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include(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목차] == 개요 == [[사이게임즈]]의 모바일 게임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대한 2차 창작 관련 내용을 정리한 문서. == 2차 창작 표현 제한 == === 2018년 6월 20일 공지사항 === 모티브가 되는 경주마의 이미지가 크게 깎일 정도의 표현은 하지 않게 배려해 달라는 공지사항이 올라왔다. 정확히는 경주마의 팬, 마주들이 불쾌해 할만한 표현은 자제해달라는 것. 어느 작품이든 나올 법한 가이드라인이지만, 우마무스메는 제작사말고도 마주도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게임을 즐기는 유저들 사이에선 마주가 절대적이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지만, 일단 마주가 허락하지 않더라도 해당 말의 이름을 쓰는 것에 법적 문제는 없다. 그러나 이럴 경우 우마무스메 게임 자체에 깊게 연관된 [[JRA]]의 협조는 아예 기대할 수 없게 되어 게임 운영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일일이 마주의 허가를 받고 있다. 그래서 허가를 받지 못한 말들 중 아무 것도 모르고 내보낸 첫 PV엔 등장했지만 이후에 강판된 4명이 생겨났으며, 2018년에 나온 애니메이션에서도 강판 4인방을 비롯한 샤다이 그룹(社台グループ) 측의 말들은 이름을 꼬아서 내보냈다.] 굳이 마주를 언급한 공지사항을 올린건 마주들과 트러블이 생길 수도 있으니 표현에 주의하라는 것에 가까우며, 당일 진행된 방송에서도 이시하라 프로듀서가 이에 대해 한 번 더 언급했다. 게임 출시 후에 추가적으로 3월 4일에 성적으로 민감한 요소가 있는 [[2차 창작]]을 금지한다는 가이드라인 공지가 생겼다. 2018년 공지와 마찬가지로 실제 경마를 고증에 충실하게 참조한 만큼 이미지 손상을 막기 위한 결정으로 보인다. 당연히 반발 의견도 많지만, 대다수는 몸을 사리며 분위기를 지켜보는 중. 일부 창작자가 어떻게든 성적으로 민감한 요소가 있는 2차 창작을 우회해서 또는 대놓고 그리려고 해보지만 더 그려오라고 편승하거나 말딸을 망칠 셈이냐고 비판하는 등 [[https://gall.dcinside.com/purikone_redive/5266553|키배가 열리고 있다.]] 하지만 실존 경주마와 마주의 이미지를 훼손하지 않고 불편하게 하지 않을 만한 표현의 범위가 마주가 개인적인 판단에 근거한 매우 주관적인 것이라 판매중인 작품들이나 예정인 작품들이 회수, 계획취소되는 일이 일어나고 있고 창작자들이 섣불리 손을 대지 못하는 등 [[2차 창작]]이 어느 정도 위축되는 경향이 보이고 있다. 이 조치가 게임 개발에 난항을 준 것인지는 불명이지만 게임 기획에부터 컨셉이 갈아엎으며 연기하다 프로듀서가 퇴사하게 된 데는 이런 마찰이 있던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 이유에 대한 추측 === 일단 말이라는 동물 자체가 인간이 기르는 가축 중에선 굉장히 비싼 몸값을 자랑한다.[* 말 이외에도 [[소]], [[매(동물)|매]] 등이 비싼 가축에 속하지만, 말은 동물 자체의 가격과 유지비 둘 모두 비싸기 때문에 가장 높은 몸값을 가진 동물이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이름난 혈통끼리 교배를 이어오며 수십 년째 핏줄 관리를 철저하게 하는 이름있는 경주마들은 엄청나게 귀한 몸들이라 살아 숨쉬는 [[F1 레이스 카]]나 다름없고, 생명체인 만큼 어쩌면 그런 레이스 카 이상의 가치를 가진 존재이다. 개인 마주가 되기 위해서는 '''기본 자산이 1억엔은 넘어야 하고 경주마 1마리를 키우는 데 드는 직접 비용 + 관련 인력 인건비 수천만엔을 필수적으로 지출해야 한다.'''[* 쉽게 설명하자면 [[페라리]]나 [[포르쉐]]와 같은 초 고가 [[자동차]] 구입 비용부터 보수 및 유지 등의 관리비에 드는 금액도, [[말(동물)|말]] 앞에선 명함도 못 내민다는 뜻이다. 심지어 기름 안 넣고 주차장에 두고만 있어도 되는 슈퍼카와 달리 말은 생물이라 별도의 관리를 안 한다고 쳐도 매일 제때 먹이는 계속 제공해야 하니 말을 구입한 뒤 방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애초에 신마전 이전에 개최하는 [[JRA]] 브리즈 셀 경매에서도 몇백만엔은 기본이고 초 유망주마면 몇천만엔까지 치솟는다. 만약 혈통까지 우수하다면 몇억 엔을 호가하기도 한다. 이미 낙찰받은 순간부터 스포츠카 값은 뛰어넘었다.] 추가로 일본은 타국과 다르게 경주마 마주가 되기 위해서는 마주등록제에 따라 경마인들의 심사로 선정되는 마주 자격도 필요하다.[* 개인마주 취득조건이 2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2년간 연소득이 1700만엔 이상이라는 조건이다. 당연히 두 번째 조건은 이것보다 더 까다로워서 지속 보유자산 7500만엔 이상이라는 조건. 즉 소득과 실질 보유자산이 둘 다 사회적으로 상류층이라 여길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한다는 조건이다.] 일본이 특히 경마가 인기 스포츠인데다 자격 심사가 까다롭고 폐쇄적이라 마주가 된다는 것은 어느 정도 상류층으로 인정을 받는다는 뜻도 되는 것.[* 일본의 비공식 결혼정보시장에서 신랑감 1위가 마주 아버지를 둔 남성이라는 썰도 있을 정도. [[https://m.blog.naver.com/chiii9/220160829559|###]].] 