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미래당 대표)]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50065, #2E3192 50%)" {{{#ffffff '''{{{+1 우인철}}}[br]禹仁喆 | Woo Incheo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0_우인철 증명사진.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85년]] [[5월 12일]] ([age(1985-05-12)]세) || ||[[전라북도]] [[전주시]] || || '''{{{#ffffff 학력}}}''' ||[[한양대학교 ERICA]] 분자생명과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미래당)] || || '''{{{#ffffff 현직}}}''' ||광진구 방사능안전급식주민참여조례 대표청구인[br]광진구 여성1인가구지원조례운동본부 본부장[br]광진구 미래당 지역위원장 || || '''{{{#ffffff 경력}}}''' ||2020년 19대 총선 미래당 국회의원 비례후보 [br] 2018년 7회 지방선거 미래당 서울특별시장 후보 [br] 2012년 18대 총선 최연소 국회의원 후보(청년당) || || '''{{{#ffffff 외부 링크}}}''' ||[[https://m.facebook.com/honesi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blog.naver.com/hone1112/222714504020|[[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z6sPkjVYx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_벽보_우인철.jpg|width=100%]]}}} || >'''광진의 큰인물[br]준비된 청년의원! 우인철''' [[미래당]] 소속 청년 정치인이다. [[미래당]]의 제1대 공동대표였으며, 현재는 광진구 미래당 지역위원장을 맡고 있다. 한양대 졸업 이후인 2012년에 20대 대학생들이 중심이 되었던 정당인 [[청년당]]을 창당하여 반값등록금을 주장하였으며, 18대 총선에 국회의원(당시 26세) 최연소 후보가 되었다. [[청년당]] 해산 이후 2017년에 2030세대가 중심이 되어서 만든 정당인 [[미래당]]을 재창당하며 1기 공동대표를 역임하였다. 2018년에 [[미래당]] 서울시장후보로(당시 33세) 출마하여 ‘지옥고(지하, 옥탑, 고시원)를 점진적 폐지하자’는 이야기를 하는 등 청년들의 주택문제를 이야기했다. [[청년당]], [[미래당]] 소속정당 이름이 생소하고, 왜 떨어지는 데도 계속 하느냐 하는 질문에 대해 우인철은 두 개의 정당이 권력을 주고 받고 대립하는 구조가 바뀌어야 기성 정당도 나아지고 한국 정치도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라고 답한바 있다. 2021년 8월 31일 광진구 최초의 주민참여조례를 청구했다. 우인철은 대표청구인이며, 조례 명칭은 서울특별시 광진구 방사능 등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식재료 공급에 관한 조례이다. 조례 발의를 위해서 동네 곳곳을 발로 뛰며 6500여명의 광진구 주민의 동의를 받았다. 2022년 4월 2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 광진구라선거구 (화양동, 자양3동, 자양4동 / 3순위까지 당선) 구의원에 출마 선언했다. 2021년에 득남하여 초보아빠가 되었으며, 지역에서 아이를 키우는 일을 포함하여 실생활에서 겪게 되는 마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마하였다고 밝혔다. == 약력 == 1985년 전주 출생 2004년 전주우석고등학교 졸업 2012년 한양대 분자생명과학부 졸업 2012년 18대총선 국회의원 비례후보(26세, 청년당) 2013년 서울청년허브 일자리사업단 청년정책네트워크 팀장 2015년 (사) 김제동과어깨동무 창립회원 2016년 (재) 평화재단청년포럼 팀장 2018년 7회지방선거 서울시장후보(32세, 미래당) 2019년 가치혼합경영연구소 책임연구원 2020년 20대총선 국회의원 비례후보(34세, 미래당) 2020년 광진리싸이클링(친환경기업) 대표 == 생애 == [[http://www.hanyang.ac.kr/surl/bnOe|한양대학교 분자생명과를 나왔다.]] 