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가면라이더 시리즈/개그 에피소드)] [목차] == 개요 == [[가면라이더 카부토]] 29화 '어둠의 키친'과 30화 '된장국 승천'을 묶어서 가리키는 말이다. 팬들에게는 가면라이더 시리즈 최고의 [[쿡방]]&[[먹방]] 에피소드로 불린다. 하필이면 이 두 화의 각본이 [[이노우에 토시키]]인 바람에, 요리 관련 스토리가 비중이 커진다. 그래서 스토리는 그냥 개그 일색으로 거기다 요리사로 의태한 웜인 [[이케스 이치로]]의 요리를 먹은 후의 연출이 실로 가관. 등장인물들이 대놓고 망가져버린다. 작중 몇 안되는 텐도의 얼빠진 모습과 라이더 역사상 최고의 요리사 텐도의 진면목을 알 수 있는 에피소드이다. 그리고 등장인물들이 진지한데 개그스럽다. 쉽게 말해 [[왠지 병신 같지만 멋있어|○신 같지만 멋진 스토리]]. == 왜 만들어졌나? == 보통 이런 종류의 개그 에피소드는 가면라이더를 비롯한 장편 시리즈에선 작 중반에 흔히 삽입되어 극의 긴장을 어느 정도 풀어주는, 일종의 쉬어가는 에피소드인 경우가 많다. 이와 맥락을 같이하는 에피소드들을 정리한 게 본 문서 최상단에 있는 표 되시겠다.[* 결혼사기범 졸다, 타코야키 명인은 [[이노우에 토시키]], 그리고 나머지 두 편은 [[요네무라 쇼지]]로 주로 이 두 사람이 개그 에피를 쓰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제작비 문제에 시달리던 카부토에 식품 관련 스폰서를 더 붙게 해주어 작품을 더 이끌어 나갈 수 있게 만든 에피소드이기도 하다. 즉 어른의 사정으로 인해 들어간 에피소드. 개그로서 무거워진 분위기를 일시적으로 풀어준다는 이야기는 좋지만 이게 전체적인 스토리의 커다란 복선을 가지고 간다면 또 문제이다. 복선이 상대적으로 묻히기도 하기 때문이다. 블레이드의 [[타코야키 명인 카리스]] 때도, "조커", "53번째 존재", '''"[[아이카와 하지메|네가]] [[배틀 파이트|살아남으면]] [[조커(가면라이더 블레이드)|모든게 멸망한다]]"'''라는 중요한 복선들이 나왔고, ~~닷디~~갸렌 잭폼의 기념비적인 첫 등장이 나오는 화인데도 개그가 주여서 이 복선을 모르고 지나가는 사람들이 많았다. 실제로 '''"인간으로 의태한 웜이 인간의 사상에 물들어 자신이 웜인 것을 망각할 수도 있다"'''라는 후반부 이야기의 핵심적인 복선(특히 사소드 단독 스토리)이 되는 대사가 나오지만, 다른 쪽 개그 이벤트가 너무 강해서 다들 이 부분은 묻혀서 지나쳐 버렸다. 거기에 이 에피소드들에서 [[카미시로 츠루기]]의 정체를 카가미 아라타가 알아채기도 한다. 그리고 [[가면라이더 아기토]] 28화인 [[그 여름날]][* 참고로 각본은 [[코바야시 야스코]]다. 가면라이더 시리즈 첫 데뷔작.]처럼, 본편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쉬어가는 에피소드인데도 불구하고 개그 요소 대신에 본편 못지않게 진지한 분위기로 호평받는 에피소드도 있다. 재미있게도 텐도 역의 [[미즈시마 히로]]는 2019년 10월에 정말로 요리 전문 유튜브 방송을 시작했다. == 밈 == [[카가미 아라타]]의 아버지인 [[카가미 리쿠]]의 명대사인 '''"네 요리는 돼지먹이다!!!"'''란 대사는 여기에서 나왔다. 게다가 29화의 경우 [[이케스 이치로]]가 식칼로 장어를 썰 때 식칼에 스파크가 흐른다. [[파일:attachment/uploadfile/가부토.jpg]] 대충 이런 형식 --'''회를 치기 위해 지금 이 도마 위에 라이더 슬래쉬가 작렬한다'''-- ~~[[모모타로스|이 몸의 회치기...Part 2!]]~~ [[파일:external/i62.tinypic.com/2ur9eth.jpg]] 일반 대중에는 '''오랫동안 봉인해왔던 전통의 식칼.jpeg'''로 유명하다. 나온 인물은 [[타도코로 슈이치]]. 30화 16분쯤에 나온다. 참고로 원판과 국내판이 다른데, 원판은 무겁게 실망하는 음색이지만, 국내판은 분위기에 맞추어 [[키도 신지|"허-억! 녹슬었잖아!"]]라는 얼빠진 음색으로 한다. [[분류:가면라이더 카부토]][[분류:이노우에 토시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