그러다 보니 말이 중요 재산인 마주 입장에서는 아무 목장의 말이나 사다가 키워서 경주마로 내보낼 수 없고, 그래서 다른 마주들과의 교류와 교섭을 통해 우수한 경주마의 혈통을 따지면서 싹수 보이는 엘리트 말만 골라 교배해 키우는 혈통 스포츠로써의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당연히 마주와 말의 평판도 중요한 경주마의 자산이 되는데, 그런 점에서 나이 많은 갑부들 중심으로 폐쇄적 집단화된 마주들에게 우마무스메는 자칫 경주마들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그다지 탐탁치 못한 시도로 보였을 확률이 높다.[* 우마무스메 같은 [[모바일 게임]]의 매출이 이들 일본의 마주들이 보기에 '장사가 된다'고 느껴질 정도의 규모가 되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JRA의 2020년 매출이 한국 원화 기준으로 32조원이 조금 넘는 수준인데, 모바일 게임중에서도 가장 매출규모가 큰 작품 중 하나인 페이트/그랜드 오더의 같은 연도 매출이 1조 1천억원이 조금 안 되는 수준이다. 결국 보수적인 일본 마주들이 장사 좀 된다고 쉽게 움직여줄 사람들이 아닌 것과는 별개로, 애초에 마주들에게 '장사가 된다'는 인식을 주기조차 어렵다는 것. ] 그래서인지 [[샤다이 그룹]]과 몇몇 개인 마주[* 대표적인 인물이 첫 PV에 등장했다 짤린 4인방 중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와 [[킹 카메하메하]]의 마주인 [[카네코 마코토(기업인)|카네코 마코토]]. 2021년 화제로 떠오르는 [[소다시]]의 마주이기도 하다. 공교롭게도 두 말은 가혹할 정도의 교배로 인해 사망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엄밀히 말하면 현재 뛰는 경주마의 →조상이 된 경주마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의→ 2차 창작이라는 멀디 먼 연관성만 있으므로 실제로 경주마의 가치에 직결이 될 지는 애매하다만, 큰 돈이 움직이는 사안인만큼 사업자 입장에서는 그만큼 민감해질 수 있다.]들이 프로젝트에 비협조적이라, 현역 경주마들 중 엘리트급인 샤다이 계열 말들이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1314119|대부분 빠져있는 상태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사이게임즈가 샤다이 목장 계열의 말들의 라이센스를 따지 않더라도 게임은 낼 수 있지만, [[JRA]]가 관리하는 일본 경마계를 [[독과점]]하는 초대형 그룹 샤다이와 사이가 틀어지면 [[JRA]]와도 협력관계가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사이게임즈도 샤다이 팜, 정확히는 샤다이에 고개숙일 수밖에 없는 [[JRA]]와 척을 지지 않기 위해 [[JRA]]가 시키는대로 2차창작을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1480689|###]],[[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1314119|###]]. 지독하다 싶을 정도로 제작진이 고증에 충실하게 승패를 재현하는 이유도 이 승패전적 자체가 경주마의 자산이기 때문이다. 현역시즌 인기마 순위는 물론, 은퇴 후 씨수말 활동과 교배료 수익 등에도 이 전적이 영향을 준다. 자칫 게임의 재미를 위해 왜곡했다가 해당 경주마, 정확히는 마주의 명예를 훼손할 경우 언제든지 라이센스 취소로 강판될 수 있다는 소리. 사실 그동안 이 주장은 뇌피셜 내지는 그럴싸한 추측정도였고 실제로는 게임내 실장된 경주마는 대부분 은퇴마, 그것도 대다수는 이미 무지개다리를 건넜기 때문에 본게임의 묘사나 2차 창작의 캐릭터에 크게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2022년 7월 말 파카튜브를 통해 우마무스메 게임 최초로 현역 경주마인 [[데어링 택트]]가 실장예고 되었고, 큰 부상같은게 아니라면 2023년까지도 데어링 택트가 현역을 유지하겠다고 선언했기 때문에 복잡하게 되었다. [[데어링 택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데어링 택트]]의 육성스토리는 물론 실전에서의 스탯, 우마무스메 캐릭터로써의 평판이 향후 실제 데어링 택트의 성적과 은퇴후 진로에도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느냐에 따라 우마무스메 출연에 대한 권리를 가진 마주들이 현역 경주마를 실장시키는 것에 대한 득과 실,리스크와 리턴이 갈릴 것이기 때문. == 정식 서비스 개시 후 경과 == * 2021년 3월에는 2차 창작 금지에 불만을 가진 한 트위터 이용자가 마주들을 마피아 보스라고 비난하다 며칠 뒤 갑자기 마주들의 명예를 더럽혀서 죄송하다는 [[https://twitter.com/M91Ptd8RdUeHLON/status/1372459650797342721|사과문]]을 올려서 마주들이 정말로 팬들을 지켜보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 2021년 4월 24일, 결국 [[세이운 스카이]]와 [[니시노 플라워]]의 마주가 해당 말들의 2차 창작을 전면 금지하겠다는 트윗을 올렸다가 철회한 사건이 발생하면서[* 원래 우마무스메 및 경마 팬덤 일부의 거칠거나 불편할 수 있는 언행에 대인배적 답글을 달아주는 것으로 평판이 높았던 사람인데, 계속해서 트위터발 협박문이나 시비성 멘트가 엉겨붙으면서 우마무스메 관련 문제가 심각한 문제란 걸 인지한 결과 그렇게 된 것이다.] 