당시에는 취업 이외에는 생각하기 어려웠는지라 정치적 활동을 취하진 않았다고 한다.[* 이런 점은 청년 정치인으로써 [[이성윤(정치인)|이성윤]], [[이기인]], [[이준석]], [[주이삭]], [[김용태(1990)|김용태]]와 다른 부분이며 [[김수민(정치인)|김수민]], [[이효원(정치인)|이효원]], [[김지나(정치인)|김지나]]와 비슷한 면이다.] 졸업 이후 학원 강사를 하다 청춘콘서트의 총괄업무를 맡았다. 이후 [[청년당]] 창당에 가세하여 청년당 인천시당 사무국장을 맡았으며 19대 총선에서 26세에 나이로 비례대표 출마를 하여 최연소 국회의원 후보라는 점으로 이슈를 끄나 청년당이 3%에 미달하여 해산되며 원내 진출이 좌절된다. 이후 서울특별시에서 만든 청년허브에 입사해 일자리 사업단에서 근무하며, 청년 혁신 일자리사업, 청년정책네트워크사업, 청년교육사업 부문을 담당하였다고 한다. 2015년 퇴사 이후 인문학 공동체 연구모임인 수유너머나 청년포럼에서 소속하여 있다가 구 청년당 세력과 여러 세력들을 규합하여 [[우리의미래]] 창당준비위원회를 꾸리고 이후 [[우리미래]]를 창당하여 공동대표가 되었다.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84386|출마 선언문]] [[http://info.nec.go.kr/electioninfo/precandidate_detail_info.xhtml?electionId=0020180613&huboId=100128653|후보 등록 현황]] [[http://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348143| "우인철 동문, 청년정치 시대 열겠다",18-07-24, 한양뉴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BkpEW7auH8)]}}}||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서울특별시장에 직접 출마선언을 하고, 이후 당 내 경선에서 홀로 단독 입후보하여 투표율 56.31%, 찬성 95.20% 를 거쳐 [[우리미래]]의 서울시장 후보로 확정되었다. 한국도 [[알렉시스 치프라스|그리스]], [[쥐스탱 트뤼도|캐나다]], [[에마뉘엘 마크롱|프랑스]]처럼 40대 총리나 대통령을 충분히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주거권, 노동권, 건강권, 통신권, 이동권 등을 일반 정책이 아닌 청년 기본권으로 설정하여 사회적 책임을 더욱 분명히 하겠다고 하는 등 주 공약은 동장직선제, 서울형 기본소득 등이며 우리미래의 공약들을 서울특별시장 공약에서 사실상 그대로 반영하였다. 하지만 예상대로 본인 인지도 부족으로 인해 최종 7위로 낙선하고 말았다. 그리고 2년 뒤인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미래당]] 비례 2번을 달고 출마하였으나 이번에도 역시 당 인지도 부족으로 0.25% 득표율을 얻는데 그쳐 본인을 포함한 당의 모든 비례후보들과 낙선하게 되었다.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https://blog.naver.com/hone1112|출마 선언문]] [[http://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049|"3전 4기 서울 광진구 미래당 우인철이 꿈꾸는 정치",22-05-02,주간조선]] [[https://youtu.be/sYc5FYYOwVo| "미래당 우인철, 견고한 거대 양당 구도…이번엔 깨질까?",22-05-11, 서울경기 케이블TV]] 우인철은 2022년 6월 1일 지방선거에서 서울 광진구의회 소속 구의원(라선거구)후보로 나섰다. 그는 "나와 나의 가족, 그리고 이웃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마했다"고 출마의 변을 밝혔으며, 거대정당이 아닌 군소정당인 미래당 소속 후보를 고집하는 건, 양당의 이념에 휘둘리지 않고 시민의 눈높이에서 현실 문제에 대한 실질적 해결책을 내놓기 위해서라고 주장했다. [[http://www.gwangjin.com/20664| 우인철 "방사능안전급식 주민조례 신속처리 촉구",22-04-28, 디지털 광진]] 현재 우인철은 지역에서 다양한 주민 활동을 주도하고 있다. 아이들의 안전한 급식을 목표한 '광진구 방사능 안전급식 주민참여 조례 청구'는 그의 대표적인 지역 활동이다. 