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우문호의 부친 겸 북주의 소혜공, rd1=우문호(북위))] [include(틀:주서)] [include(틀:북사)] 宇文護 513년 ~ 572년 [목차] [clearfix] == 개요 == [[북주]]의 [[종실]]. 소혜공(邵惠公) [[우문호(북위)|우문호]]의 막내아들이자, ~~우문호 아들 우문호~~ 북주의 [[추존]] [[태조]]인 [[우문태]]의 [[조카]]였으며 자는 살보(薩保)였다. 마치 [[서로마 제국]] 말기의 [[리키메르]]처럼[* 비록 리키메르는 황족은 아니었지만.] '''3명의 [[황제]]를 시해한 [[중국사]] 희대의 [[권신]]으로 악명이 높다.''' == [[정사(역사)|정사]]를 통한 생애 == === 서위의 [[공제(서위)|공제]]를 시해하다 === 우문태는 생전에 >“우문호의 뜻과 기량은 나와 같다.” 며 어린 자식들을 대신해 집안일을 조카인 우문호에게 맡겼다. 훗날 중종 [[문제(서위)|문제]]가 된 원보거를 맞아들인 공적으로 수지현백(水池縣伯)에 봉해졌고, 원보거가 [[서위]]의 초대 황제가 된 이후에는 통직산기상시(通直散騎常侍), 정로장군(征虜將軍)이 더해졌으며, [[작위]]가 [[공작(작위)|공]]으로 승작되었다가 이윽고 표기대장군(驃騎大將軍),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가 더해지고 중산공(中山公)이 되었다. 556년 우문태가 죽고, 그의 적자이자 3남인 [[우문각]]이 후사를 이었는데, 사촌인 우문호는 [[서위]]의 [[공제(서위)|공제]]를 겁박하여 우문각에게 [[선양]]하도록 하고, 557년 [[북주]]를 건국했다. === 북주의 초대 황제인 [[효민제]]를 시해하다 === 우문호는 이 개국의 공로로 [[사마(관직)|대사마]]에 임명되고 진공(晉公)에 봉해졌다. 우문각이 [[천왕]]이 된 후에도 실권은 여전히 우문호에게 있었는데 그는 점차 권신이 되어 갔다. 무천진 출신 [[관롱집단]]의 고위 관료들이었던 [[조귀]](趙貴)와 [[독고신]](獨孤信)[* [[수나라]] [[문제(수)|문제]] 양견의 아내인 문헌황후 [[독고가라]]의 부친 겸 [[당나라]] [[고조(당)|고조]] 이연의 외조부였다.]이 권신 우문호를 [[숙청]]하려다가 [[역관광|실패하여 제거되었다.]] 효민제 우문각도 우문호를 죽인 후 실권을 되찾고 싶어했기 때문에 휘하 심복들인 이식(李植), 손항(孫恆), 을불봉(乙弗鳳), 하발제(賀拔提) 등과 모의해 사촌인 우문호를 죽이려고 했다. 그러나 장광락(張光洛)이 이를 우문호에게 고발했고, 격노한 우문호는 곧 우문각을 [[폐위]]시킨 후 약양공(略陽公)으로 강등하고 시해했다. === 북주 제2대 [[명제(북주)|세종]] 명제를 시해하다 === 우문호는 이후 우문태의 서장남인 [[우문육]]을 맞아들여 그를 즉위시키니 이가 바로 [[북주]]의 제2대 황제인 [[명제(북주)|세종]] 명제였다. 명제 우문육은 즉위 후 우문호를 태사로 임명했다. 우문호는 겉으로는 권력을 명제 우문육에게 봉환했지만 여전히 군권을 장악하고 권세를 오로지했다. 명제 우문육은 총명한 인물로 사촌인 우문호를 매우 견제했는데, 이를 눈치챈 우문호는 명제가 현명하고 능력이 있는 [[명군]]이라 [[기승전병|자신의 권력이 위협당할까봐]](?!) 황실 주방장인 [[이안]](李安)을 시켜 결국 [[명제(북주)|우문육]]을 독살했다. === 북주 제3대 [[무제(북주)|고조]] 무제를 옹립하고 최후를 맞다(천화정변) === 세종 명제 우문육은 붕어하기 직전 우애가 깊었던 아우인 [[우문옹]]을 후계자로 세웠는데 그가 바로 북주의 제3대 황제인 [[무제(북주)|고조]] 무제였다. 우문호는 평소에 황궁의 [[금군|어림군]]보다 더 많은 [[사병]]을 거느렸고, 부하들은 그런 우문호의 권세를 믿고 마음대로 전횡을 부렸다. 그야말로 전형적인 권신 그 자체였던 것이다. 무제 우문옹은 두 형이 우문호를 적대하고 유능함을 보여주다가 제거된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제위 초기, 조용히 지내며 은밀히 우문호를 제거하기 위한 준비를 했다. 황제가 된 후, 무제는 우문호를 [[재상]]과 [[도독|도독중외제군사]]라는 높은 벼슬에 임명하며 환심을 샀다. 우문호는 이를 믿고, 권세를 오로지하며 여러 전투에 나섰지만 결과는 [[영 좋지 않다|영 좋지 않았다]]. 