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공동주택)]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장산숲 아이파크 정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장산숲 아이파크 전경.jpg|width=100%]]}}} || || '''정문''' || '''전경''' || ||<-2> [[파일:아이파크 흰색 BI_2021.svg|height=3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시 강서구 화곡동 1027-50, 너비=100%)]}}} || || '''명칭''' || '''우장산숲 아이파크''' || || '''영문 명칭''' || Ujangsansup IPARK || || '''종류''' || [[아파트]] || || '''브랜드''' || [[아이파크|[[파일:아이파크 BI_2021.svg|width=80]]]] || || '''주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화곡로31다길 20 ([[화곡동]]) || || '''입주''' || 2022년 12월 || || '''동수''' || 10개동 || || '''층수''' || 지하 2층, 지상 7~15층 || || '''세대수''' || 576세대 || || '''면적''' || 59㎡A·B, 74㎡, 84㎡A·B·C || || '''시행사''' || 화곡1주택재건축사업조합 || || '''시공사''' || [[HDC현대산업개발|[[파일:HDC 현대산업개발 CI.svg|width=150]]]] || || '''주차대수''' || 828대 (세대당 1.43대)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장산숲 아이파크 투시도.jpg|width=100%]]}}}|| || {{{#ffffff '''투시도'''}}} ||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화곡동]] '화곡1구역 주택재건축지구'에 위치한 아파트단지로 [[2022년]] 12월부터 입주 시작했다. 단지 중앙에 이미 조성된 어린이공원이 있으며 이면도로 맞은편에는 [[강서 힐스테이트]]가 위치해 있다. 강서구에서 몇 년 만에 공급되는 중형세대 민영 아파트로 임대 세대 없이 일반분양 되었다. 대규모 어린이공원을 품은 자연 친화 단지로 조성되며, 우장산, 우장산공원, 수명산, 봉제산, 범바위공원 등 녹지공간도 풍부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다. === 주민시설 === 어린이집과 경로당을 비롯해 피트니스센터, 실내골프연습장, GX룸, 맘앤키즈카페, 작은도서관, 게스트하우스 등의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이 있으며 정문 앞에는 기부채납으로 가족센터가 조성되는데 우리동네키움센터와 강서여성직업능력개발센터가 들어서게 된다. === 상업시설 === 아파트 내 2개의 작은 상가건물이 존재하며 인근의 강서힐스테이트 대형상가가 인접해 있다. 역과 역 사이에 위치해 있다보니 강서구에서 가장 번화한 화곡역 상권과 우현로를 건너 우장산역 상권을 빠르게 이용 가능하다. 또한 [[홈플러스 강서점|홈플]][[홈플러스 스페셜 가양점|러스]], [[이마트 가양점|이마]][[이마트 신월점|트]], [[NC백화점 강서점|NC백화점]], [[롯데몰 김포공항]] 등 대형쇼핑몰을 손쉽게 접근할 수 있고, 송화시장, 화곡본동시장, 우장산동 주민센터, 강서문화원, 메가박스, 미즈메디병원, 부민병원 등도 가깝다. 인접한 마곡지구 생활 인프라도 공유 가능한데 국내 최초 보타닉 공원인 서울식물원은 10분 이대서울병원은 5분거리로 이용할 수 있다. == 주변 환경 == === 교통 === ==== 철도 ==== [[수도권 전철 5호선]]의 [[화곡역]]과 [[우장산역]] 사이에 위치해 있어 마곡지구, 광화문, 여의도와 같은 대규모 업무지구로 출 퇴근이 용이하여 직주근접성이 뛰어나다. 또한 화곡역은 [[대장신도시]]와 [[홍대입구]]를 잇는 [[대장홍대선]]의 환승역으로 예정되어 있어 교통 여건에 개선이 될 전망이며 서울 지하철 2호선 [[청라신도시|청라]]연장선이 용역이 진행 중인데 구체화가 될 경우 화곡역이 트리플역세권으로 발돋음되어 수혜받는 아파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 도로 ==== 인근에 화곡로와 강서로가 있으며 신월동 방면으로 조금만 가면 남부순환로와 인천 작전동으로 다이렉트로 갈수 있는 봉오대로가 있다.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대원시장(16209/16210)'''}}}}}} {{{#!wiki style="text-align:left" 강서로 정류장 }}}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52|{{{#ffffff 65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1|{{{#ffffff 661}}}]]}}}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29|{{{#ffffff 6629}}}]]}}}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30|{{{#ffffff 663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48|{{{#ffffff 6648}}}]]}}}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57|{{{#ffffff 6657}}}]]}}} || || [[서울특별시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강서06|{{{#ffffff 강서06}}}]]}}} || || [[심야버스(서울)|{{{#ffc600 심야}}}]]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64|{{{#ffc600 N64}}}]]}}}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화곡본동시장(16145/16146/16555)'''}}}}}} {{{#!wiki style="text-align:left" 화곡로 정류장 }}} || ||<-2>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4|{{{#ffffff 60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6|{{{#ffffff 606}}}]]}}}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52|{{{#ffffff 65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50|{{{#ffffff 65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73|{{{#ffffff 673}}}]]}}}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버스 버스 5712|{{{#ffffff 571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514|{{{#ffffff 651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27|{{{#ffffff 662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29|{{{#ffffff 6629}}}]]}}} || || [[서울특별시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강서01|{{{#ffffff 강서01}}}]]}}} || ||<-2> '''경기도 시내버스''' || || {{{#ffffff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부천 버스 70-2|{{{#ffffff 70-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부천 버스 70-3|{{{#ffffff 70-3}}}]]}}} ||}}} 화곡역에는 위의 버스 뿐만 아니라 서울 서남권과 서북권 지역으로 오가는 다양한 버스들이 많고 인천과 부천에서 오는 버스들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봉오대로를 통해 [[청라신도시]]에서 [[화곡역]]까지 운행하는 BRT의 [[인천 버스 7700|7700번 버스]]가 정차한다. === 교육 === 우장산역 부근에 학업성취도평가가 높은 화곡중, 덕원중, 명덕여중이 있으며 매년 서울대 20명 이상 보내는 명덕외고와 그보다 못 미치지만 10명 내외로 서울대에 보내는 명덕고를 비롯해 명덕여고, 덕원예고 등 명문중고가 밀집되어 주위에 학원가가 조성되었는데 그 주변을 우장산학군이라고 불리우며 가까이 인접해 있다. == 여담 == * 원래는 화곡3주구(강서힐스테이트)에 포함된 구역이였으나 저층 건물을 많이 포함시키면 층수가 낮아진다고 하여 일부만 포함[* 현재 어린이공원의 부지]시켜 해당 주민과 큰 갈등을 빚게 되었으며 강서구청에서 시위를 벌인 적이 있었다. 이런 일을 겪어서인지 몰라도 10년 이상 걸린다는 재건축 사업을 엄청 빠르게 진행시켜 정비구역으로 지정 받고 입주까지 거진 7년 가까이 걸렸다. [[분류:강서구(서울)의 공동주택]][[분류:2023년 건설]][[분류:나무위키 공동주택 프로젝트]][[분류:아이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