다'라며 뒤늦게 기뻐하는 대사가 들어갔다. 원작에서는 문화제 이전 시점에 히토리의 가족이 STARRY에 처음으로 공연을 보러 온 이야기가 특별편으로 연재된 바 있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문화제 공연이 첫 참석인 것으로 변경되었다.}}} * {{{#!folding 12화 ▼ * 10화에서의 변경 사항대로 히토리의 기타 고장과 다이빙 사태가 두 번째 곡에 발생한 것으로 변경되었다. 분량 문제나 연출 템포[* 원작에서는 히토리가 불안정한 튜닝을 두 곡 내내 마음에 걸려하고 이 부분을 두 컷만 써서 간략하게 묘사할 수 있었지만, 라이브 장면을 전부 그려내는 애니메이션판에서는 그런 생략이 불가능하다.] 등을 고려한 각색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일단 세 곡의 공연을 전부 끝내기는 끝냈던 원작과는 다르게 애니메이션판에서는 공연 자체를 계획대로 끝내지 못해 다이빙 사태의 임팩트가 더욱 강조되었다. * 분량 문제 상 오차노미즈 악기점 방문 에피소드의 많은 부분이 생략되었다. 짤린 부분은 하이엔드 코너에서의 만담, 세이카가 악기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했을 시절의 이야기 등. * 참고로 이번 화까지 원작 단행본 2권 중반까지의 스토리를 다뤘다. 2권 후반부 내용인 히토리 & 니지카의 기타 히어로 영상 제작, 포이즌 야미 관련 에피소드는 영상화되지 못했다.}}} == 영상 == === 회차별 WEB 예고편 === ||
[[파일:외톨이 THE ROCK! 한글로고.svg|width=200]][br]{{{+1 '''회차별 WEB 예고편'''}}}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1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5Bm-tDRBxA, width=100%)]}}} ||}}}}}}}}}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2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aPdMKF2DRY, width=100%)]}}} ||}}}}}}}}}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3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G-KTcrYic, width=100%)]}}} ||}}}}}}}}}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4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6WaMSZo0ok, width=100%)]}}} ||}}}}}}}}}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5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QJ3eBMKFE0, width=100%)]}}} ||}}}}}}}}}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6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JqjGAJdG6o, width=100%)]}}} ||}}}}}}}}}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7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37OUWLHtR4, width=100%)]}}} ||}}}}}}}}}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8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AIbOKtk6Es, width=100%)]}}} ||}}}}}}}}}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9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I05dQocBtI, width=100%)]}}} ||}}}}}}}}}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10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2IYvO8JL8O4, width=100%)]}}} ||}}}}}}}}}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11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Gb0w2_VviY, width=100%)]}}} ||}}}}}}}}}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12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JvQflmHRKw, width=100%)]}}} ||}}}}}}}}} || == [[/미디어 믹스|미디어 믹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외톨이 THE ROCK!/미디어 믹스)] == 기타 == ||
