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중의원|[[파일:shuugiin_logo.png|width=100px]]]] {{{#000000 '''[[일본|{{{#000000 일본}}}]] [[중의원|{{{#000000 중의원}}}]] ([[야마구치현 제4구|{{{#000000 야마구치 4구}}}]])'''}}} || || '''제41-49대'''[br][[아베 신조]] || → || '''제49대[br]요시다 신지''' || → || 현직 || ---- ||<-2> '''{{{#fff 일본국 제49대 중의원 의원[br]{{{+1 요시다 신지}}}[br]吉田真次 | Yoshida Shinji}}}'''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요시다신지.jpg|width=100%]] }}}|| ||<|2> '''출생''' ||[[1984년]] [[7월 6일]] ([age(1984-07-06)]세) ||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호호쿠정 || || '''학력''' ||야마구치현립 호호쿠 고등학교 {{{-2 (졸업)}}}[br][[간사이대학]] [[법학부]] {{{-2 (정치학 / 학사)}}} || || '''신체''' ||182cm[* [[https://hanada-plus.shop/products/467|출처]]] || || '''소속 정당'''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소속 파벌''' ||[[세이와 정책연구회]] || || '''의원 선수''' ||'''1''' (중) || || '''의원 대수'''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9]][* 보궐선거 당선] || || '''지역구''' ||[[야마구치현 제4구|야마구치 4구]] || || '''약력''' ||오사카부의회 의원 비서[br]시모노세키시의회 의원 {{{-2 (제17-19대)}}}[br]시모노세키시의회 부의장[br][[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호호쿠지부 지부장[br]호호쿠정 체육협회 회장[br]시모노세키시 체육협회 이사[br][[중의원]] 의원 {{{-2 (제49대 / [[야마구치현 제4구|야마구치 4구]])}}}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정치인. 현재 야마구치현 제4구의 제49대 중의원 의원이다. == 생애 == 1984년 7월 6일 [[시모노세키시]]에서 태어났다. 야마구치현립 호호쿠 고등학교와 [[간사이대학]] 법학부 정치학과를 졸업, 오사카부의회 의원의 비서 직을 역임하다가 2011년 제17회 통일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시모노세키시의회 선거에 출마, 3,690표에 3위로 첫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시의회 의원직을 3선하여 시모노세키시의회 부의장,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호호쿠지부 지부장, 호호쿠정 체육협회 회장, 시모노세키시 체육협회 이사 직을 역임했다. 2022년 7월 9일, [[아베 신조 피살 사건|아베 신조 전 내각총리대신이 총에 맞아 피살당하는 사건]]이 벌어지면서 그의 지역구인 [[야마구치현 제4구]]에 공석이 생겼고, 요시다가 해당 지역구의 입후보에 의향을 드러내면서 공식적으로 자민당의 공천을 받아 후보로 내정되었다.[[https://news.yahoo.co.jp/articles/0447423886942c2881beca440296e5329401cf78|#]] 2023년 4월 23일 치러진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다. 하지만 인구 감소로 인해 야마구치현에 할당된 중의원 의석이 1석 감소하는 것이 확정적이어서 야마구치 3구 의원인 [[하야시 요시마사]]와의 공천 경쟁이 필연적인만큼, 기껏해야 비례 전출 정도가 최선의 시나리오로 보인다.[* 그러한 점 때문에, 요시다는 8만표를 목표 득표수로 정했지만, 실제로는 목표 득표수의 2/3 정도인 5만 2천표 정도를 득표하는데 그쳤다. 하야시와 경쟁하려면 목표한 숫자는 나와야 했지만, 목표치 보다 낮은 득표수 때문에, 지역구 공천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사실 이미 보궐선거 당시부터 하야시쪽 조직과 공명당이 요시다 의원의 선거운동을 방기했다는 현지의 보도도 있어왔다.[* 하야시 요시마사는 투표일 전날인 22일에 야마구치현에 유세를 하기 위해 방문했는데, 당시 접전지였던 [[야마구치현 제2구]]에는 적극적으로 유세 응원을 펼쳤지만, [[야마구치현 제4구]]에는 유세 응원을 하러오지 않았는데, 하야시의 입장에서 (야마구치 4구에) 괜히 응원 유세를 해줬다가, 요시다의 인지도만 높여주고, 공천을 뺏길 가능성만 올라갈 바에는 아예 유세 지원을 하지 않는 쪽으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추정된다.] 만약 야마구치 3구 공천 경쟁에 뛰어든다면 일본의 [[국무대신]]중에서도 몇몇 총리들도 거쳐간 주요 요직인 외무대신을 역임한 하야시 요시마사를 국무대신 경험도 없고 일개 초선 의원인 기초의원 출신 요시다가 공천 경쟁에서 이길 가능성은 거의 없다. 아무리 아베 가문의 지원을 받았다 하나 본질적으로 흙수저 정치인인 요시다에 비해 하야시는 아베 가문과 야마구치 서부를 양분하는 명문 정치 일족이고 실제로 아베 사망 후 하야시 일파의 시모노세키 내 영향력은 확대일로를 걷고 있기 때문에 차기 중원선에는 시모노세키가 속하게 될 新 야마구치 3구 중의원 의원으로 하야시가 진출할 것이고 요시다는 비례 전출을 노리거나 참의원 전직을 고려해야 될 것이다. 실제로 2023년 6월 당 야마구치현련 주관으로 소선거구별 지부장 선임 과정에서 야마구치 3구에는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이 선임되면서 요시다 신지는 비례대표 쪽으로 전출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무소속)] || 2011 - ?(2015년 이전) || 정계 입문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2015년 이전) - 현재 || 입당 || == 선거 이력 ==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1 || 제17회 시모노세키시의회 선거 ||<|3>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 [include(틀:무소속)] || '''3,690표 (3.1%)''' || '''당선 (3위)''' || '''초선''' || || 2015 || 제18회 시모노세키시의회 선거 ||<|3>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3,772표 (3.2%)''' || '''당선 (3위)''' || '''재선''' || || 2019 || 제19회 시모노세키시의회 선거 || '''3,505표 (3.6%)''' || '''당선 (3위)''' || '''3선''' || || 2023 ||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국회의원 보궐선거]] || [[야마구치현 제4구|야마구치 4구]] || '''51,961표 (63.5%)''' || '''당선 (1위)''' || '''초선''' || == 둘러보기 == [include(틀:일본 제49대 중의원 의원/자유민주당)] ---- [include(틀:주고쿠 지방의 국회의원)] [[분류:일본의 남성 정치인]][[분류:제49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자유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일본의 시구정촌의회의원]][[분류:1984년 출생]][[분류:시모노세키시 출신 인물]][[분류:칸사이대학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