우마무스메 세계에서 마주의 영향력이 얼마나 막강한지를 다시금 알게 해 주었다. 다만 해외에서까지 안 통한다. 자세한 내용은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논란 및 사건 사고|사건 사고]]의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논란 및 사건 사고#s-3|항목 참조.]] * 위의 문제 때문인지 애니에서도 노출을 최소화했으며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바다 + 수영복 [[서비스신]]도 목욕신도 없다. 캐릭터들의 미승부복 복장도 초기 PV에서는 [[부르마]]였던 게 [[바지]]로 바뀌었고[* 실제로는 원본마가 암말이냐 숫말이냐에 따라 다르게 그려졌다. 암말 기반 캐릭터들 한정으로 부르마가 적용되었으며 그마저도 그 옷으로 자주 나타나지는 않는다. ], 그마저도 트레이닝 중에는 붉은색과 하얀색을 섞어쓴 츄리닝 같은 복장으로 지옥 훈련을 하는 장면만 나온다. 수영복도 현재 노출이 적은 [[학교 수영복#s-2.2.3|스패츠형 학교 수영복]]이다. 그나마도 볼 수 있는게 게임에서 뽑기 이벤트 할때 온천여행권을 얻고 URA 파이널을 우승해야 볼 수 있다.[* 단 예외적으로 수영복 버전은 그 이름에 어울리는 노출도를 보여준다. 수영복에 속바지를 입을 리 없으니 치마를 입은 스페셜 위크는 당연히 팬티를 입었고, 마루젠스키는 아예 비키니를 입고 나왔으며 골드 쉽 역시 하이레그 레오타드형 수영복이 적용되었다.] 그러다 보니 게임 내 삽입된 [[OST]]중 하나인 [[우마뾰이 전설]]의 '우마뾰이'란 명사를, [[성관계]]를 돌려 말하는 [[은어(언어학)|은어]]로 쓰기도 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2차 파생된 용어로 [[동방경찰]]에서 비롯된 표현인 '[[우마뾰이]]경찰'이나 '우마무스메경찰' 등이 있다. 한국식 표현으로는 '말딸경찰'이라고 불리는데, 이 경우 4음절 단어라 어감이 맞아 떨어져 자주 쓰이는 편. * 일련의 사건들로 [[https://umamusume.jp/news/detail.php?id=news-0106|2018년에 게시된 2차 창작 관련 안내공지]]가 재발굴되어 "어느 캐릭터라도 R18을 그리면 가이드라인 위반이다" 라는 정보가 퍼지면서 [[픽시브]]나 [[트위터]]에 올라오는 R18 그림들에 "우마무스메 가이드라인을 위반했으니 신고하겠다" 혹은 심하면 "경마의 큰손인 [[야쿠자]]가 찾아갈 것이다" 라며 위협에 가까운 언행으로 뇌절하는 소위 '[[폭도|폭도질]]'을 하는 부류도 생겨났다. 이러한 부류의 자경단이 바로 상기한 '말딸경찰'이다. 괴문서 위주의 창작으로 비중이 옮겨가면서 팬아트들은 최대한 원본 승부복 수준의 노출 정도로 자제하는 분위기가 되었다. 물론 그래도 근성으로 R-18 팬아트를 그리는 사람은 결국 있지만 역시 다른 작품들에 비해서는 초라할 정도로 적은 숫자다. 아무리 미처 못 막아낸 R-18물이 존재한다고는 하나 보통 우마무스메 정도의 인지도와 인기를 가진 게임들이 가지는 R-18 동인시장의 규모가 어마어마한 규모이며, 아무리 원작자, 제작자들이 자제해달라고 해도 성공적으로 막아낸 전례가 거의 없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Fate/Grand Order]] 등 인기 소셜게임의 동인시장 규모는 세상에 R-18 동인지를 1000부 이상은 어렵잖게 찍어낼 정도의 규모이다.] 팬아트 선에서 멈추게 만든 것만으로 충분히 성공적으로 막아냈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우마무스메는 일본에서 나온 작품 중 가장 성공적으로 R-18 2차 창작물을 규제한 사례로 남을 만하다. 다만 저작권법이 타국보다 강한 일본이라서 가능했지 해외에서도 이짓을 했다면 통하기는 커녕 오히려 역으로 제작진과 마주들만 조롱당하며 역고소당했을 가능성이 높다. 후술하겠지만 레딧과 서브레딧, 4chan과 1d4chan, 8kun 등 해외 야짤쟁이들에겐 공식의 경고도, 말딸경찰들의 협박도 통하지 않기 때문에[* 일본에 칼든 야쿠자가 있다면 여긴 총과 마약을 든 [[마피아]]가 있다며 쌩까는 야짤쟁이도 있을 지경(...)] 계속해서 야짤이 나오며, 특히 중국 사이트라 일본쪽과의 수사에 굉장히 비협조적인 AFDIAN에 올라오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다행히 '''R-18G'''를 주로 그리는 일본 작가들은 참전하지 않았으니 성공적이라는 게 대세다.[* 이게 농담이 아닌 게, 우마무스메는 그 원본인 경주마들의 생태 특성상 이쪽으로 대놓고 파기 시작해서 현실 말들의 모습을 우마무스메에 적용시키면 [[식인]], [[도축]], '''인간 경매''', [[종마]] 등 온갖 끔찍한 설정들을 다 집어넣을 수가 있다.] * 이렇게 규제를 세게 하자 야짤 대신 [[괴문서]]라고 불리는 [[야설]]들이 넘쳐나기 시작했으며, 주 대상자는 게임 내 스토리에서 뭔가 '글로 적을 수 있는 이야깃거리'들이 풍부한 캐릭터들.[* 대체로 [[다이와 스칼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다이와 스칼렛]],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맥퀸]],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토카이 테이오]],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아그네스 타키온]] 등이 손꼽힌다. 