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구려-수 전쟁)] [include(틀:수서)] [include(틀:북사)] 宇文述 [[546년]] ~ [[617년]] [목차] == 개요 == [[북주]]와 [[수나라]]의 장수. 자는 백통(伯通). 우문성(宇文盛)의 아들. 우리나라에서는 [[살수대첩]]에서 대판 깨지고 수나라 군대를 말아먹은 장수 정도로만 알려져 있지만[* 그래도 삼국사기에도 우문술이 후퇴해야 한다고 주장해 우중문과 갈등이 있었다는 게 기록되어 있어 대우는 좀 나은 편.], 사실 우문술은 [[양제(수)|수양제]]의 즉위 이전부터 함께한 '''최측근''' 중 한 명이자 사돈지간일 정도로 매우 각별한 사이였다. == 생애 == 대군 무천 사람이다. 본래 성씨는 파야두(破野頭)로 선비족 사람인 우문일두귀(宇文逸豆歸)의 노복이었다가 그 주인을 따라서 성을 우문(宇文)[* 복성이며, 우중문과 세트로 엮이는 것 때문에 한 일족인가 하는 말이 있지만, 서로 남남이다. [[북주]]의 [[우문부|우문씨 선비족]]과는 다르다.]으로 고쳤다. 북주 [[우문옹|무제]] 때 아버지 우문성의 군공으로 관직에 임명되었으며, 그 자신도 여러 차례 공을 세웠다. 행군총관이 되어 상주에서 반란을 일으킨 울지형(尉遲迥)[* 이 사람의 후손이 바로 [[울지경덕]].]을 진압해 상주국에 임명되었다. 581년, 우위대장군이 되어서 [[진(육조)|진(陳)나라]] 정벌에 참여하였고, 진나라가 멸망한 후인 589년에는 진의 오주자사 소환이 저항하자 원계 · 장묵언 등과 함께 그를 공격해 장안으로 압송하게 한 뒤에 참수했다. [[양제(수)|수양제]]가 태자가 되기 전부터 가까이 두고 싶어해 상주했는데, 우문술은 수주자사에 임명되었다. 수 양제를 위해 태자 [[양용]]을 폐위시키기 위해서 [[문제(수)|수문제]]의 생각을 옮길 수 있는 사람은 [[양소(수나라)|양소]] 뿐이라 양소의 아우였던 [[양약]]을 만나 도모할 것을 건의하였다. 우문술은 양약을 초청해서 양광이 보물을 주었다고 하면서 그에게 유세했으며, 양약은 양소에게 양광을 지지하도록 상의하고 양소가 양광이 태자의 재목이라 하면서 양광이 태자에 책봉될 수 있게 되었다. 604년에 수 문제를 시해할 때 궁중의 통제권을 가졌고 수 양제가 즉위하자 좌위 대장군에 임명되면서 허국공에 봉해졌다. 우문술은 평소에 예부 시랑 허선심을 증오했는데, 수 양제가 즉위하면서 백관들이 축하할 때 허선심이 수 문제가 죽은 것을 들어 나라에 큰 상을 입었으니 축하하는 것은 마땅하지 않다고 했다가 우문술이 이를 가지고 어사에게 탄핵해 허선심을 좌천시키게 했다. 6명의 신하들과 함께 인재를 선발하는 임무에 관장하게 되어 당시 사람들은 이를 선조칠귀라 불렀으며, 608년에는 배구가 철륵에게 [[토욕혼]]을 공격하도록 하자 서평으로 도주한 모용복윤이 서평의 경계에서 항복을 요청했다. 이에 우문술은 서평에서 출발해 임강성에 도착했지만 토욕혼이 우문술의 군세가 강한 것을 보고 감히 항복하지 못하고 도망갔는데, 우문술은 추격해 만두, 적수 두 성을 함락하면서 3천여 명을 죽이고 왕공 이하 200명, 남녀 4,000명을 붙잡았다. 612년에 [[고구려]] 원정에 참가해 부여도로 출발해서 노하, 회원 두 진에서부터 보급을 했으며, 우문술은 양식이 떨어지자 돌아가려고 했지만 [[우중문]]의 재촉으로 어쩔 수 없이 강을 건너 [[을지문덕]]을 추격했다. 을지문덕은 우문술의 군사가 굶주린 기색이 있는 것을 알고 피곤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일부러 싸우면서 매번 도주했으며, 우문술은 하루에 일곱 번 싸워서 모두 이기자 승리할 것을 믿고 전진해서 살수를 건너 평양성에서 30리 떨어진 곳에서 산을 이용해 진지를 만들었다. 을지문덕이 사신을 파견해 거짓으로 항복을 요청하자 우문술은 병사들이 피곤한 데다가 평양성은 함락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그 말을 듣고 돌아가면서 방진을 이루면서 행군했는데, 고구려의 군사로부터 사면에서 공격을 받았다. 가을 7월 24일에 살수에 도착해서 절반을 건너다가 고구려 군사의 공격을 받아 305,000명 중에서 2,700명만 남을 정도로 큰 패배를 했으며, 이 일로 인해 수 양제가 화나서 우문술은 쇠사슬에 묶였다. 그러나 우문술은 평소에 [[양제(수)|수양제]]의 총애를 입어 죽이지 않는 대신에 관직에서 박탈되어 백성이 되었으며, 613년 2월에는 수 양제가 조서를 내려 전쟁에서 패한 것은 그의 죄가 아니라 군리들이 물자를 늦게 지급한 것이 문제라고 해서 우문술은 관직, 작위가 복구되었다가 얼마 후에는 개부의동삼사를 더했다. 613년에도 고구려 원정에 참가해 여름 4월 29일에 우문술은 양의신과 함께 평양으로 향하게 되었는데, 양현감의 반란, 곡사정의 투항 등으로 인해 수나라군이 퇴각을 하게 되었다. 