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용인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101_2193.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용인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용인시 직행좌석버스 1101번}}} || ||<-6>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용인 버스 110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단국대학교) ||<-2>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신분당선강남역)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5:45 || || 막차 || 23:00 || 막차 || 23:50[*A 이 시각보다 조금 더 일찍 버스가 도착해도 바로 출발할 수 있으니 정류소에 몇 분 전부터 미리 대기하고 있는 것이 좋다.] || ||<-2> 평일배차 || 15~25분 ||<-2> 주말배차 || 20~30분 || ||<-2> 운수사명 || [[대원고속]] ||<-2> 인가대수 || 10대[* 실제로는 평일에 8대, 주말 및 공휴일에는 6대 운행한다.] || ||<-2> 노선 ||<-4> 단국대[* 지도상에는 길가에 있는 정류장으로 나와있으나, 실제로는 차고지 내부에 있는 정류장에서 승차한다. 2013년에 현 위치로 정류장을 이전하였다. 탑승 버스별로 줄을 서서 기다릴 수 있게 표지판에 버스 번호가 적혀있다.] - 꽃메마을.새에덴교회 - 보정동행정복지센터 - [[오리역]] - 하얀마을 - 까치마을 - [[미금역]] - 청솔마을 - 상록마을 - 아데나펠리스 - [[정자역]] - 분당정자청소년수련관 - 느티마을.로얄펠리스 - 롯데백화점.[[수내역]] - 분당구청입구.수내교 → 백현육교 → [[판교역(성남)|판교역]].낙생육교.현대백화점 → {{{#aaa 판교IC}}} → {{{#aaa 경부고속도로}}} → {{{#aaa 반포IC}}} → [[신논현역]].유화빌딩 → 신분당선[[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aaa 내곡IC}}} → {{{#aaa 분당내곡로}}} → 분당구청입구.수내교 → 이후 역순 || === 심야노선 === ||<-6> [[파일:용인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용인시 직행좌석버스 1101N번}}} || ||<-2> 기점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단국대학교) ||<-2>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신분당선강남역) || ||<|2> 종점행 || 첫차 || 00:00 ||<|2> 기점행 || 첫차 || 01:00 || || 막차 || '''01:00''' || 막차 || '''02:00'''[*A] || ||<-2> 평일배차 || 60분 (1일 2회) ||<-2> 주말배차 || '''미운행''' || ||<-2> 운수사명 || [[대원고속]] ||<-2> 인가대수 || -[* 1101번 차량 2대를 차출하여 운행한다.] || ||<-2> 노선 ||<-4> '''1101번과 동일''' || == 개요 ==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단국대학교/죽전캠퍼스|단국대학교]]와 [[강남역]]을 잇는 노선이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53km이다. [[http://map.naver.com/?busId=10101&enc=b64|1101번]] /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1101N&routeId=228000418|1101N번(심야)]] == 역사 == * 2008년 9월 20일 [[간선급행버스]]가 처음 도입되었을 때 8101번으로 개통한 노선이다. 초기 계획은 [[오리역]]에서 출발하는 노선이었으나[[https://imgnews.pstatic.net/image/014/2008/09/20/080919205416.jpg?type=w430|#]][* 이로 인해 용인시 번호(2)가 아닌 성남시 번호(1)을 받게된다. 자세한 내용은 [[간선급행버스]]항목 참고] [[단국대학교]]가 [[단국대학교/서울캠퍼스|서울캠퍼스]]에서 [[단국대학교/죽전캠퍼스|죽전캠퍼스]]로 이전한 후 대중교통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D운송그룹에 차고지 부지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연장을 요청하여 단국대 출발 노선으로 개통을 하게 되었다. 다만 개통 초창기에는 단국대학교에서 오리역까지 논스톱으로 운행하였다.[* 이는 동시에 개통한 [[경기광주 버스 8100|8100번]]에도 해당하는 내용이다.] * 2011년 10월 29일 신분당선이 개통하면서 직행좌석버스/간선급행버스 노선 개편이 이루어졌고, 그 과정에서 죽현마을[* 현 보정동주민센터 정류장. 2016년에 정류장 이름이 바뀌었다. 2020년에 보정동 행정복지센터로 한번 더 바뀌었다.]에 추가로 정차하게 되었다. [[https://www.yongin.go.kr/user/bbs/BD_selectBbs.do?q_bbsCode=1001&q_clCode=1&q_bbscttSn=01_5306|용인시 시정소식]] * 2016년 3월 28일부터 하행 방향은 경부고속도로가 아닌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를 경유한다. 다만 실제로는 하루 전일 3월 27일에도 분당방향은 분당내곡로 경유로 운행하였다. 정차 정류장은 변동이 없다. 당시 정차 정류장은 아래와 같다. || '''기점 지역''' ||<|9> ↔ || '''종점 지역''' || || 단국대영업소 || KCC사옥 || || 단국대정문 || 신논현역.유화빌딩앞 || || 꽃메마을.새에덴교회(수지구 죽전동) || 강남역 || || 보정동 주민센터 || 역삼동.우성아파트 || || 오리역 || 뱅뱅사거리 || || 미금역.청솔마을.2001아울렛 || 양재역 || || 정자역 || 교육개발원입구 || || 분당구청입구.수내교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 2019년 5월 4일에 간선급행에서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이 이루어졌고, 번호도 8101번에서 1101번으로 변경되었다. 운행구간에 변동은 없으나, 모든 정류장에 정차하게 된 탓에 강남 방향으로 갈 때는 백현육교와 판교역에도 정차한다.