그는 지난해 4월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발출이 논란이 되던 때부터 12월까지 광진구민 6800명의 동의를 얻어 관련 조례를 구청에 청구했다. 청구 필요 최소 기준인 전체 주민의 2%(6120명)를 훌쩍 넘은 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7zMkoNqbII)]}}}|| 그는 동별로 서로 다른 문제에 집중하고 있다. "라선거구 지역 중 한 곳인 광진구 화양동은 건국대를 끼고 있어 전체 주민 63%가 2030세대인 데다 1인 가구 비율은 79%에 달한다. 가구 평균 가족 구성원 수는 1.3명이다. 반면 자양3동은 다수의 학교를 포함하고 있어 가족 단위 가구가 많으며 아파트, 다세대가 밀집해 있다. 평균 가족 구성원 수는 2.75명이다. 지역의 특성이 다르니 안고 있는 문제도 각기 다를 수밖에 없더라. 이에 화양동은 1인 가구에 대한 지원, 여성 치안을 위한 가로등 확충 및 무인택배함 설치 등이 시급하고 자양3동은 아이 보육 지원책 등이 더 구체화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는 "이런 식의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지역별 정책 입안을 할 수 있는 건 구의회뿐"이라며 " 광진구의회에 입성해 다양한 지역민 의견에 귀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이 이번 광진구의회 세대교체의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도 말한다. "현재 광진구의회 의원들의 평균연령은 58.9세다. 주로 50대, 60대로 구성됐다는 이야기다. 물론 경륜과 지혜를 갖춘 분들이지만 의회가 지역을 제대로 대변하기 위해선 다양한 세대가 의회에 입성해야 한다고 본다. 이번 선거가 나로 하여금 이를 실현하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 ==== 정책 ==== ===== 아이안전 돌봄도시 광진을 위한 10대 정책 ===== 우인철은 꼭 합니다. 대한민국 아이안전 돌봄도시 광진구를 함께 가꾸겠습니다. 1. 광진구 [방사능안전급식조례(법)]연내 제정 -어린이집·유치원·중고교 학교급식 방사능정밀검사 연2회 의무화 2. 온라인교육플랫폼 [광진넷플릭스(GJ_NETFLIX)]서비스 운영 -「서울런」, 「강남인강」광진구민 교육대상과 서비스 이용 확대 3. 어린이·청소년 [여가·체육·문화 공유공간] 2배 이상 확대 - 자양동-화양동 ‘디지털마을도서관’ 민관협력모델로 2배 확충 4. 광진구 [어린이·청소년건강지원조례]제정 - 초·중·고교학생 건강수요조사를 통한 생리용품무상제공 정례화 5. [학교폭력안전 원스톱(One-Stop) 지원시스템]구축 -청소년-보호자 간 긴급신고, 맞춤상담, 트라우마 치유까지 원스톱 제공 6. 광진구 [사회적돌봄경력인정조례] 제정 -육아 가사 간병 등 무급돌봄활동에 대한 ‘사회적경력인정’ 제도화 7. 광진구 [여성마음건강프로그램] 정기적 운영 -코로나19, 경기불황, 돌봄가사로 사회적 고립을 겪는 3040여성 지원사업 추진 8. [집안일SOS 상담·교육 프로그램] 개설 운영 -여성이 혼자하기 어려운 집안일 안전도우미 배치 및 집수리 온라인교육 제공 9. 광진구 [마을교통 안전망] 대폭 확충 -교통사고 다수 발생하는 동네도로 시야 확충을 위한 보행로 정비 10. 광진구 [에코줍깅활성화조례] 제정 -가족-친구와 함께하는 광진 줍깅데이 정기 운영 ===== 여성안심 친화도시 광진을 위한 10대 정책 ===== 대한민국 여성안심 친화도시 광진구를 함께 만들겠습니다. 1. 광진구 [여성1인가구안심조례(법)] 제정 -광진구청 여성전담부서 신설, 여성안전핫라인구축, 여성안심홈세트 지급, 1인가구 보안시스템 강화 등 통합시스템 구축 2. [광진여성안전 온라인반상회]정기 개최 -여성보호를 위한 블라인드 온라인 참여 방식 3. [밤귀가길 안심가로등] 확대 설치 -화양동·자양동 가로등 LED 밝은 조명으로 전면 교체 4. [안심원룸인증제] 실시로 1인가구 안전보장 -방범창·현관문이중잠금·CCTV·스마트비상벨 설치 5. 1인가구를 위한 [소셜다이닝 프로그램]확대 -1인가구 건강식생활 생필품 구입 정기바우처 제공 6. 1인가구 주거지원을 위한 [나눔공인중개서비스]운영 -1인가구 주택거래 전용 무료상담서비스 ‘광진홈즈’ 신설 운영 7. 광진구 [여성안심택배함] 3배 확대 설치 -현재 화양동 1곳, 자양3동 1곳, 자양4동 2곳 설치(주민센터) 8. 