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요르단)] ||<-7>
[[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20]]''' {{{#000 요르단 외교 관련 틀}}}''' [[파일:요르단 국장.svg|width=20]] || ||<-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서아시아의 외교)] [include(틀:요르단의 대외관계)] [include(틀:요르단 관련 문서)] }}} || [목차] == 개요 == 요르단의 외교에 대한 문서. 요르단은 기본적으로 친서방국가로 미국, 유럽 국가들과 매우 가깝다. 반면, 러시아와는 사이가 [[반러|매우 좋지 못한 편이다.]] 옆나라인 [[사우디아라비아]]와는 언어, 문화, 종교에서 매우 가깝고 매우 우호적이다. [[이스라엘]]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지만 [[팔레스타인]]을 지지하고 있으며 북한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지 않고있다. == [[아시아]] == === [include(틀:국기, 국명=사우디아라비아, 출력=, 크기=40)]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사우디아라비아-요르단 관계)] 사우디와는 언어, 문화, 종교에서 매우 가깝다. 양국은 [[아랍 연맹]], [[이슬람 협력기구]]의 회원국이다. 그리고 사우디 왕족들과 부자들이 자국에서 금지된 술을 마시려고 술 판매가 허용된 요르단으로 자주 놀러오기도 한다.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크기=40)] [[대한민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요르단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출력=, 크기=40)] [[북한]]과의 관계 === [[1974년]]에 [[북한]]과 수교했다. 하지만 [[2018년]]에 요르단은 미국을 지지하며 북한과의 관계를 단절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2848108?sid=104|#]]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크기=40)] [[중국]]과의 관계 === 그리고 [[중국]]과 협력적인 관계이지만 최근들어 중국 물품들이 많이 들어와 상인들의 생계를 위협을 받았다. 그래서 일반 국민들은 중국에 긍정적이지 않다. [[http://www.pewglobal.org/2017/07/13/more-name-u-s-than-china-as-worlds-leading-economic-power/pg_2017-07-13_views-on-china_3/|#]] ===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출력=, 크기=40)] [[이스라엘]]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요르단-이스라엘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팔레스타인, 출력=, 크기=40)] [[팔레스타인]]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팔레스타인-요르단 관계)] 이스라엘과 달리 팔레스타인과는 사이가 매우 좋은 편이다. 그리고 요르단내에는 수많은 팔레스타인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요르단도 팔레스타인을 지지하고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시리아, 출력=, 크기=40)] [[시리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요르단-시리아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이라크, 출력=, 크기=40)] [[이라크]]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라크-요르단 관계)] 서로 가까이 접해있고 역사적으로 같은 왕국이었던 적도 있어 지금도 관계가 좋은 나라이다. === [include(틀:국기, 국명=이란, 출력=, 크기=40)] [[이란]]과의 관계 === 육지 국경과 페르시아만 해상으로 거리가 맞닿아 있는 이라크와 이란, 사우디와 이란과는 다르게 거리가 먼 나라이지만, 양국 모두 요르단은 수니파, 이란은 시아파, 친서방 국가와 반서방 국가로 종파와 정치 노선이 달라 서로 사이가 좋지 않으며, 1980년대 이란-이라크 전쟁에서도 요르단은 이란과 전쟁 중이던 이라크를 지원했다. 단 이란과 국교를 단절했거나 단교한 이력이 있던 이라크나 사우디와는 달리, 요르단은 이란과도 대사급 수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사실 이란의 입장에서 요르단까지 적대하게 되면 수니파 중동 지역에서 그나마 합리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수니파 국가를 잃게 되는지라 요르단과의 관계 유지에 무척 신경을 쓴다.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 출력=, 크기=40)] [[인도]]와의 관계 === 자국민 절대다수가 힌두교를 믿는 국가이지만 힌두교 못지 않게 이슬람 교도의 인구가 많은 인도와도 외교적으로 사이가 좋은 편이다. == [[유럽]], [[아메리카]] ==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출력=, 크기=40)] [[러시아]]와의 관계 === 요르단은 미국, 영국과의 관계와 달리 러시아와의 관계는 [[반러|좋지 못한 편]]이다. 요르단은 근대 [[체르케스인]] 난민들이 유입되었고, 이들이 러시아 제국 내 탄압 받은 역사가 알려지면서 반러감정 성향이 있는 편이다. [[친러]] 성향이 없지않은 팔레스타인과는 반대되는 상황이다. 특히, 러시아에 대해서 우호적이지 않다고 답한 비율이 80%에 달했다.[[http://www.pewglobal.org/database/indicator/27/survey/17/response/Unfavorable/|#]] === [include(틀:국기, 국명=그리스, 출력=, 크기=40)] [[그리스]], [include(틀:국기, 국명=키프로스, 출력=, 크기=40)] [[키프로스]]와의 관계 === 오스만 제국 지배에 시달려서 [[이라크]]와 똑같이 [[그리스]], [[키프로스]]와는 매우 좋은 관계이고 2019년 4월 14일에 요르단, 키프로스, 그리스는 정상회담을 가졌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이 두 국가 해법을 기초로 대화를 통한 포괄적인 평화 프로세스 지지의사를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09172909|#]]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출력=, 크기=40)] [[영국]],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크기=40)] [[미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국-요르단 관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국-요르단 관계)] 기본적으론 친서방국가이기 때문에 [[미국]], [[영국]]과의 관계가 완만한 편이다. 그리고 미국, 영국과는 협력을 중요시하고 있다. 영국인 경우 [[트란스요르단|요르단을 위임통치 했던 적이 있었다]]. 요르단이 최근 미국의 친이스라엘적 행보에 불만을 품고 친미, 친서방 외교에서 탈피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소식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0852845|#]] == [[아프리카]] == === [include(틀:국기, 국명=이집트, 출력=, 크기=40)] [[이집트]]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집트-요르단 관계)] == 지역별 관계 == * [[한국-요르단 관계]] * [[이라크-요르단 관계]] * [[요르단-이스라엘 관계]] * [[요르단-팔레스타인 관계]] * [[사우디아라비아-요르단 관계]] * [[요르단-시리아 관계]] * [[영국-요르단 관계]] * [[미국-요르단 관계]] * [[이집트-요르단 관계]]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689986?sid=104|<초점> `불안한 중립지대' 요르단 현실외교]] == 관련 문서 ==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요르단, version=505)] [[분류:요르단의 외교]][[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