그러나 무제 우문옹은 우문호에게 계속 권력을 맡겼는데, 이를 통해 우문호를 방심시키는 한편, 우문호의 전단으로 그의 반대 세력이 늘어나 결과적으로는 우문호를 숙청할 정당성을 더 키웠다. [[천화]](天和) 7년(572년)[* 이 시기는 우문호가 권력을 잡은 지 16년이 되는 해였다.] 우문호가 신하 [[유계재]](庾季才)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문호: [[천도]](天道)가 과연 어찌될 것 같소?''' >'''유계재: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곧 변고가 있을 것 같습니다.]] 공께서는 마땅히 권력을 [[천자]]에게 되돌려 주십시오. 그리고 청컨대 칭병하여 집에 머무르십시오. 그리하면 옛날 [[주공단|주공(周公) 단]]과 [[소공석|소공(召公) 석]]의 명성에 견줄 수 있고 자손들은 번성할 것입니다.'''[* 주공 희단과 소공 희석은 [[주나라]]([[서주]]) 초기의 인물로 [[주무왕]]이 붕어하고, 그의 어린 아들인 [[주성왕]]이 즉위하자 그가 성장할 때까지 [[섭정]]으로 보좌한 숙부들이었다. 주성왕이 어렸기에 자신들이 대신 권력을 잡았고, 그랬기에 그를 쫓아내고 자[[왕위]]를 차지할 수도 있었으나 끝까지 초심을 지켜 어린 조카를 잘 보필하고 물러나 유교에서 칭송받는 [[성인]][[군자]]들이었다. 그리고 이들의 후손은 [[노나라]], [[소나라]], [[연(춘추전국시대)|연나라]]의 [[군주]]를 배출하며 수백년간 이어졌다. 당장에 앞서 말한 노나라와 연나라는 우리가 아는 [[공자]]의 고향 노나라와 [[전국칠웅]]의 연나라를 말한다.] [[사망 플래그|하지만 우문호는 이 말을 듣지 않고]][* 사실 우문호는 주공 및 소공과는 달리 이미 사촌 겸 황제를 2명이나 죽여버린(...) 희대의 권신이어서 유계재의 충고대로 순순히 은퇴해도 무탈할 가능성은 영 희박했다. [[기호지세|결국 죽을 때까지 집권할 수 밖에 없는 외통수의 형세가 되어버린 것이었다.]]], 오히려 [[진(남조)|남진]]과의 전투에서 패배한 무제 우문옹의 동생 [[우문직]]을 파직시키려고 했다. 이로 인해 우문직이 우문호에게 불만이 쌓이자, 무제 우문옹은 이때를 놓치지 않고 우문직을 자신의 편으로 끌여들였다. 우문직이 우문호를 제거해야 한다고 강하게 간언을 올리자, 우문옹도 우문직에게 12년간 숨기고 살았던 생각, 즉 '우문호 제거' 에 대해 ~~[[커밍아웃]]~~ 털어놓았다. 그 둘은 곧 자신들의 편으로 우문신거(宇文神舉), 우문효백(宇文孝伯), 왕궤(王軌) 등을 포섭한 뒤, 우문호 모살 작전을 꾸미기 시작했다. 572년 3월 고조 무제는 자신의 생모를 핑계삼아[* [[태후]]께서 술을 너무 많이 드시니 좀 간언해주라는 구실로 술을 경계하라는 《주고》(酒誥)라는 책을 주었다.] 우문호를 불러들였다. 태후를 [[알현]]하러 온 우문호는 무제 우문옹의 [[기습]]으로 [[홀]]을 '''[[통수|뒤통수에 맞아 쓰러졌고]]''' 즉시 우문직에게 참수당하여 [[끔살]]되었다. 고조 무제는 우문호의 죽음을 [[천하]]에 공표하고, 즉시 우문호의 자식들과 심복 측근들을 불러들여 모두 처형했다.('''천화정변''') 그리고 우문호 제거에 큰 공을 세우거나 능력이 있었지만 우문호 시대에는 중용되지 못했던 우문헌, 이목, [[울지형]], 두치, 우문직, 육통, 우문효백, [[우문초]] 등으로 새로운 [[조정]]을 구성했다. 마침내 실권을 되찾은 고조 무제는 오랜 경쟁자인 고씨의 [[북제]]를 [[멸망]]시키고 [[화북]] 통일을 성취하여 [[천하통일]]의 대업으로 향하는 일보를 딛게 되었다. == 대중매체에서의 우문호 == 2018년 [[중국 드라마]] <독고천하>에서는 미남배우로 유명한 서정계가 우문호역을 맡았다. 독고신의 [[딸]] 독고반야와 [[연인]] 관계이다. 우문호는 국정을 좌지우지하는 권신이며 황위에 오를 적당한 시기를 기다리고 있다. 우문호는 자신을 제거하려는 효민제 우문각을 폐위시키고 우문육을 새 황제로 옹립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무제(북주), version=180)] [[분류:남북조시대/인물]][[분류:513년 출생]][[분류:57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