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를 이용하기 위해 지나는 [[헌릉로]] 상의 정류장들은 무정차 통과한다. [[https://www.seongnam.go.kr/city/1000052/30001/bbsView.do?idx=181884|성남시 공지사항]] [[https://www.seongnam.go.kr/synap/skin/doc_mobile.xhtml?fn=20190425162407661.pdf&rs=/synap/result/bbs/30001//|(pdf 파일)]] * 2020년 11월 2일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면서 인면허기관이 [[광주시]]에서 [[용인시]]로 변경되었다. * 2021년 2월 경 이 노선의 인가 4대가 감차당했으며 감차된 인가는 [[용인 버스 1151|1151번]]의 증차에 활용되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22212949|관련 공문(부분 공개)]] * 2022년 8월 8일부터 경기도의 광역버스 심야 운행 확대 정책으로 인해 평일에 심야 운행을 한다. 이 때 노선은 낮 시간대와 동일하나, 번호는 1101N번으로 운행한다. [[https://blog.naver.com/govlrodtnr/222838541834|용인시 안내]] [br]출발 시각은 강남역 기준 01:00, 02:00 [*A] * 2023년 1월 1일부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로 이관되었다. [[https://c11.kr/19i93|국토교통부고시 제2022-860호]] * 2023년 8월 14일 22시 부로 수내교가 통제됨에 따라 인근 다리인 서현교로 우회 운행한다. 이때 기존 정류장인 분당구청입구.수내교 정류장과 신백현초등학교 정류장은 우회시에도 정상 정차 운행한다. [[https://www.seongnam.go.kr/city/1000052/30001/bbsView.do?idx=345229|성남시 공지사항]] == 특징 == * 분당에서 서울을 운행하는 광역버스 대부분은 최대 수요처인 서현역, 이매촌한신을 경유하는 것이 특징인데 반해 이 노선은 [[용인 버스 8100|8100번]]과 마찬가지로 8101번 급행 성격으로 개통된 노선이다보니 수내교를 경유하는 경로로 운행중이다 * 8101번 시절 신분당선이 개통하기 전까지 강남역 방향은 죽전과 [[오리역]]에서 만석이 될정도로 수요가 많았으나 [[신분당선]]이 개통하고 나서는 출퇴근시간에 입석이 없는 차가 생길 정도로 수요가 상당히 줄어들었음에도 급행이라는 메리트로 분당-강남 출퇴근 수요나 단국대 통학수요를 잡고 있어 다른 분당-강남 급행 노선들이(8111번,8121번,8131번,8241번)이 사라져가는 와중에도 2010년대 후반까지 급행을 유지하던 노선이다. 신분당선을 이용하는 것이 소요시간은 더 빠르지만 요금과 [[환승저항]]으로 인해 8101번도 충분히 이용할 가치는 있었기 때문이다. * 그러나 신분당선 미금역이 개통하자 수요가 감소하였고 분당-강남행 노선을 개편하는 과정에서 1101번으로 형간전환하여 전 정류장에 정차하도록 했지만, 소요시간이 늘며 수요는 더 떨어지게 되었고 수익성이 나빠진만큼 배차간격도 더 길어지는 악순환에 빠졌다. 코로나19 이후로 운행댓수가 3대까지 감차될 정도로 심각한 파행운행을 할 정도였다. 8101번으로 돌리는 게 낫겠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1251번 폐선 이후 1241번이 궁내동으로 빠지고 난 뒤 대체노선격으로 1101번으로 전환하여 전 정류장 정차로 변경한 것이라 이마저도 어려운 것이 현실. * 그러던 와중에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이 되면서 민영제가 아닌 지자체에서 보조금을 지원하는 준공영제 노선이 되었고 이에 따라 인가댓수에 맞게 증차가 이루어지며 다시 배차간격이 개선되었다. 하지만 수요는 여전히 늘지를 못하였고 제 역할을 못하다보니 준공영제임에도 인가댓수가 10대에서 8대로 감차되기까지 한 문제가 있는 노선이다. * 다른 분당발 서울행 노선들 처럼 속도에서만큼은 [[KD 운송그룹]]답지 않게 잘 밟는 노선이며 탈크드라고 불리는 노선들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 특히 이 노선은 신분당선과 경쟁하다보니, 연비를 우선시하는 KD도 어쩔 수 없을 것이다. * [[서울 버스 9404|9404번]]과 마찬가지로 [[판교신도시]] 일대를 지하로 통과하는 노선이다. 단, 왕복편 모두 지하로 통과하는 9404번과는 달리 이 노선은 단국대 방향 운행 시에만 지하로 통과한다. 또한 이로 인해 단국대방향에서 판교역에 정차하지 못한다. === 일평균 승차량 === * 원 출처는 [[http://gits.gg.go.kr/gtdb/web/trafficDb/bus/TransitBusLinePass.do|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3> '''평일'''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7,894|| || ||2015년|| 7,061|| {{{#blue ▽ 833}}}|| ||2016년|| 6,147|| {{{#blue ▽ 914}}}|| ||2017년|| 6,206|| {{{#red △ 59}}}|| ||2018년|| 5,374|| {{{#blue ▽ 832}}}|| ||<-3> '''주말'''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3,675|| || ||2015년|| 4,188|| {{{#red △ 513}}}|| ||2016년|| 3,300|| {{{#blue ▽ 888}}}|| ||2017년|| 3,259|| {{{#blue ▽ 41}}}|| ||2018년|| 2,727|| {{{#blue ▽ 532}}}||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양재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오리역]], [[미금역]], [[정자역]], [[수내역]][* 분당구청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미금역, 정자역, [[판교역(성남)|판교역]][*상행 강남역 방면만 경유], [[양재시민의숲역]], 양재역, 강남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광위 준공영제 버스 노선)] [include(틀:경기도내 대학교 진입버스)] [[분류:용인시의 시내버스]][[분류:경기도의 직행좌석버스]][[분류:성남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2008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용인시 시내버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