특히 장르를 뛰어넘는 정신 나간 실험 내용을 글로 적기가 수월해 괴문서 계열에서는 아그네스 타키온의 지분율이 압도적으로 높고, 그 다음에는 소위 '메지로 시티' 계열 시리즈로 메지로 맥퀸의 지분율이 높은 편.] 그리고 이런저런 제약이 붙다 보니 어떻게든 성인물을 만들고 싶은 작가들은 [[아이돌 마스터 시리즈]] 같은 타 작품의 캐릭터들 중 비슷한 성격을 가진 캐릭터들을 분장시켜 [[코스프레]]라고 우기거나, 말 귀와 꼬리를 빼고 오리지널 캐릭터라고 하거나, 아예 소의 뿔과 꼬리를 달고 소딸이라고 하거나, [[명일방주]] 등 비슷한 속성을 가진 다른 게임의 캐릭터에 말딸 옷을 입혀 그리고, 단속이 오면 "이건 말딸이 아니라 XX쪽 캐릭턴데, 왜 말딸 쪽에서 단속하고 난리냐!"며 막아버리는 등의 별의별 [[편법]]들을 쓰고 있다. * 일본 외, 특히 서구권 창작자들에게는(유럽, 북미, 남미권 국가 등) 실질적인 위협이 되지 않아서[* 특히 미국은 아동 대상만 아니면 [[수정헌법 1조]]로 쉽게 검열을 피해갈 수 있다. 출판물인 [[얇은 책]]과 [[야설]]은 수정헌법 1조의 '''출판의 자유'''로 직접적으로 명시되었기에 국가적 금지 처분이 불가능하다.] 그냥 대놓고 한다. "너희는 언제 하지 마라고 해서 안 했냐"[* 지금까지 R-18 관련 2차 창작 중단을 요청한 [[프랜차이즈]]가 동서양 막론하고 차고 넘쳤지만, 섭종 이전에 전면 퇴치에 성공한 사례는 손에 꼽을 정도이니 별 의미가 없다는 주장이다. 당장 [[사우스 파크]]만 봐도 타칭 '저작권 괴물'인 디즈니까지 까는 비범함을 보이며 어딜 봐도 고소는 커녕 감옥에 갇히기 직전까지 갈만한 요소가 넘쳐나지만 한 번도 그런 적이 없다. 닌텐도나 디즈니는 전연령을 표방하며 항상 이러한 2차 창작에 부정적이었지만 그 수요층의 규모가 엄청난데다 장기간 존속으로 자리잡아 버렸기 때문에 저작권 침해 외에는 사실상 손을 놓아버린 상태이고, [[그리드맨 유니버스]] 또한 성인 2차 창작을 금지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심한 반발로 스리슬쩍 철회하였다.], "법적으로 처리할테면 해봐라",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법은 멀고 총은 가깝다]]'는 등 [[https://twitter.com/loliphilosophy_/status/1387764807034617856?s=20|X까라는]] 분위기가 [[https://twitter.com/BepDelta/status/1459233461668036612|강한]] 상태다. 사실상 저작권 문제로 고소 먹을 확률은 한국을 포함한 일본, 대만같이 정식 서비스를 하고 있는 국가외에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다만 이걸 거꾸로 말하면 우마무스메가 미국으로 정식 진출할 경우에는 미국 퍼블리싱 업체가 고소를 진행할 수 있다는 점이기도 하다. 물론 미국은 표현의 자유가 상당히 관대하고 넓기 때문에 빡빡하게 들이밀 가능성은 매우 낮다. * 그리고 일본에서도 19금 2차 창작 완전 봉쇄는 역시나 실패했다.[* 그렇다고 아주 실패한것은 아닌데 계속해서 우마무스메 18금 일러스트를 올리던 유저가 밴되는 일도 있는 만큼 완전하지는 않아도 여전히 18금에 대해서 엄격하다. ] 주로 중소규모 동인작가들이 단독 또는 연합전선을 구축해 19금 동인지를 드문드문 내고 있으며, 픽시브 등지에서 19금 팬아트를 올리는 사람들도 있다. 이렇게 될 줄 알았다는 반응도 속속들이 있는데 2차 창작계에서는 흔히 [[Rule 34|'''미소녀 캐릭이면 2차 창작이 없지 않은 이상 야짤은 무조건 있다(Rule 34).''']], '''없으면 이제 생긴다(Rule 35).''' 라고 할 만큼 음지또한 방대하기에 전부 막는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싸이게임즈도 아예 없을거라는 기대는 하지 않고 그저 대놓고 보일 정도로 활발하게는 하지 말아달라는 식으로 일종의 억제기를 단 것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그래도 하지말라고 단언한 이상 당연히 이런 동인지들은 말딸경찰의 강력한 압박을 받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꿋꿋하게 올리는 부류도 적지 않으며 아예 사이게가 직접 내리라고 말하기 전까지 내릴 생각이 없다고 못박은 작가도 있다. 그리고 공개 채널에서는 내렸다 해도 팬박스나 [[온리팬즈]], AFDIAN 등의 유료 제한 서비스로 우회하는 작가들도 있다. 그 대신 사이게에서 가장 우려했던 부분인 '무분별한 [[동인파락호]] 유입이나 큰손들의 기업형 19금 창작 막기'는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도키메키 메모리얼]]의 사례도 있어서인지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철저하게 수위가 지켜지고 있다. 대체로 동인지로 본격적인 돈벌이를 하느냐 마느냐가 기준점이 되고 있는데, 제작사에서 각잡고 큰손들 몇몇을 데려와 저작권으로 걸고 넘어지면 진짜로 패가망신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그렇다. 