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image.loveseoul.kr/120090727114441.jpg]] [목차] == 개요 == 龍馬瀑布公園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 [[용마산]](龍馬山) 기슭에 위치한 [[중랑구]]의 구립[[공원]]. 1991년에 개장하였으며 초창기에는 '용마산공원' 또는 '용마공원'으로 불리다가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이름이 비슷한 [[용마랜드]]와는 다르며, 거리도 꽤 떨어져 있다. 본래 서울특별시 산하 건설자재사업소(당시 명칭은 역청사업소)가 있던 위치로, [[채석장]] 단지였었다. 그로 인해 매일같이 발파음이 들릴 정도였고 [[다이너마이트]]로 캐낸 돌을 부숴서 [[아스팔트]]와 섞어 도로 포장에 주로 쓰는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생산을 하고 있었기에 각종 분진과 매연으로 주변의 민원 대상이었다.[* 그로 인해 집값도 엄청 싸서 주변의 건물은 불량주택들이 많았다. 후에 상당수의 지역은 재건축으로 아파트가 들어섰지만..][* 불량주택, [[판자집|판자촌]]은 주로 중랑천 제방 앞에 넓게 자리를 잡고 있었는데, 1970년대 말에 화재가 나면서 전부 타서 없어졌다. 덕분에 골칫거리였던 것을 [[동대문구청|구청]]에서 쉽게 정리가 가능.] 참고로 중랑구에는 이런 위해 시설이 많았는데, [[상봉동]]도 [[코스트코 상봉점]]이나 [[엔터식스]]가 있는 지금과 같은 깨끗한 동네가 아닌 삼표 연탄부터 각종 [[연탄]] 공장이 주변에 위치해 여름에는 빨래조차 널기 힘든 곳이였다. (그리고 그 삼표연탄 공장 주변으로는 무연탄을 실어나르는 철도가 지나고 있어서 그 소음 또한 만만치 않았다.) 채석장 문제로 인해서 면목동의 이미지 또한 오랫동안 좋지 못했었다. 때문에 결국 문을 닫았고, 1991년 공원으로 조성하였고 현재는 [[동대문구]]를 이어받은 [[중랑구]]가 구립 공원으로 관리·운영하고 있다. 참고로 채석장 터는 폐쇄된 후 가장 먼저 끊어져 있던 용마산로 연결 공사가 이뤄졌으며, 면목임대아파트 및 여성근로자 복지아파트, 용마중학교, 중랑청소년수련관, 중랑구민회관 등의 각종 시설이 비어진 부지에 세워졌다. == 상세 == 공원 안에는 용마산에서 흘러내리는[* 정확하게는 "물이 흘러내리는 모양으로 만든" 폭포이다. 용마산은 물이 없는 마른 산으로, 비 올 때만 계곡으로 물이 조금 흘러내리고 평소에는 산 전체의 하천은 거의 마른 상태인 건천이다.] 거대한 인공 폭포가 있는데 좌청룡(左靑龍), 우백호(右白虎)를 형상화하여 좌측에 내리는 폭포를 청룡폭포, 우측에 내리는 폭포를 백호폭포라 지었고 밑에는 인공 연못이 있다. [[아시아]] 최대의 인공 폭포로 평가가 나있으며 매년 5월 ~ 9월까지 가동하고 있고 폭포수가 시원하게 흘러내려서 장관을 이루고 있다. 이 외에도 방문객의 쉼터 역할을 하는 원두막과 폭포 광장, 조망대 등이 있으며 주변에는 용마산의 절경이 더해져서 화창한 날에 오게 되면 푸른 하늘과 함께 용마산의 산자락 절경을 직접 볼 수 있다. 폭포가 가동하지 않는 겨울철에는 폭포 빙벽 타기 체험과 인공 연못 스케이트장이 개장하기도 한다. 구립공원이었지만 [[아시아]] 최대의 폭포수가 자리잡고 있었고 방문 사진이 많이 공개되어서였는지 지역 주민 외에도 외지에서 온 방문객들도 늘고 있으며 주말 및 휴일에 방문객들이 많이 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용마산]] 등산객들로부터도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 여담으로 인근 주민들은 줄여서 ''''용폭''''이라고 부른다. 2018년 7월 14일 여기서 멸종위기 1급인 [[산양 #s-2|산양]]이 [[http://naver.me/xOFtIxyp|발견되었다고 한다.]][* 이 산양은 현재 아차산으로 남하해서 살고있다][* 2020년 5월 28일에 방영된 '세상에 이런 일이'에서 아차산에 살고 있는 산양이 나왔는데 어디서 왔는지 알아보기 위해 주변에서 발견된 배설물을 수거해 유전자 검사한 결과 용마폭포공원에 있던 산양과 동일한 개체임이 밝혀졌다.] 이 공원의 축구장을 대한민국 6부 축구리그인 [[K6리그]] 서울B리그 참가팀 [[STVFC]]가 훈련장으로 자주 사용하고있다. 2023년 7월 24일부터 8월 13일까지 이 곳에서 이동식 물놀이장이 운영되었다. 2023년 11월에 개봉한 영화 [[붉은 장미의 추억(2023년 영화)|붉은 장미의 추억]]의 촬영지인 '낭독극 리허설 현장'의 무대가 되었다. == 교통 == * 버스: 서울 [[서울 버스 320|320번]], [[서울 버스 2012|2012번]], [[서울 버스 2227|2227번]](용마폭포공원 하차) * 지하철: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용마산역]] 하차 [[분류:서울특별시의 공원]][[분류:중랑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