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youtube(nAbnTAtqzl4)] == 개요 == 안석주[* [[1901년]]~[[1950년]]. 안병원의 아버지로 한때 영화감독, 각본가, 만화가, 작가 등 예술계의 팔방미인으로 활동하면서 [[카프|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에 가입하기도 하였으나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변모하여 [[친일인명사전]]에 오르는 등 굴곡진 인생을 살았다. 여담으로, [[돈지랄]] 문서에 나온 조선일보 1934년판 만화를 그린 안석영이 바로 안석주다.] 작사, [[안병원]] 작곡의 [[동요]]. [[1947년]] 발표되었다. 1947년 당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학부생이었던 안병원이 [[조선방송협회]]에서 어린이 프로그램 담당으로 근무하던 친구의 의뢰를 수락하면서 작곡되었다. 당시 [[3·1절]] 특선 아동 [[뮤지컬]]이었던 "독립의 날"에 포함되어 있던 다섯 곡 중 하나였으나 현재는 이 곡만 남아 불리고 있다.[* 여담으로 이 뮤지컬이 선보였던 1947년 3·1절은 [[제주 4.3 사건]]의 단초가 된 날이기도 하다.] 중간에 가사가 한 번 바뀐 적이 있는데 처음에는 가사가 통일이 아닌 '''독립'''이었었다. [[미군정]]기인 당시에는 [[일본 제국]]의 압제에서 해방되어 자유를 되찾았으나 미군정이 행정을 총괄하고 좌우익으로 상징하는 [[냉전]] 체제의 대립이 극심했던 탓에 진정한 의미의 '''자주독립'''과는 거리가 멀었던 것. 이후 1948년 자주정부인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6.25 전쟁]]'''으로 [[남북분단]]이 격화되면서 1954년 [[대한민국 교육부|문교부]]의 제안을 받아들여 '''통일'''로 수정되었다. 2013년 이 노래를 작곡한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1843482|안병원 씨가 "이제는 이 노래를 그만 불렀으면 좋겠다"는 씁쓸한 인터뷰를 하였다.]] 어서 빨리 통일이 와서 분단의 아픔을 상징하는 이 노래가 더 이상 불러질 일 없이 역사속으로 사라지기를 바랐던 것이다. 그러나 그런 간절한 바람에도 불구하고 안병원 씨는 통일을 보지 못하고 2015년 사망하였다. [[김대중]] 전 대통령도 평소에 이 노래를 즐겨 불렀으며 2009년 8월 23일에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영결식에서 고인을 추모하는 [[장송곡]] 중 하나로 연주되었다. [[북한]]에서는 [[김일성]] 집권기인 80년대부터 [[평양 세계청년학생축전]]에 참가한 [[임수경]]에 의해 알음알음 퍼지다가 [[햇볕정책]]의 일환으로 개최된 [[2000 남북정상회담]]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이 이 노래를 부르는 것을 계기로 북한 인민대중에게도 전파되었다. [[김정은]] 역시 아버지가 부른 노래인만큼 어느정도 용인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16년 [[북한의 4차 핵실험]]이후 [[북한 관련 뉴스/2016년|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https://m.yna.co.kr/view/AKR20160805024400014|금지곡으로 선포하고]] [[국가보위성|보위부]], [[인민보안부]]를 동원해 대대적으로 단속했는데 김정은이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 [[통일반대론|아니라]] [[강성대국]]이 되는 것'이라고 교시한 것이 이유라고. 그러나 [[문재인 정부]] 시기인 [[2018년]] 평양에서 개최된 [[남북평화 협력기원 남측예술단 평양공연]] 당시 [[Red Velvet]]이 부르기도 하였고 [[금강산]]에서 개최된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서 북측 [[이산가족]]들과 적십자회 보장성원들이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180821_0000396449#_DYAD|이 노래를 부른 것을 보면]] 즉흥적으로 선포되었다가 주민들의 반발[* 상술했던 것처럼 [[김정일]]이 즐겨 불렀던 것을 [[금지곡]]으로 만든 탓에 주민들의 불만이 컸다. 보안원들도 온 나라 사람들이 술자리 노래로 써도 문제 없을만큼 대중적이었던 노래를 어느날 갑자기 처벌한다고 하면 요즘 북한 같은 분위기에서는 체포는커녕 멱살 잡혀 내쫒길 판인 데다 '조국 통일을 하자는데 동무는 반대하시오?' 같은 북한에서 통하는 무적의 논리가 등판해버리면 뒷목을 잡게 된다.]