물론 이는 자국인 일본 내 한정으로,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마스코트를 보면 알겠지만 미국인같은 외국인한테까지 고소할 경우엔 오히려 패소 당하거나 웹 상에서 조롱거리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 21년 7월 공식에서 수영복 스페셜 위크와 마루젠스키를 내놓은 것에 대해, 의상 바리에이션으로 신캐 구현이 늦어지는 문제와 더불어 [[내로남불|고수위 2차 창작을 막아놨으면서 공식에서 비키니 수영복 풀었다]]는 비난 여론이 일본 팬덤에서 생겨나기도 했다. 물론 미소녀 소셜 게임에서 수영복 이벤트는 안 하는 곳이 없을 정도인데다, 애초에 공식이 이런다는 건 가장 중요한 마주들의 허가를 받았다는 말이기 때문에 반박하는 팬덤도 상당한 편. 무엇보다도 수영복 의상 캐릭터를 통해 '통상적인 비키니 수영복 정도의 노출은 공식적으로 허가된 사안'이 되었으니 2차 창작을 본격적으로 하는 [[프로슈머]] 팬덤 입장에서는 크게 반기는 분위기이며, 각종 수영복 디자인을 입혀 놓은 다른 우마무스메들을 대량으로 그려내고 있다. 사실 당연하다면 당연한게 R18 2차 창작이 금지되는 것은 마주들이 포르노를 끔찍하게 싫어해서가 아니라 자신들의 자산인 경주마들의 가치가 훼손될 염려가 있어서다. 경주마의 가치에 손해가 안 갈만한 범위 내라면 성적 어필을 묘사 못 할 이유는 없다. 그와는 별개로 지금 미구현 우마무스메가 수십 명이나 쌓여있는 판국에 캐릭터 추가는 안 하고 무슨 짓이냐라는 식의 비판은 잦아들지 않고 있다. * 2021년 11월 10일 [[https://umamusume.jp/sp/derivativework_guidelines/|2차창작 가이드라인을 개정]]하여 성적인 묘사 금지를 명기하였다. 겨울 코믹마켓을 의식한 것으로 보이기도 하고, 이후 새로운 우마무스메에 대한 떡밥[* 특히 [[신잔]]의 추가 떡밥. 마주의 가족과 협의가 되고 있다는 실질적인 증거가 나오면서, 신잔을 알고 있는 팬들은 고수위 2차 창작보다는 이 쪽이 더 중요하다는 반응을 보이며 새로운 지침에 수긍하고 있다.]이 나오면서 새로운 라이센스 체결에 진척이 있던 것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다. 다만 이에 대해 상술한 수영복 출시를 문제삼는 여론이 다시 한번 일본 현지에서 들끓었다. * 2022년 3월 25일부터 [[섀도우버스]]에서 콜라보레이션으로 우마무스메 캐릭터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업데이트 하루 전인 3월 24일, 섀도우버스 운영측에서 공지사항 하나를 올렸다.[[https://twitter.com/shadowverse_jp/status/1506943239252709378?s=21|#]] 중요한건 뒷부분인 “SNS 등으로 관계자 분들이 불쾌하게 생각할 만한 표현, 혹은 캐릭터의 이미지를 현저하게 해칠 수 있는 표현은 하지 말아달라”로, 이에 해당되는 내용이야 많지만 우마무스메 콜라보 직전에 나온 공지사항임을 감안했을 때 성적인 묘사는 금지인 본 게임에 맞춘 경고라 볼 수 있다. 특히 이 섀도우버스는 클라이언트 내의 데이터를 바꿔치기 해 카드의 일러스트나 콜라보레이션 리더를 포함한 리더 스킨을 알몸으로 만드는 소위 누패라는 것이 암암리에 존재하고 있는데, 이런 방식으로 우마무스메 콜라보 리더 스킨들도 누패가 만들어질 수 있어 이를 견제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 해당 정책에 반발하여 계속 R-18 팬아트를 그리는 과격파 유저들 중에서는 아예 그림을 숨기겠다는 목적으로 승인한 유저에게만 보이게 하는 Pixiv 마이픽 또는 Fanbox, fantia나 afdian 등 정기결제 과금을 해야만 그림을 볼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이들도 있다. 규정도 어기고 돈도 챙겨가는 행태로 많은 갈등을 유발하고 있으나 중국쪽의 경우는 워낙 일본과 국제공조에 비협조적이라 실질적인 제지가 어렵다. * 2022년 6월 20일 한국 서비스 개시 후 한국에서도 동일한 가이드라인이 발표되었다.[[https://cafe.daum.net/umamusume-kor/Z4os/6|#공식카페: 2차 창작 가이드라인 안내]] * 2022년 7월 27일 수영복 캐릭터로 메지로 맥퀸과 골드 쉽이 공개되었다. 일반적인 비키니였던 작년 만큼은 아니지만 맥퀸은 시스루 원피스를, 골드 쉽은 가슴골과 등쪽이 패인 일체형을 입어서 노출은 어느 정도 챙겼다. * 픽시브나 니코니코 동화, 유튜브 등지에서는 사이게임즈에서 가이드라인 위반 2차창작을 직접 삭제신청하기도 한다. 물론 전부 다 잡아내는 수준은 아닌데, 사람이 직접 검수하다보니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8717856|2022년 9월 26일을 기점으로]] 가이드라인 위반에 해당하는 우마무스메 2차창작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이 이루어졌는데. 후방 수준 야짤이 있는 픽시브, 트위터 그림들은 사이게의 저작권 신고로 비공개 처리되어 내려가고 있으며. 한술 더 떠서 이런 그림으로 수익을 얻는 사이트인 픽시브 팬박스나, 판티아 같은 사이트에서는 아예 그 계정을 신고로 날려버리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단속이 진행되는 와중에도 AI를 통해 19금 일러스트를 제작한 뒤 계정을 버리는 방식으로 19금 일러스트도 여전히 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미 삭제된 그림도 사설 네트워크망이나 [[다크 웹]]을 통해 공유되거나 다른 피난소용 사이트, 예를 들면 '''AFDIAN'''에서 버젓이 나와[* 이쪽은 '''중국 사이트'''라 야짤, 야설을 넘어서 [[대륙의 기상]]까지 판치는 동네로 야한 게 아니라 [[메이드 인 차이나|짝퉁을 걱정해야 하는 곳]]이다.] 