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0FF><:> '''{{{#fff {{{+2 용오름 }}} [br] Tornado}}}''' || || [[파일:TlotAN2.jpg|width=300]] || [[파일:HDo9eZ8.jpg|width=300]] || ||<:> '''1.0버전''' ||<:> '''신 버전(2.1)''' || ||<-2><#FF2400> '''{{{#white 사용된 공식 리그}}}''' || ||<-2><:>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 ||||<#FF2400> '''{{{#white 모든 버전에서의 종족별 밸런스}}}''' || || 테란 : 저그 || 48 : 37 || || 저그 : 프로토스 || 17 : 8 || || 프로토스 : 테란 || 11 : 15 || [[스타크래프트]]의 맵. [[4인용 맵]]으로,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 1~3라운드에 쓰였다. 동시에 회전형 맵으로, [[난전]]을 가미한 힘싸움 맵이다. 그래서 그런지 경기도 맵의 의도에 맞게 테저전이 통산많이 나왔다. 가끔씩 '''[[OME]]'''가 나오긴 하지만(...)... 대표적인 사례가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라운드 [[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스타크래프트|삼성전자 칸]]과 [[SouL|STX SouL]]의 [[박동수(프로게이머)|박동수]] vs [[김윤환(1989)|김윤환]]의 경기. [[https://youtu.be/NZNm2QkXEAs|경기 영상]]. 박동수 선수의 사촌동생인 모 유저의 말을 빌리자면 '''그냥 눈뜨곤 보기 힘든''' 경기라고 한다. 앞마당을 지나면 [[백두대간(스타크래프트)|신 백두대간]]에서 볼 수 있는 언덕이 나오는데, 저건 개발자가 의도로 넣은 거라고 한다. 즉 빠른 정찰, 센터로 나가는 길을 분산 배치하여 유닛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설계한 거라고 하는데.... 또한 앞마당을 지나 나오는 언덕이 위치별 유불리를 생겨나게 해 위치운이 상당히 중요한 맵이다. 특히 [[테란]]을 상대할 때 이 점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한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라운드 삼성전자 :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5세트 [[이영호]] vs [[송병구]] 경기를 참고하자. 그런데 7시 지역의 자원 수급이 타 지역보다 훨씬 낮아서 문제가 되기도 했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0020102019922734002|##]] ~~이럴 때 절대 빠지지 않는 [[송병구|그 선수]](...).~~ 그리고 이보다 앞서서 '''핵 두 방'''을 쏘기도 했던 ~~포...포풍드랍!!~~ [[임요환]]과 [[홍진호]]의 공식전 최후의 [[임진록(스타크래프트)|임진록]] 경기가 여기서 나오기도 했다. 그 경기는 2009년 11월 24일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라운드 28회차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 vs [[공군 ACE]] 1경기. 그리고 또 이보다 앞서서 임요환이 자신과 [[띠동갑]]인 [[화승 오즈]]의 [[박준오]]를 핵ㅋ관ㅋ광ㅋ으로 전기의자의 제물로 삼은 동시에 공군 ACE 전역 후 처음으로 [[승리]]를 거둔 맵이기도 하다. 또한 [[위너스 리그]] 당시 [[이영호]]와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의 경기도 펼쳐졌었다. '''이영호가 정명훈, [[김택용]], [[도재욱]], [[박재혁(1987)|박재혁]] 이 4명을 역올킬하면서 가장 빠른 시간에 끝내긴 했지만, 사실 가장 어렵게 이긴 경기다.''' 왜냐하면 동족전 중에서도 특히 [[테테전/스타크래프트|테테전]]은 변수가 상당히 많기 때문이다. 실력도 매우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컨디션도 매우매우 중요하다. 이영호 [[본인]]도 정명훈을 6경기에서 맞이했을 때 ''''동족전, 특히 테테전이다 보니, 내가 여기서 질 수 있겠구나. 박재혁, 김택용은 쉽게 이겼어도 정명훈 때문에 역올킬은 포기해야겠지.''''라는 심정을 가지고 긴장감이 과도할 정도로 경기를 했다고 했을 정도니... 동족전, 특히 테테전이 엄청난 변수를 가져온 대표적인 예로 투싼배 [[MBC GAME]] [[팀리그]] 결승전에서 당시 [[듣보잡]] [[신인]]이던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이 당대 최강의 [[테란]]이자 [[스타크래프트]] 본좌인 [[최연성]]을 상대로 1경기에서 바로 승리를 거두어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T T1]]을 공포에 빠뜨린 전력이 있다. ~~물론 전상욱은 2경기 때 [[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에게 바로 패배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용오름, version=49)] [[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