광진구 [1인가구 쾌적한방] 생활지원서비스 실시 -여름철 3대불쾌 곰팡이·벌레·냄새 제거 지원서비스 9. 화양초교 대안시설 [1인가구통합지원센터] 운영 -1인가구를 위한 공유부엌, 문화쉼터, 도시농부학교 등 프로그램 시행 10. 광진구 [반려동물함께살기조례]제정 -반려가족과 함께 살아가는 반려친화마을 만들기 추진 ===== 동별 맞춤형 마을정책 ===== 동별 맞춤형 마을 정책 발로 뛰는 밀착형 생활정치! 우인철은 합니다. [화양동] 1. 화양동 분리배출 간격 늘리기 - 공동 분리배출 시설 확충 요청 - 쓰레기 무단투기 CCTV 설치 강화 2. 건대입구역 1번 출구 노약자 장애인 엘리베이터 상시운영 - 현재 오전 8시까지 운영하여 이후 시간 이동약자 불편 초래 [자양3동, 4동] 1. 어린이, 청소년 대상 공공시설 확충 - 어린이 청소년 도서관 및 학습 공간 - 농구대·배드민턴 등 어린이 청소년 생활체육 공간 조성 2. 버튼식 신호등 확충 “차량통행과 보행자 안전을 조화롭게” - 이동약자 아동 및 노령층, 장애인, 몸이 불편한 사람 등 *버튼식 신호등 -버튼식 신호등은 보행자·차량 모두 기다리는 시간을 절약하고 교통 흐름도 더 원활하게 해준다. -차량 통행량에 비해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자가 적은 곳에 설치하면 차량은 불필요한 정차 없이 원활히 다닐 수 있다. *설치 필요 장소 <자양4동> 뚝섬유원지역4번출구 앞 <자양3동> 효지어린이집 앞 스타시티 C, D동 남측방면 (능동로 10길) 이튼타워 5차 동편 사거리 (능동로 4길) 3. 자양3동, 4동 경로당 예산 추가 확보 - 자양3동 신양경로당 : 공간이 너무 협소하고 활성화가 안 되어 있음 - 문화프로그램과 일반 주민들이 자원봉사할 수 있는 프로그램 확대 등 4. 사고 잦은 보행로 정비 (동자초 사거리) - 우성아파트 방면 직각 코너 시야 미확보로 자전거 및 보행자 사고 다수 발생 - 동자초 사거리 - 우성5차 아파트 사이 횡단보도 방면 == 기타 == * 청춘콘서트를 총괄하고 청년당 창당에 가세하였음에도 [[안철수]]와는 만난 적이 없었다고 하는데, 애당초 청년당이 안철수만을 바라보고 만든 정당이 아니기 때문이기에 일리가 있다. 그나마 청년당 출신 중에 비교적 최근까지 안철수와 같이 정치 활동을 했던 인물은 [[주이삭]] 서대문구의원 등 극소수이기도 하다.[* 주이삭 의원은 2021년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결렬 이후 탈당하여 [[국민의힘]]에 합류하였으며, [[강연재]]도 있었으나 2017년 국민의당 탈당 후 성향이 극우화되어 안철수와 결별한 상태.]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청년당)] || 2012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2012 - 2016 || 공직 활동 || || [include(틀:우리의미래)][br]([include(틀:무소속)]) || 2016 - 2017 || 창당준비위원회 || || [include(틀:우리미래)] || 2017 - 2018 || 재창당 || || [include(틀:미래당)] || 2018 - || 당명 변경 || == 선거 이력 ==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include(틀:청년당)] || 73,172 (0.34%) || 낙선 (4번) ||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특별시장]] || [include(틀:우리미래)] || 11,599 (0.2%) || 낙선 (7위) ||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2> [include(틀:미래당)] || 71,423 (0.25%) || 낙선 (2번) || || || 20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광진 라 || 3,049 (10.16%) || 낙선 (5위) || == 둘러보기 == [include(틀:미래당 중앙당)]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85년 출생]][[분류:마포구 출신 인물]][[분류:미래당 소속]][[분류:미래당 대표]][[분류:우석고등학교 출신]][[분류:한양대학교 ERICA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