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기도의 지방공기업]][[분류:용인시]] ||<-2> 기업개요 || ||<-2> [[파일:용인도시공사 로고.svg|width=200]] || || 정식명칭 || 용인도시공사 || || 영문명칭 || Yongin Urban Corporation || || 공사·공단통합일 || [[2011년]] [[3월 31일]] || || 지방공사 설립일 || [[2003년]] [[6월 13일]] || || 시설관리공단 설립일 || [[1999년]] [[5월 26일]] || || 설립목적 || 도시개발사업, 주택건설사업, 위/수탁사업 ||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 기업형태 || [[지방공기업]] || ||<-2> [[https://www.yuc.co.kr|홈페이지]] || [목차] == 개요 == [[경기도]] [[용인시]]의 [[지방공기업]].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령로]]47 ([[김량장동]] 254-137)에 있다. 참고로 해당 건물은 과거 [[용인시의회]] 건물로 쓰였던 건물이다. [[용인시청]]이 행정타운으로 옮겨간 이후 [[용인시의회]]도 같이 옮겨갔고, 그 건물을 그대로 용인도시공사가 사용 중이다. 바로 앞이 과거 용인시청 건물로 쓰였던 [[처인구청]]이 위치한다. == 상세 == [[분당신도시]]의 배후 택지지구로 [[용인시]] [[수지구]]와 [[기흥구]] 지역이 급성장했는데 체계적인 계획 없이 무분별하게 올라간 터라 [[난개발/경기도|난개발]] 문제가 심각했다. 그래서 용인시청에서 시의회의 동의를 얻어 [[도시계획]]을 다시 세우고 기반시설 확충 및 체계적인(...) 택지지구 개발을 위해 세운 [[지방공기업]]이 바로 이 용인도시공사이다. 지방공기업임에도 독단적으로 [[행정안전부]]의 지시를 무시하고 역북지구 개발을 위한 지방공사채를 과다 발급했다가 행정안전부로부터 6개월간 지방공사채 발급을 제재받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0&sid2=266&oid=421&aid=0000460785|기사]] 2012년 용인도시공사는 정부로부터 차환 1,800억원과 추가발행 100억원 등 총 1,900억원의 공사채 발행을 승인받았지만 기존 한도에 포함되지 않은 토지보상채권 상환을 위해 400억원을 추가 발행해 승인 받은 범위(100억원)를 300억 초과한 것이다. 문제가 확대된 건 '''이 경고를 무시하고 800억원대의 지방공사채를 추가 발급한 것.''' [[http://www.k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7049|기사]] 이 역북지구 사업자 선정 자체도 [[짜고 치는 고스톱]] 의혹을 받고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ㅣid=shm&sid1=100&sid2=266&oid=001&aid=0006521167|기사]] 토지매각 특혜 의혹과 관련해서 비리 정황이 포착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5448329|기사]] [[기초자치단체]] 산하 도시개발공사 설립 순서로는 [[2001년]] 김포도시공사에 이어서 두 번째이며, 상당히 빠른 편에 속한다. [[2014년]] [[11월]] 기준으로 [[수원시]]나 [[창원시]][* [[창원시|창원]]에는 경남개발공사가, [[수원시|수원]]에는 경기도시공사가 위치한다.] 등도 도시개발공사가 없다. 도시개발공사가 없으면 독자적인 도시개발이 어려운[* 어려운 것이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단점이 있다. 원래는 용인지방공사였으나 [[2011년]] 3월 31일 용인시설관리공단을 합병하여 1임원 2본부 11개팀 부서로 출범하여 용인도시공사로 개편되었다. 2022년 3월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부터 공인된 인증기관인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 웹 접근성 인증 평가원 지정 인증심사기관의 [[http://www.wa.or.kr/board/list.asp?search=total&SearchString=%BF%EB%C0%CE&BoardID=0006|웹 접근성 품질인증을 3년 연속 획득]]했다. 웹 접근성 품질은 장애인이나 고령자 등 정보취약계층이 홈페이지의 각종 서비스를 차별 없이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제도다. 처음 인증은 2020년도부터 웹 접근성 인증을 받았다. == 업무 == 예전 용인지방공사와 용인시시설관리공단에서 맡았던 업무들을 포함한다. 도시개발사업으로 흥덕지구, [[기흥역]][[역세권|세권]]개발, 역북지구, [[용인시]] 구역 [[광교신도시]], [[용인시]] [[도로]]건설사업 등의 역할을 맡고 있으며 [[용인플랫폼시티]]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산업단지 조성사업, 관광단지 조성사업 등을 수행하며 주택의 건설, 개량, 임대 관리와 국가 및 용인시의 위탁[* [[https://gb.yonginlc.or.kr/|종량제물품 판매 주문시스템]] 사업 수탁 등]사업·시공감리 등과 함께 기존의 시설관리공단이 수행해 오던 시설들을 관리한다. == [[부채]] == 여타 [[기초자치단체]]의 [[지방공기업]]에 비해서 [[빚]]이 많았다. [[2011년]] 회계연도 기준 3300억원의 빚을 끌어안고 있으며, [[용인시]]가 재정난이라는 것은 보통 이 용인도시공사의 빚을 두고 하는 말이다. 심심하면 한번씩 씹힌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7172224455&code=950100|기사]] [[2016년]] 드디어 용인도시공사는 1천900억원 금융부채를 전부 상환해 부채비율을 100%대로 낮추었다.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26863|기사]] == 주요사업 == === 아파트 === 자체적인 아파트 브랜드인 '''이던하우스'''가 있다. * [[광교신도시]] 광교마을 경남아너스빌 (구 광교마을 43단지 이던하우스) - 2011년 11월 입주 * --흥덕지구 흥덕마을 9단지 이던하우스-- → 흥덕 우미린 레이크 포레로 명칭변경 - 2009년 5월 입주 === 도시개발사업 === * [[용인플랫폼시티]]([[용인시]] [[기흥구]] [[보정동]], [[신갈동]], [[마북동]], [[수지구]] [[풍덕천동]], [[상현동]]):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시공사]], [[용인도시공사]]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사업이다. [[용인역(GTX)|GTX 용인역]]이 예정된 지역을 중심으로 개발할 예정이며 2028년까지 11,151세대/26,136인 계획인구로 삼고 있다. * 역북지구도시개발사업: 역북동 일대 낙후된 명지대학교 앞쪽의 지역을 개발한 사업으로 처인구 내 개발 사업으로는 가장 성공적인 개발 사업으로 손꼽힌다. 대형 아파트 단지와 더불어 상당한 규모의 상업단지도 완성이 되었다. * [[기흥역세권개발사업]] === 산업단지개발사업 === * 반도체 클러스터 * 제2용인테크노밸리 === 용인시 관내시설 === * [[수지레스피아]] * [[용인미르스타디움]] * [[용인평온의숲|용인 평온의 숲]] [[https://www.tranquil-forest.or.kr/main_new/|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