우문술은 양현감을 진압하는 전투에 참전했으며, 이후 좌위솔이 되었다. 당시 이씨 성을 가진 사람이 천자가 된다면서~~[[십팔자위왕]]?~~ 이씨를 모두 죽일 것을 권고받은 수 양제가 이혼의 조카인 이민이[* 아명이 홍아였다.] 그 이름이 도참에 맞다고 의심해 그를 죽이려 했는데, 이민은 두려워해 이혼, 이선형과 함께 사사로이 대화를 나눴고 우문술은 이 사실을 수 양제에게 참소했다. 이에 명을 받아 조사하면서 이민의 처 우문아영을 유혹해 표문을 올리게 했다. 그래서 이민을 천자로 삼는다는 무고를 하면서 그 종족 32명을 죽게 했으며, 삼종 형제 이상에 해당되는 사람들은 변방으로 유배를 보내게 하고 몇 개월 후에 우문아영을 독살했다. 하지만 정작 천자가 된 이씨네는 먼 곳에서 찾을 것 없이 수양제의 이모네 집이었다.(...) 616년에 가까운 신하에게 도적에 관해 묻자 우문술은 점차 적어진다면서 10분이 1이 될 수 없다고 했으며, 강도에서 새로 용주를 만들어 완성해 동도로 보내자 우문술은 수양제에게 강도에 행차하기를 권했다. 허공공의 작위를 가졌다. 수서에는 강도에서 겨울 10월에 사망했다고 나오나, 묘지명에 따르면 강도에서 617년 9월 21일에 사망했다. 그의 아들들은 운명이 갈라졌는데, [[장남]] [[우문화급]](宇文化及)은 양제를 시해하였고 [[차남]] [[우문지급]](宇文智及)은 형을 도왔는데 이 둘은 결국 [[두건덕]]에게 격파되어 참수되었다. 반면 막내 아들인 [[우문사급]](宇文士及)은 [[당나라]]에 출사하여 중신이 되었다. == 대중매체에서 == * 2006년 [[SBS]] 드라마 <[[연개소문(드라마)|연개소문]]>에서는 배우 [[임혁주]]가 연기했다. 우복야 [[양소(수나라)|양소]]의 천거로 조정과 군부 전반에 등장하였다. 처음에는 [[양량]], [[고경]] 등과 함께 [[고구려]] 원정에 동참했다가 실패해 좌천되었지만 상서우복야 양소의 주선으로 군부의 수장 격에 해당하는 좌위솔에 임명되었으며, 역시 양소의 안내로 [[양제(수)|수양제]]에게 충성을 맹세하면서 출세 가도를 달리기 시작한다. 이어 양소의 영향력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견제하는 수양제의 편에서 양소를 제거하는데 관여했으며, 이후 [[수나라]] 지휘관들의 대표자 격이 된다. 수양제의 충신으로 3차례 고구려 원정에 종군했지만[* 특히 613년에 출전할 때는 [[방덕|관까지 준비하여 자신 아니면 강이식이 저 관 속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양제에게 얘기하기도 했다.]]] 결국 강도에서 병사하고 마는데 임종의 순간에 "제국의 몰락을 보지 않고 죽으니 다행"이라고 말한 뒤[* 이 말은 연개소문 당태종 편에서 나오는 죽리가 연남건의 쿠데타 때 처형당하기 전의 마지막 말과 비슷하다.] [[우문화급]]에게 "비록 폭군이지만 주군을 배신할 수는 없다"고 당부한다. 하지만 우문화급 형제는 수양제를 시해하겠다는 뜻을 거두지 않았으며, 이에 우문술은 "뒷일은 산 사람들이 알아서 할 일"이라는 체념에 가까운 유언을 남기고 눈을 감는다. 위의 행적들을 볼 때에 죄없는 사람들을 무고하고 수양제에게 아첨하기 바빴던 진짜 모습에 비하면 상당히 미화된 것이다. 다만 밀무역을 하다 걸린 자기 아들들 우문화급, 우문지급이 응당 사형에 당할 죄를 저질렀음에도[* 거래 품목이 소금이었는데, 전근대 시기 소금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중요하고도 귀한 탓에 국가에서 직접 관리하는 품목이었다.] 구명운동을 했고, 거기서 원칙을 내세워 사형을 주장한 [[장형]]의 험담을 나중에 하는 등 은근 치졸한 면도 존재한다. 결정적으로 [[살수대첩]]에서 대패해 양제 앞으로 복귀한 직후 자신도 엄연히 패한 것에 대한 큰 책임이 있으면서도 [[우중문]]에게만 모든 것을 떠넘기려는 치졸한 모습을 보이기는 한다. 그래서 완전히 미화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 드라마 연개소문 이전에 나온 창작물인 소설 살수에서도 나오며, 여기선 그냥 평범하게 나왔다. 단, 복성 구분이 제대로 안된 탓에 여기선 우중문처럼 우씨 성에 이름이 '문술'로 되어있었다. [[분류:수당시대/인물]][[분류:546년 출생]][[분류:617년 사망]][[분류:내몽골 자치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