'''{{{#ff66cc 봇치 더 록! 애니화 기념 축전}}}'''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ff66cc {{{#!folding [ 사진 펼치기 • 접기 ] [[파일:봇치 더 록! 애니화 기념 축전.jpg|width=100%]]}}}}}}}}} || * 애니메이션과 원작의 시공간이 서로 다르다. 원작에서는 24화에서 히토리가 가져온 포스터에 '[[미확인 라이엇]] 2018'이라는 문구가 나오고 또 25화에 유튜브 영상을 투고할 때 [[2017년]] [[10월 18일]]이라는 구체적인 연도가 나와 작중 시대상이 구체적으로 2017년이라는 것이 명시되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10화에서 FOLT 대합실 벽에 각각 2021년과 2022년에 붙은 띠지가 묘사된다. 이로 볼 때 애니메이션은 원작보다 시대상이 4~5년 뒤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 애니메이터 [[히라야마 칸나]]가 참가하고 싶다고 언급했으며, 실제 7화에 참여했다. * 캐릭터 디자이너 겸 총 작화감독 [[케로리라]]가 [[우메하라 쇼타]] 프로듀서에게 이 만화를 다뤄보고 싶다는 제안을 해와 애니메이션화가 성사된 케이스라고 한다. 마침 CloverWorks의 애니화 후보에 이 작품이 있었고, [[호분샤]] 측에서도 2010년대 후반부터 차기 간판작으로 만들기 위해 이래저래 마케팅적으로 밀어주던 작품 중 하나이기에 관계자들간 물밑 협상이 수월하게 진행됐다고. 이 과정에서 케로리라가 감독으로 [[사이토 케이이치로]]를 지명했다고 한다. 참고로 작중 OST를 담당한 스태프들이 2019년부터 틈틈히 곡 작업을 했다는 언급을 하는 것으로 보아 작품의 전체적인 완성에 약 3년의 긴 시간을 들여 정성을 다했다는 걸 알 수 있다. * 우메하라 프로듀서는 본작을 자신이 [[동화공방]] 재직 시절 처음 제작 프로듀서를 맡았던 애니메이션을 토대로 만들고 있다고 언급했는데, 2016년에 방영된 [[삼자삼엽/애니메이션|삼자삼엽]]을 의미한다. 참고로 그는 제작진행, 제작데스크 시절의 경력까지 합치면 대부분 일상물과 [[망가타임 키라라]] 계열 작품에 많이 관여했다. * 잡지 인터뷰 및 성우 라디오에서 나오는 언급을 보면 원작자 [[하마지 아키]]가 제작에 깊히 관여하며 감수를 하는 식으로 퀄리티를 높이는데 공을 들이는 것으로 보인다. * 작중에 등장하는 악기들은 본래 CG 버전으로 넣으려고 했는데, 이런저런 협의 끝에 담당 애니메이터들이 전부 손으로 그렸다고 한다. 애니메이터 왈 ‘[[건담#s-2.2|건담]] 그리는 것 같았다.’[* 실제로 악기는 기본적으로 선을 많이 쳐야하기 때문에 메카물 작화만큼 애니메이터들이 그리기 어려워하는 축에 속한다.] * 애니메이션 종영 직후 [[굿스마일 컴퍼니]]에서 [[넨도로이드]] [[고토 히토리]]의 채색이 완료된 상태로 공개되었다.[[https://twitter.com/gsc_kahotan/status/1606676069611966464|#]][* 애니메이션 방영 중에 이미 목업이 완료된 상태로 공개된 적이 있다.] [[파티피플 공명]]이나 [[그 비스크 돌은 사랑을 한다]][* 애니 1기 방영 종료 이후, 한참 후에야 넨도로이드 예약을 개시했다.]때와는 달리, 평소 굿스마답게 상품화가 빨랐다는 평을 받고 있다. 물론 다른 제품에 비해서는 상품화가 살짝 늦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 마스코트 chiitan이 박스에 들어간 히토리의 코스프레를 했다. [[https://twitter.com/chiitan7407/status/1608389187157528576|#]] * [[야마하]]에서 생산 중인 여러 [[악기]] 및 [[음향기기]]가 등장하는데, 야마하에서는 아예 작중에서 등장하는 제품을 소개하는 특별 페이지까지 만들었다. [[https://jp.yamaha.com/products/contents/guitars_basses/btr_collabo/index.html|일본어 페이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ero2_pc_35f1.webp|width=100%]]}}} || || '''[[야마하|{{{#ff66cc YAMAHA}}}]] {{{#FEFEFE /}}} [[스타인버그|{{{#efb432 steinberg}}}]] {{{#FEFEFE /}}} [[Ampeg|{{{#5687d0 Ampeg}}}]] {{{#FEFEFE /}}} [[Marshall|{{{#e24a3f Marshall}}}]]''' || * 본작 애니화 이전에 있었던 동일한 키라라 계통 만화인 [[슬로우 루프/애니메이션|슬로우 루프 애니판]]에서 [[결속 밴드]]가 정지화상으로 카메오 출연 했는데, 당시는 본작이 히트를 치리라고는 상상도 못했던 시기이기 때문에, 본작이 히트를 치자 그 장면이 재발굴되었다. * 위에서도 언급했듯 작품내에 수많은 패러디가 들어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eOuvfC9PhIU|모음집]]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봇치 더 록!, version=29, paragraph=5.1)] [[분류:외톨이 THE ROCK!]][[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