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white agraph}}} }}} || |||| [[파일:우시오 켄스케.jpg|width=400]] || || 본명 || 우시오 켄스케(牛尾憲輔) || || 직업 || 작곡가 || || 생년월일 || [[1983년]] [[3월 1일]] ([age(1983-03-01)]세) || || 학력 || 도쿄 공과대학[* [[도쿄대학|도쿄대]] 공학부가 아닌 별개의 대학교이다.] 졸업 || || 출신 || [[일본]] [[도쿄도]] || || 활동 장르 || [[일렉트로니카]], [[테크노]] || || 공식 사이트 || [[http://www.agraph.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graph, 크기=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작곡가]]이자 [[뮤지션]]. 솔로 유닛인 agraph의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본명은 우시오 켄스케이다. 음악 활동은 기본적으로 agraph라는 솔로 유닛명을 이름으로 내세워 하고 있으며 [[전기 그루브]]의 서포트 멤버이자 밴드 LAMA의 일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일렉트로닉을 기반으로 [[글리치(음악)|글리치]], [[앰비언트 뮤직]], 포크트로니카 같은 하위 장르를 포괄하는 음악을 한다. == 음악 경력 == 음악 교습을 하는 집안에서 태어나 유치원 시절부터 [[피아노]]를 배웠다. 중학교 때부터는 피아노와 함께 [[야마하]]의 EOS-B900으로 [[신디사이저]] 또한 배우기 시작했고, 대학에서 음악과 현대 예술을 전공했다. 이때 [[Pro Tools]]를 다루게 되었다. [[2003년]] 20세 때 시부야의 'WOMB'에서 이시노 타큐가 호스트를 맡은 테크노 공연 에 찾아가 이시노 타큐를 우연히 직접 만났고, 그에게 음악 업계에 뛰어들고 싶은 바람을 말했으며 마침 직원이 필요했던 이시노 타큐는 우시오를 음원 제작 스태프로 채용했다. 이후 이시노 타큐 밑에서뿐만 아니라 [[전기 그루브]], RYUKYUDISKO, DISCO TWINS 등의 기술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음반 제작 경력을 쌓는다. 개인적인 음악 아티스트로서의 데뷔는 [[2007년]]에 이시노 타큐가 주재한 레이블 'platik'에서 발표된 [[컴필레이션 앨범]] 에 'colours'가 수록됨으로써 이루어졌다. [[2008년]]에는 자신의 첫 앨범인 'a day, phases'를 냈으며, 이어서 [[2011년]]에 두 번째 앨범 'equal'이 발매되었고, [[2016년]]에는 세 번째 앨범으로 'the shader'가 발매되었다. 한편 애니메이션 삽입곡도 여럿 작곡했다. [[2014년]]에 [[유아사 마사아키]]의 애니메이션 [[핑퐁 THE ANIMATION]]에서 음악을 담당했으며, [[2016년]]에는 [[야마다 나오코]]의 애니메이션 영화 [[목소리의 형태(애니메이션)|목소리의 형태]]의 음악을 맡았다. 특히 핑퐁 THE ANIMATION으로 유아사의 마음에 들었는지 이후로도 유아사의 작품과 유아사가 설립한 [[사이언스 SARU]] 작품에 높은 빈도로 음악을 담당하고 있다. [[2018년]]에도 마찬가지로 야마다 나오코 감독의 애니메이션 영화 [[리즈와 파랑새]]에서 음악을 담당했다. 공개된 ost는 해당 애니메이션 러닝타임보다 긴 시간을 자랑한다. == 앨범 == === a day, phases === ||||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51fdWm7O7tL.jpg]] || |||| '''{{{#white a day, phases}}}''' || || 트랙 || 곡명 || || 1 || gray, even || || 2 || in gold || || 3 || and others || || 4 || quietude || || 5 || ohma || || 6 || still in there || || 7 || one and three lights || || 8 || turn down || || 9 || cyanback || === equal === ||||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31YL5HrsL5L.jpg]] || |||| '''{{{#white equal}}}''' || || 트랙 || 곡명 || || 1 || lib || || 2 || blurred border || || 3 || nothing else || || 4 || static, void || || 5 || nonlinear diffusion || || 6 || flat || || 7 || a ray || || 8 || light particle surface || || 9 || while going down the stairs i || || 10 || while going down the stairs ii || || 11 || lib (remodeled by alva noto) || === the shader === |||| [[파일:external/img.discogs.com/R-8281378-1458566993-8013.jpeg.jpg]] || |||| '''{{{#white the shader}}}''' || || 트랙 || 곡명 || || 1 || reference frame || || 2 || poly perspective || || 3 || greyscale || || 4 || cos ^ 4 || || 5 || toward the pole || || 6 || asymptote || || 7 || radial pattern || || 8 || trace of nothing || || 9 || div || || 10 || inversion / 91 || == 작품 참여 == * 애니메이션 * [[스페이스 댄디]] (2014) - 음악 * [[핑퐁 THE ANIMATION]] (2014) - 음악 * [[목소리의 형태(애니메이션)|목소리의 형태]] (2016) - 음악 * [[데빌맨 Crybaby]] (2018) - 음악 * [[리즈와 파랑새]] (2018) - 음악 *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애니메이션)|부기팝은 웃지 않는다]] (2019) - 음악 * [[일본침몰 2020]] (2020) - 음악 * [[사이다처럼 말이 톡톡 솟아올라]] (2021) - 음악 * [[헤이케모노가타리/애니메이션|헤이케모노가타리]] (2022) - 음악 * [[체인소 맨/애니메이션|체인소 맨]] (2022) - 음악 * [[내 마음의 위험한 녀석(애니메이션 1기)|내 마음의 위험한 녀석]] (2023) - 음악 * [[천국대마경/애니메이션|천국대마경]] (2023) - 음악 * [[내 마음의 위험한 녀석(애니메이션 2기)|내 마음의 위험한 녀석 2기]] (2024) - 음악 * [[너의 색]] (2024) - 음악 * [[단다단/애니메이션|단다단]] (2024) - 음악 * 영화 / 드라마 * 써니를 찾아서 (2018) - 음악 * [[모리의 정원]] (2018) - 음악 * 파랑과 나 (2018) - 음악 * [[페이크 뉴스(드라마)|페이크 뉴스]] (2018) - 음악 * 마작 방랑기 2020 (2019) - 음악 * 옆에 (2019) - 음악 * 아이는 알아주지 않아 (2021) - 음악 == 기타 == * [[우시오 켄스케]] 본인은 영어에서 대문자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모든 앨범이나 노래제목들이 전부 소문자로 되어있다. [각주] [[분류:일본의 작곡가]][[분류:1983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