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고등학교, rd1=용인고등학교(부산))] [[분류:용인시의 고등학교]][[분류:1954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의 고등학교)] ||<-2> '''{{{#white {{{+1 용인고등학교}}}[br]龍仁高等學敎[br]YONGIN HIGH SCHOOL}}}''' || ||<-2> [[파일:external/www.yongin.hs.kr/3722da544913e3d87b40d30cdc80512e.jpg]] || ||<-2> [include(틀:지도, 장소=용인고등학교(경기), 너비=100%)] || || {{{#black,#e5e5e5 '''개교'''}}} || [[1954년]] || || {{{#black,#e5e5e5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black,#e5e5e5 '''성별'''}}} || [[남녀공학]] || || {{{#black,#e5e5e5 '''형태'''}}} || [[공립]] || || {{{#black,#e5e5e5 '''교장'''}}} || 김회만 || || {{{#black,#e5e5e5 '''교감'''}}} || 현자령 || || {{{#black,#e5e5e5 '''교훈'''}}} || 꿈, 배움, 성장이 있는 행복한 학교 || || {{{#black,#e5e5e5 '''교화'''}}} || 장미 || || {{{#black,#e5e5e5 '''교목'''}}} || 향나무 || || {{{#black,#e5e5e5 '''교조'''}}} || 비둘기 || || {{{#black,#e5e5e5 '''학생 수'''}}} || 1,115명[*기준 2023년 8월 19일] || || {{{#black,#e5e5e5 '''교직원 수'''}}} || 95명[*기준 2023년 8월 19일] || || {{{#black,#e5e5e5 '''관할 교육청'''}}} || [[경기도교육청]] || || {{{#black,#e5e5e5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학로]]253번길 20-21 || ||<-2> [[https://yongin-h.goeyi.kr/yongin-h/main.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 학교 연혁 == ||
날짜 || 연혁 || || 1954년 2월 2일 || 용인중학교 부설고등학교로 설립인가 (3학급) || || 1954년 4월 6일 || 개교 || || 1957년 3월 11일 || 제1회 졸업식 (1학급 97명) || || 1976년 3월 1일 || 용인[[여자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 1981년 3월 1일 || 용인[[여자중학교]]와 분리 || || 1984년 7월 27일 || 신축교사로 이전 || || 1995년 3월 1일 || 용인고등학교로 교명 복원 || || 1998년 10월 30일 || 웅비관(체육관) 완공 || || 2003년 9월 26일 || "농어촌.중소도시 좋은학교 만들기" 지원 학교로 선정 || || 2005년 3월 19일 || 홍익관([[기숙사]], 급식소), 어학실, 전자정보 도서관 개관 || || 2016년 2월 4일 || 제60회 졸업식 || || 2022년 3월 1일 || 제26대 김회만 교장 취임 || == 교훈 및 상징 == === 교훈 === 꿈! 배움! 성장!이 있는 행복한 학교 === 교표 === [[파일:external/www.yongin.hs.kr/3722da544913e3d87b40d30cdc80512e.jpg]] === [[교가]] === [[파일:external/www.yongin.hs.kr/0aee7c97dad42a460f1c30bc7dc2d04c.jpg]] === 교화 === [[파일:external/www.yongin.hs.kr/57b4a925c36059ba7481ac6d46e4ace8.jpg]] * '''장미''' 정열, 명랑, 순백, 절제 === 교목 === [[파일:external/www.yongin.hs.kr/7ecd54a3e06cf9a4e1202526ab3f690b.jpg]] * '''향나무''' 자조, 희망, 겸손, 불굴의 의지 == 학교 특징 == 용인시 처인구의 대표적인 [[여초]] 고등학교다. 원래 용인시 처인구에는 [[포곡고등학교]]와 [[용인삼계고등학교]], [[고림고등학교]]가 차례대로 생기기 이전에는 일반계 고등학교는 사립인 [[태성고등학교]]와 공립인 용인고등학교가 사실상 전부였다.[* 물론 [[백암고등학교(경기)|백암고등학교]]가 있었지만 원래는 특수목적고등학교였다. 그러다가 2005년 기숙형 고등학교로 지정되면서 일반계로 변화했지만 위치가 멀기 때문에 현재도 처인구 학군 내 평준화 고등학교에서 제외가 되었다. 또한 지금도 특성화 교육과정의 학급이 있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문제는 태성고등학교가 [[남자고등학교]]였기 때문에 여학생들이 갈 수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는 사실상 용인고등학교가 전부였다는 것이다. 