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Университет / Universitet}}} ||<-3> {{{+2 '''우니베르시데트 역'''}}} || ||<-3> [[소콜니체스카야선|[[파일:모스크바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width=30]]]] || || [[불바르 로코소브스코보 역|{{{#!html
불바르
로코소브스코보 방면
}}}]]{{{-1 [[보로비요비 고리 역|보로비요비 고리]]}}}[br]← -.- ㎞ || [[소콜니체스카야선|{{{#!html
1호선
(017)
}}}]] || [[콤무나르카 역|{{{#!html
콤무나르카 방면}}}]][[프로스펙트 베르나츠코보 역|{{{-2 프로스펙트[br]베르나츠코보}}}]][br]-.- ㎞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Universitet station, 너비=100%, 높이=100%)]}}}|| ||<-3> '''다국어 표기''' || || [[러시아어]] ||<-2> Университе́т || || [[영어]] ||<-2> Universitet || ||<-3> '''주소''' || ||<-3> {{{-1 모스크바 남서부 행정구 가가린스키, 라멘키 지구 일대}}} || ||<-3> '''운영 기관''' || || [[소콜니체스카야선|{{{#ffffff 1호선}}}]] ||<-2> [[모스크바 지하철|[[파일:모스크바 지하철 로고.svg|width=140]]]] || ||<-3> '''개업일''' || ||<-3> 1959년 12월 1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모스크바 지하철]] 1호선 [[소콜니체스카야선]]의 역. [[섬식 승강장]]이다. 역의 깊이는 -26.5m. 역명의 뜻은 '[[대학교]]'. 누군가가 이 역명을 본다면 '[[모스크바]]에 대학교가 한두 곳만 있나?'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러시아의 경우 일반명사 또는 그 [[형용사]]의 형태가 붙어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런 경우 그 일반명사의 대표격이라고 할 수 있는 건물이 근처에 있다는 뜻이다[* 이와 비슷한 경우로 [[자모스크보레츠카야선]]의 [[테아트랄나야]]('[[극장]]의'라는 뜻) 역이 있는데, 역 근처에 그 유명한 볼쇼이 극장과 말리 극장(볼쇼이 극장은 [[발레]], 말리 극장은 [[연극]]의 중심지다.)이 있어서 붙여진 역명이다.]. 예를 들어 크렘린도 '성채'라는 뜻이지만, 그냥 크렘린이라고 하면 러시아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수도 궁성을 의미한다. 우니베르시테트 역에는 [[모스크바 국립대학교]](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ГУ)가 있다. 모스크바 국립대학교는 [[스탈린]] 양식의 [[건물]]이란 점이 볼거리지만 아름다운 [[공원]]을 지니고 있어 많은 모스크바 시민들이 여가시간에 찾는 곳이다. 대학 건물의 내부는 [[학생증]]을 제시해야 들어갈 수 있다. 다만 후문에선 학생증 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에 몰래 들어갈 수 있다는 소문도 있다. == 매체에서 == === [[메트로 2033]] === [[메트로 유니버스]] 최대의 [[도시전설]]인 [[에메랄드 시티]]의 3개 역 중 하나. 옆의 [[보로비요비 고리 역]]이 침몰되면서 메트로와 완전히 단절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에메랄드 시티]] 항목 참조. [[분류:모스크바 지하철 정거장]][[분류:1959년 개업한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