완전한 검열은 불가능할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완전한 검열은 거의 북한 수준에 육박해야 가능할 것이다. * 2023년 이후로는 사실상 '''단일 야짤 단속에서는 거의 손을 놔 버린 상태'''이다. 하필이면 시기상 NovelAI나 Stablediffusion 등 여러 [[인공지능 그림]]의 대두로 중국 AI 야짤쟁이들의 야짤이 말 그대로 범람하기 시작한데다가, 그에 힘입어 논란을 피할 필요가 있는 어느정도 유명한 작가들이 아닌 소규모 그림쟁이의 경우[* 사실상 장기적으로는 이게 가장 효력있는 방어선이라 볼 수 있다. 아무래도 마주들에게 밉보였다가 원작이 날아갈 수도 있다는 우려 등으로 팬들에게도 우마무스메의 포르노그래피티가 인식이 안 좋다보니 평판을 신경써야 할 사람들은 웬만하면 손을 안 댄다.] 그냥 일본인 작가들도 픽시브에서 대놓고 우마무스메 태그를 달고 야짤을 올리기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야짤쟁이들도 들키지 않으려고 우마무스메 태그를 빼고 야짤을 투고했지만 수가 늘어나니 사이게임측에서도 말딸경찰들도 막을 여력이 부족해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대놓고 우마무스메 태그가 박힌 야짤들은 사실상 뻔히 알면서도 방치되는 것이라 봐야 한다.], 우마무스메 야짤이 버젓이 팬박스에서 유료로 팔리고 있다. 이게 어디까지나 일본 본토 사이트인 Pixiv 기준 상황이니 사실상 야짤은 1년정도 막는게 한계였고 대형 서클의 동인지 제작 정도만 제대로 막았다고 봐야 할 듯. 물론 이것만 해도 기록적으로 잘 막은 것이긴 하다. == 전반적인 2차 창작 성향 == 프로젝트 자체는 따로 원작이 존재하지 않지만, 게임의 육성 시나리오나 관련 미디어 믹스의 스토리가 실제 경주마의 생애와 레이스를 고증하여 만들어지다 보니 우마무스메 팬덤에서 "원작"은 현실 경마를 뜻하는 속어가 되었다. 침묵의 일요일이나 토카이 테이오의 골절 등에 대해 "원작이 저딴 식이라..."라는 코멘트가 달리는 식. 반대로 사일런스 스즈카나 메지로 맥퀸의 완치, 하루 우라라의 아리마 우승 등의 if전개는 오리지널 신이라고 부른다. 이런 관계도는 육성 시나리오의 전용 아나운스에도 반영되어 있는데, 원전 경기에서 등장한 아나운스를 그대로 따 온 경우[* 그래스 원더, 메지로 맥퀸, 오구리 캡 등이 대표적.]와 원본마가 이루지 못했던 if 성적을 달성하면 나오는 아나운스[* 사일런스 스즈카, 라이스 샤워, 슈퍼 크릭, 하루 우라라 등이 대표적.]로 나뉘어져 있다. 인간형 캐릭터의 3D 모델링을 주요 소재로 한 게임이다 보니 [[MMD]] 모델 역시 활발하게 제작되어 공유되고 있다. 모델 제작 장인들이 일찌감치 들러붙어서 이런저런 모델들을 양산하는 중. 대표적으로 [[https://3d.nicovideo.jp/users/42329443|아스파라거스 P]], [[https://bowlroll.net/user/5008|Jean]], [[https://3d.nicovideo.jp/users/117238094|ShiniNet]] 등이 있다. 말을 [[모에화]]했지만 [[마이 리틀 포니]]와 연관성은 거의 없다. 우마무스메는 통상적인 [[수인]] 이미지와는 거의 다르게 인간형에 가까운 모습이라, [[퍼리]] 팬덤이 주축이 되는 마이 리틀 포니와 팬층이 다르기 때문. 그래서 크로스오버 자체가 거의 이뤄지지도 않고 있고[* 픽시브에서도 전체에서 꼴랑 '''16장'''이 전부다.], 우마무스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도 [[포확찢|마이 리틀 포니를 극혐하는 경우]]가 많다.[[https://twitter.com/_ryuu_chan_/status/1369942324973768704|우마무스메와 마이 리틀 포니와의 비교글]] [[https://m.dcinside.com/board/umamusme/329908|번역]] 그래도 이 두 작품을 알고 있는 해외에서 어느 정도 크로스오버 수요가 있는 편. 그 대신 일본 내부의 경마 관련 컨텐츠와의 크로스오버가 많이 나오고 있다. [[Japan World Cup]]은 두말할 필요도 없고, [[타마모 크로스]]가 모티브가 된 [[푸른날의 마끼바오]]와 크로스오버한 [[https://www.pixiv.net/artworks/82487327|팬아트]]도 조금씩 [[https://www.pixiv.net/artworks/72291095|나오고 있다]].[* 두 번째 팬아트의 경우 [[https://www.pixiv.net/artworks/72202948|캐스케이드와 그 모티브인 후지 키세키를 크로스오버한 팬아트]]의 후속 팬아트다.] 경마팬들의 평균 나이가 높다는 것 때문인지 왕바우 이외에도 [[쇼와]] 중후반기나 [[헤이세이]] 초중반기 시대의 서브컬처들과 크로스오버가 많은 편인데,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369400|미호노 부르봉과 G건담을 엮기도]] 하고[* 미호노 부르봉이 담당 트레이너를 마스터라고 부르기 때문에 [[마스터 아시아]]와 엮은 크로스오버 시리즈이다. 같은 의미로 [[스베로아 진네만]]과 엮은 시리즈물도 있다. [[https://twitter.com/heikihettyara/status/1374702110848081920?s=20|#]][[https://twitter.com/peninsula_hunt/status/1386254331138084867?s=20|#]][[https://twitter.com/00f0urw/status/1387600977641938945?s=20|#]]. 