인구수가 늘어남에 따라 남학생 수도 급증했지만 태성고등학교가 받아들이는 남학생 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당연히 공립학교인 용인고등학교가 남은 남학생들을 받아들이게 되면서 남녀공학으로 변경되었고, 남학생은 태성고등학교가 못 받아들이는 일반계 고등학교 지망생들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여학생보다 훨씬 적은 상황이 연출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2003~2005년 시절에는 여학생 4 대 남학생 1의 구도가 이루어졌다. 무엇보다도 남학생 중 20명 가까이는 운동부 소속이었던지라 학교에 등교하는 날이 손에 꼽았기 때문에 남학생 수는 더 줄어드는 편이었고, 그나마 남학생들을 몇개 반에 몰아넣을 수 있었던 1학년 때와 달리 계열선택과 과목선택을 해야만 했던 2학년 때부터는 남학생의 지원비율이 훨씬 떨어지는 인문계반에 남학생이 적게는 2명, 많게는 8명이 머무르는 반이 있었을 정도로 여초현상이 심하게 나타났었다. 물론 이런 현상은 포곡고등학교와 용인삼계고등학교, 고림고등학교의 개교와 동백지구 등 용인시 자체에 일반계 고등학교가 늘어나면서 3:2의 비율로 많이 둔화가 되었다. 2016년 신입생은 무려 1:1로 거의 비율이 맞춰졌다. 그런데 계속 이렇게 1:1로 뽑을지는 의문이다. 실제로 2017학년도에는 다시금 여학생수가 40명 정도 더 들어왔다. 2019학년 입학생 남녀 성비율은 4.5 대 5.5로 대강 여학생이 6, 남학생이 4라고 봐도 될듯싶다. 2019년도는 [[태성고등학교]]가 대학교를 잘보냈다는 소문이 돌아 남학생들이 [[태성고등학교]]에 1지망에 넣었다는 이야기가 많았다. 그런 이유인지는 몰라도 이번학년도 남학생비율이 적다. 그리고 일반고등학교답지 않게 예체능 계열에 대한 지원이 꽤나 많다. 체육과는 꾸준히 학생들을 받아들이고 있다. 2000년대 초중반에도 예술계열과 체육계열 과를 따로 운영했었다. 학생수를 상당히 많이 받는지라 2022학년도 기준으로 용인시 내에서 [[풍덕고등학교]][* 1,258명]와 [[수지고등학교]][* 1,183명]다음으로 가장 많은 정원인 1,166명을 받았다. 그리고 처인구 학군 내에서는 인기가 가장 좋아서 1지망으로 학생수가 가득 찬다. == 학교 시설 == [[파일:external/7733d3f5c3fa139c74ea27e85764cf725a4669bad550f53146ccc5435136e284.jpg]] 위의 교실배치는 계속 바뀌는 편이라 건물 구조 자체만 보는게 옳다. 건물은 5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오래된 본관 건물이 중앙에 위치하고 있고, 본관 건물에서 바라봤을 때 우측에 신관 건물이 위치하고 있다. 신관은 원래 3층 건물이었으나 중간에 2층을 더 증축해서 현재는 5층건물이 되었다. 학교 정문에서 학교로 올라오는 길편에 위치하고 있는 건물이 홍익관으로 도서관과 급식실, 식당, 기숙사 건물이 위치하고 있으며, 본관 건물 뒤편에 체육관인 웅비관이 위치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신관 맨 끝쪽에 운동부 기숙사가 위치하고 있다.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 운동부 == * 씨름부 * 육상부 == 출신인물 == * [[강인성]] * [[김상수(1959)|김상수]] * [[남홍숙]] * [[박재순(씨름)|박재순]] * [[윤병희(정치인)|윤병희]] * [[이다희(배우)|이다희]] - 배우 * [[이설아(1994)|이설아]] * [[이정문(1947)|이정문]] * [[용석(블랙식스)|용석]] - 보이그룹 [[블랙식스]]의 멤버 * [[정유진(가수)|정유진]] * [[홍영기(1953)|홍영기]]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노선 === || 용인고등학교(47-353, 47-360) || [[용인 버스 13|13]], [[용인 버스 970|970]], [[용인 마을버스 5(경남여객)|5]] || || 역북초 벽산블루밍 삼환나우빌(29-408, 29-409) || [[용인 버스 10|10]], [[용인 버스 10-5|10-5]], [[용인 버스 65|65]], [[용인 버스 66|66]], [[용인 버스 66-4|66-4]], [[용인 버스 68|68]], [[용인 버스 88|88]], [[용인 버스 88-1|88-1]], [[용인 버스 93|93]], [[용인 버스 93-1|93-1]], [[용인 버스 690|690]], [[용인 버스 820|820]], [[용인 버스 5001|5001]], [[용인 버스 5005|5005]], [[용인 버스 5600|5600]] || === 철도 === || '''노선''' || '''역명''' || '''행선지''' || || [[용인 에버라인|{{{#ffffff,#191919 용인 에버라인}}}]] || '''[[명지대역|{{{#56AD2D 명지대역}}}]]''' || [[기흥역|기흥]]행 [[전대·에버랜드역|전대·에버랜드]]행 || == 기타 == * 교가가 용인중학교와 동일하다. 원래 용인고등학교가 용인중학교의 부설 고등학교였기 때문이다. * 학교 운동장이 상당히 좁다. 원래 있던 위치에서 학생 수가 증가해서 건물을 지어야 했지만 학교 부지를 그대로 방치한 것이다. 그래서 체육대회의 경우 지속적으로 마평동에 있는 [[용인종합운동장]]에서 진행했었다. 하지만 용인종합운동장이 철거됨에 따라 이후에는 [[용인실내체육관]]에서 진행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에도 [[용인고등학교(부산)|동명의 고등학교]]가 있다.(참고로 그 학교는 남학교다.), 심지어 한자도 똑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