이나 [[남북관계]]를 의식해 은근슬쩍 해금한 것으로 보인다. === [[북한]]의 [[남북통일|통일]] [[노래]] 대체 시도 === [youtube(EyIk1kjEWXI)] 우리의 소원이 아무래도 [[남한]]의 시각이 깊게 담긴 노래인지라 [[북한]]에서는 '''[[백두산|백두]]와 [[한라산|한나(한라)]][* 북한은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내조국'''이라는 새로운 통일 노래를 밀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2018년 즈음 잠시 진행된 남북문화교류 기간에 북한 [[삼지연관현악단]]의 내한공연에서 이 노래 공연에 무려 이제는 가수라기보다는 고위 정치인으로 인식되는 [[현송월]] 단장을 무대에 등판시켜 남한에 이 노래에 대한 강한 인상을 심어주었다. 이후로 이어진 [[남북평화 협력기원 남측예술단 평양공연]]의 4월 3일 공연에서도 공연 마지막의 남북 가수 합동 무대에서 우리의 소원 대신 이 노래가 연출의 정점에 위치하도록 하여 다시 한 번 이 노래를 남북 행사의 차세대 표준곡, 혹은 우리의 소원과 같은 위치에 놓으려는 의도를 보여주었다.[[https://youtu.be/-Fxzglz0S5Y|#]] 곡의 퀄리티 자체는 매우 우수한 편이다. 하지만 북한 내부에서만 이 노래가 사용되던 시절의 원래 가사는 김씨일가 개인숭배적 요소가 상당했고 그 문제를 남측에서 지적하자 방남한 [[김영남]], [[김여정]][* 아무리 김영남과 현송월이 북한에서 끗발 날리는 권력자라고 해도 수령 숭배 요소를 자신의 권한으로 가사에서 빼는 결정을 할 수는 없다. 일 좀 원만하게 하겠다고 수령의 권위에 대한 것을 협상했다간 바로 [[장성택]]처럼 되는 게 북한이다. 현송월 역시 최중요 동맹국인 [[중국]] 공연에서 중국 측에서 무대 스크린에서 북한 ICBM이 발사되는 장면을 없애달라고 요청을 받으니 그냥 공연단을 철수시켜버린 사례는 유명하다. 결국 [[김정은]]의 [[아바타]] 수준의 권한을 가진 김여정의 결단이 없었다면 가사 수정은 불가능했고 이 노래도 남한 무대에 올라가는 일이 없었을 것이다.], [[현송월]]이 임기응변으로 고쳐버린 가사가 현재 남북 공동행사에서 사용되는 버전이라는 흑역사가 있는 데다 2절 이후부터는 21세기의 남한에게는 이민자 집단에 대한 소외와 차별을 걱정해야 할 정도로 부담스러울 정도의 [[민족주의]]적 요소가 너무 심하게 담겨 있어 남한에서 이 노래가 어느 정도의 인정을 받을지는 미지수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후로 남한이나 일본 [[조총련]]계 [[조선적|조선인]] 사회에서도 가끔 이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을 찾을 수 있어 인지도를 알리고 노래가 회자되도록 하는 데는 북한의 의도가 성공했다고 볼 수 있게 되었다. == 가사 == >우리의 소원은 통일 >꿈에도 소원은 통일 >이 정성 다해서 통일 >통일을 이루자 > >이 겨레 살리는 통일 >이 나라 살리는 통일 >통일이여 어서오라 >통일이여 오라 == 매체에서 == * [[1983년]] KBS에서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프로그램을 방영할 때 가수 [[조영남]]이 부른 이 노래를 프로그램의 [[https://youtu.be/BKyTt4ZS89A?t=17m20s|엔딩 타이틀로 삽입하였다.]] * 영화 [[쉬리(영화)|쉬리]]에서 북한 8군단 출신 공작원 박무영([[최민식]])이 남측 요원 한석규에게 하는 남북관계를 비꼬는 대사에서 이 노래가 등장한다. >"우리의 소원은 통일, 꿈에도 소원은 통일… 니들이 한가롭게 그 노래를 부르고 있을 이 순간에도 우리 북녘의 인민들은 못 먹고 병들어서 길바닥에 쓰러져 죽어가고 있어. 나무껍데기에 풀뿌리도 모자라서 이젠 흙까지 파먹고 있어. 새파란 우리 인민의 아들딸들이 국경 넘어 매춘부에 그것도 단돈 100달러에 개 팔리듯 팔리고 있어. 굶어 죽은 지 새끼의 인육마저 뜯어먹는 그 애미, 그 애비를, 너는 본 적이 있어? 썩은 치즈에 콜라 햄버거를 먹고 자란 니들이 그걸 알 리 없지.” 동아일보 국제부 기자인 [[주성하]] 기자는 이 장면을 두고 "놀라웠다. 치즈에 콜라나 빠는 작가가 쓴 것 같지도, 햄버거를 먹는 배우가 연기하는 것 같지도 않았다."라고 극찬한 바 있다. 그러나 그가 정말로 분노해야 할 대상은 모두 평양에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는데, 사실 공작원으로 선발될 정도면 북한 정권에 대한 충성심이 극에 달한 [[핵심계층]]이기 때문에 북한 체제의 잘못을 지적하기도, 지적하고 싶은 마음도 없을 것이다. [[분류:동요]][[분류:남북통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