다만 고유 스킬의 연출은 [[기동전사 건담 SEED]]나 [[기동전사 건담 00]] 등 [[신건담]] 쪽의 연출을 차용한 거라 시대의 차이가 있는 편. 더 나아가서 아예 [[풍운재기]]를 우마무스메화한 2차 창작도 나왔다.] [[라오우]]와 [[흑왕]]이 트레이너와 담당 우마무스메로 나오는 등 뭔가 인외적인 요소들의 인기가 높은 편. 일본 내부의 경마 관련 컨텐츠가 아니더라도 뭔가 말과 관련 있는 희한한 에피소드가 있는 경우를 엮기도 한다. [[준마처녀|약을 좀 거하게 한다면]]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07oUIdGuuZsRbLwQeeCRbSM_cCwVUThy|북한 컨텐츠와의 융합]]이 나오기도 한다. 말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과의 크로스오버는 주로 통상적인 레이스 개념이 아닌 뭔가 특이한 소재를 다룬 것과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유희왕]]의 [[https://www.pixiv.net/artworks/90088535|라이딩 듀얼과 엮는 2차 창작]]인데, [[https://syosetu.org/novel/258738/|괴문서 스타일과 엮여서 더욱 괴상해진 버전]]도 있을 정도.[* 주로 얽히는 건 키워드가 겹치는 [[킹 헤일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킹 헤일로]]와 [[잭 아틀라스]](킹),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아그네스 타키온]]과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타키온), [[하루 우라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하루]] [[하루 우라라(유희왕)|우라라]] 등이다.] 다른 예시로는 [[https://syosetu.org/novel/258738/|우마무스메 오프닝에 유희왕 5D's 오프닝을 삽입해서 만든 영상도 인기가 있었으며,]] 오프닝 끝 무렵에 빛이 반짝하는 부분이 싱크로 소환시에 빛이 번쩍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여겨서, [[https://youtu.be/D8AUY1BP8cs|리미트 오버 액셀 싱크로하는 장면과 이어붙인 영상도 있었다.]] 그 외에도 우마무스메에서도 은근히 보이는 [[가면라이더 시리즈|가면라이더]] 관련 패러디, 오마쥬, 네타들을 이용해서 엮는 2차 창작들도 상당히 보이는 편이다.[* 특히 많이 엮이는건 [[히시 아마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히시 아마존]] [[https://www.pixiv.net/artworks/90696207|#]],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아그네스 타키온]] [[https://www.pixiv.net/artworks/89739488|#1]][[https://www.pixiv.net/artworks/89135908|#2]], [[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키타산 블랙]] [[https://www.pixiv.net/artworks/89081217|#]],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쉽]] [[https://www.pixiv.net/artworks/89328375|#1]][[https://www.pixiv.net/artworks/88901456|#2]]으로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라이스 샤워]] [[https://www.pixiv.net/artworks/89112771|#1]][[https://www.pixiv.net/artworks/93833627|#2]]도 이에 준하는 수준.] 아예 '가면라이더 우마무스메'(仮面ライダーウマ娘)란 [[https://www.pixiv.net/tags/%E4%BB%AE%E9%9D%A2%E3%83%A9%E3%82%A4%E3%83%80%E3%83%BC%E3%82%A6%E3%83%9E%E5%A8%98/illustrations?order=date&s_mode=s_tag|픽시브 태그]]까지 나올지경. --[[https://arca.live/b/umamusume4/26377964?target=all&keyword=%EB%9D%BC%EC%9D%B4%EB%8D%94&p=1|이런 것도 있다]]-- 또 한가지 북한 버전만큼이나 가장 골때리는것은 바로 '''[[패미컴]]버전 우마무스메'''라는 2차 창작인데 현실에선 발매도 되지않은 게임을 마치 발매한것마냥 추억(?)에 젖은 댓글들이 압권.[[https://www.youtube.com/watch?v=xnNYf2l1VBk|1]], [[https://www.youtube.com/watch?v=WOTYX9vgPX4|1의 댓글 버전]],[[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387293|번역]], [[https://www.youtube.com/watch?v=qnmX8pN2-SQ|2]] 크로스오버가 아닌 경우에는 우마무스메의 모습으로 원본마와 관련된 경마 역사를 배우는 2차 창작이 많이 나오고 있다. 더 나아가서는 실제 경마 경주 영상을 우마무스메 게임으로 합성하는 경우도 많다. [[니코니코 동화]]에서는 현실 경마 우마무스메 시리즈가 나왔다. [[https://www.nicovideo.jp/series/215069|2021년 '''최신 JRA 경주 시리즈''']]가 거의 1주에 1~2편 꼴로 주기적으로 연재되었다가, 현재는 중단되었다. 그리고 2022년 들어서 다른 유저가 [[https://sp.nicovideo.jp/series/297149|2022년 최신 JRA 경주 시리즈]]를 연재하는 중이다. 거기에 [[https://www.nicovideo.jp/watch/sm39361247|'''1941년'''(...) 일본 더비]][* 이때 우승마는 최초의 트리플 크라운인 [[세인트 라이트]]다.]와 같은 고전 자료는 물론이고 [[https://www.nicovideo.jp/watch/sm39380525|'''호주''' G1경주]]와 같은 해외 경주 영상까지 등장했다. 다른 경마의 경우 대표적으로 [[반에이 경마]]의 경주마들은 보통의 우마무스메보다 덩치가 크거나 근육질의 모습으로 등장하며 우마무스메가 반에이 우마무스메화한 그림도 있다. == 주요 2차 창작 작가 == '''한국''' * [[Takiki]] * [[https://mobile.twitter.com/1_netnet|インターネット]] '''일본'''[* 일본 동인계 특성상 타 장르에서 넘어오는 경우가 많으며, 개중에서도 과거 최대 장르 중 하나였다가 최근 한창 하락세를 겪고 있는 [[칸코레]] 동인 출신이 상당수이다.] * [[함대 컬렉션/동인 작가|논코(nonco) ]] * [[함대 컬렉션/동인 작가|바시우스]] * [[함대 컬렉션/동인 작가|빌리]] * [[함대 컬렉션/동인 작가|사카자키 프레디]] - [[https://www.pixiv.net/user/41611/series/146055|史実でウマ娘]] * [[시노]] * [[함대 컬렉션/동인 작가|이도(いど)]] * [[함대 컬렉션/동인 작가|히사히코]](본명 츠치야 히데히로) * [[https://mobile.twitter.com/YWUgyxA9BoYtnkY|ゲリ野郎]] - 2021년부터 우마무스메로 [[https://www.pixiv.net/users/71461713|픽시브]] 활동을 개시한 작가[* 과거에는 아이마스쪽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로 타 작품의 캐릭터를 트레이너로 등장시키는 작품[* 대부분은 많아야 두 번 정도 등장하지만 첫 작품인 [[리바이]]-[[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페셜 위크]] 조합(스페와 병장)은 마음에 들었는지 자주 나오고 있다.]을 메인으로 그린다. 기본적인 작화 솜씨도 좋지만 작화 특색이 강한 작품(진격거 쪽의 리바이)을 제외하고 각 캐릭터의 원작 작화를 재현하는 실력이나 각 캐릭터들을 엮는 구성[* 마법이라는 소재를 공유하는 [[스윕 토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윕]]과 [[세베루스 스네이프]], 메르보(용사 요시히코), 그리고 큐베가 대표적이다.][* 그런데 종종 해괴한 조합이 나오기에 뿜게 만들기도 한다.]도 위화감 없이 좋은 편이다. * [[https://twitter.com/jinnseimakegumi|人生負組 ]] - 2021년에 [[https://www.pixiv.net/users/144612|픽시브]]와 트위터에서 활동을 시작한 작가. [* 그 이전부터 페그오와 포켓몬쪽에서 활동했었다.] 주로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고루시]]와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맥퀸]],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라이스]]가 중심인 팀 시리우스 메인의 정신줄 놓은 병맛 개그를 주로 그리며 이게 아날로그 데포르메 작화와 잘 어울린다. 현재는 [[승리의 여신: 니케 |니케]] 관련 2창작을 주로 그리고 있다. * [[https://www.pixiv.net/users/1668630|ND]] - 우마무스메+ [[푸른날의 마끼바오|왕바우]] 크로스 오버 및 우마무스메 화로 유명해진 작가. 정신줄 놓은 병맛 개그 위주지만 어느정도 원본의 캐릭터성을 유지하는 다른 작가들과 달리 캐릭터들을 사정없이 망가뜨리고 폭주하는게 특징이다. [* 대표적으로 기행인인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타키온]]과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고루시]]가 다른 이들의 폭주에 츳코미를 걸거나 두려워하는 모습이 자주나온다던지, 위엄있는 척하지만 주변의 폭주에 휘말려 같이 폭주하거나 핀치일 때 유아퇴행하는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카이쬬]]라던지.....] == 나무위키에 등록된 2차 창작 문서 == * [[Re:escapers]] * [[【미소녀】 왠지 모르지만 방에 말 귀 말 꼬리의 미소녀가 나타났다만 【강림】]] * [[강한 똥말딸이 되었지만, 상대는 모든 세대였다]] * [[너구리(우마무스메)]] * [[당신은 중앙 트레센 학원에서 추방되길 바라는 것 같습니다.]] * [[리인카네이션 더비 -신인 트레이너 힘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version=2144)] [[분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분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2차 창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