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건물]] [목차][[파일:SC_FM_stargate.jpg|width=600&align=right]][clearfix] == 개요 == >{{{+1 '''우주관문'''}}}, 宇宙關門, Stargate, [[스타게이트]] >---- >프로토스 함대의 거대한 전함들은 일반적인 관문이 제공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강력한 차원 이동 통로를 필요로 한다. 이 거대한 우주 관문은 [[아이어]] 궤도를 돌고 있는 전함을 먼 행성의 표면까지 불러내는 역할을 한다.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에 등장하는 [[프로토스]]의 공중 병력 생산 건물. 설정상 고향 행성에 이미 있는 병력을 소환(Warp)하는 건물이다. == [[스타크래프트|스타크래프트 1]]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1/프로토스)] {{{#!wiki style="float:left" [[파일:SCR_stargate.gif]] [br] [*정지_이미지 [[파일:스1 우주관문.png]]]}}}{{{#!wiki style="float:left" || 소환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protoss=, mineral=150, vespene=150, time=70(+5))] || || 요구사항 || [[인공제어소|사이버네틱스 코어]][br][[수정탑|파일론]] 동력 안에 있어야 함 || 단축키 || S || || 생명력 || [[파일:SC_Icon_HP.png|height=16]] 600 [[프로토스 보호막|[[파일:SC_Icon_Shield.png|height=16]]]] 600 || 방어력 || 1 || || 특성 || 지상, 건물 || 크기 || 대형 || || 면적 || 4 × 3 || 시야 || 10 || ||<-4>{{{#!wiki style="margin: -15px -9px"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SCR_Icon_310_Plasma_Shields.png|width=80]]}}}||'''프로토스 플라스마 보호막''' [br] Protoss Plasma Shields||}}}||}}}[clearfix] ||<:>{{{#!wiki style="margin:-4px -9px" [[파일:SCR_Icon_070_Scout.png|width=80]]}}} ||'''[[정찰기(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정찰기]] 소환''' (S) [br] Warp in Scout [b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protoss=, mineral=275,vespene=125,supply=3,time=80)] ||<:>{{{#!wiki style="margin:-4px -9px" [[파일:SCR_Icon_072_Carrier.png|width=80]]}}} ||'''[[우주모함]] 소환''' (C) [br] Warp in Carrier [b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protoss=, mineral=350,vespene=250,supply=6,time=140)] || ||<:>{{{#!wiki style="margin:-4px -9px" [[파일:SCR_Icon_071_Arbiter.png|width=80]]}}} ||'''[[중재자(스타크래프트 시리즈)|중재자]] 소환''' (A) [br] Warp in Arbiter [b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protoss=, mineral=100,vespene=350,supply=4,time=160)] ||<:>{{{#!wiki style="margin:-4px -9px" [[파일:SCR_Icon_060_Corsair.png|width=80]]}}} ||'''[[해적선(스타크래프트 시리즈)|해적선]] 소환''' (O) (확장팩 추가) [br] Warp in Corsair [b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protoss=, mineral=150,vespene=100,supply=2,time=40)] || ||<:>{{{#!wiki style="margin:-4px -9px" [[파일:SCR_Icon_286_Set_Rally_Point.png|width=80]]}}} ||<-3>'''집결 지점 설정''' (R) [br] Set Rally Point || [[프로토스]]의 우주선들을 불러내는 건물로 목록은 [[정찰기(스타크래프트 시리즈)|스카웃]], [[해적선(스타크래프트 시리즈)|커세어]], [[우주모함|캐리어]], [[중재자(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아비터]]를 소환할 수 있다. 테란의 [[스타포트]]처럼 모든 공중 유닛을 불러내는건 아니지만 공격 능력이 있는 우주선들은 죄다 스타게이트 유닛들이다. 그냥 보면 [[우주모함|캐리어]]를 연상시키는 --깃털--길쭉한 구조물 두 개가 하나는 떠 있고 하나는 바닥에 누워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보통 구조물 두 개인 건물로 오해하는데 사실은 전혀 그런 모양이 아니다. 자세히 보면 납작한 구조물 네 개가 상하좌우로 배치되어 차원문을 이룬 형태다. 스타크래프트 2의 우주관문 디자인이 괜히 가운데가 동그랗게 나온 게 아닌 것. 유닛을 소환 중일땐 가운데에서 불이 번쩍번쩍 들어오고, 동력이 끊어질 때는 빛나던 불이 꺼진다. 리마스터에서는 구분선이 뚜렷해졌다. 오리지널에서는 가격이 로보틱스 퍼실리티와 똑같았고 거기에 가격도 비싼 유닛들이 대부분이라 보통 하늘의 왕자였던 스카웃을 뽑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당시 캐리어는 쓰레기였고, 아비터는 가스를 무려 500이나 집어먹는 가스괴물이라 보조용 아니면 볼 일도 없었다. 거기다 두 유닛 전부 최종테크 값을 못하는 인식이 박혀 있어서 주로 준수한 성능의 스카웃밖에 없었다는 것도 한몫했다. 저그전에서는 커세어를 뽑기 위해서 일찌감치 올라가는 건물. 물론 좀 일하다가 노는 건물이 되지만 지상맵에서도 커세어를 지속적으로 뽑는 전략이 많기 때문에 꼭 잉여가 되지는 않는다. 저그가 스커지로 커세어가 뽑히자마자 격추할 수 있기 때문에 필히 근처에 포톤 캐논 1개는 박아 놓자. 테란전에서는 중반즈음 올라가며, 캐리어나 아비터를 뽑는 용도로 사용된다. 프테전에서 스타게이트가 올라가면 보통 게임이 중반으로 접어들었다고 보면 된다. 유닛들이 죄다 비싸기 때문에 공중병력이 주 전력이래도 2~3개정도 짓고 마는것이 대부분이다. 테테전에선 스타포트가 왕창 올라가는 경우가 심심찮게 벌어지는 것과 비교되는 모습.[* 커세어는 레이스랑 가격이 같지만, 커세어의 생산 시간이 레이스보다 훨씬 짧으며 맷집 차이덕에 생존율도 커세어가 더 높으므로 대량생산을 한다고 쳐도 스타게이트를 많이 지을 필요가 없다.] 하지만 동족전에서는 볼 일이 거의 없다. 캐리어나 아비터는 충분히 밥값을 할 만한 유닛들이지만, 스타게이트 유닛들 모두의 [[암흑 집정관|슈퍼 카운터 유닛]]이 있어서 위험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에 안 뽑는 것.[* 캐리어는 다크 아칸의 마인드컨트롤 한방이면 적에게 빼앗기고, 아비터 역시 적에게 빼앗기거나 그게 아니라도 피드백 한번이면 아무것도 못하는 바보가 된다. 심지어 커세어도 마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드백에 취약한데, 커세어는 마법 개발도 거의 안 하기 때문에 일단 뽑아놓으면 마나가 차곡차곡 쌓이기 마련이라 아주 높은 확률로 피드백 한방에 터진다. 그리고 스카웃이 아무리 쓰레기 취급 받아도 이래봬도 값비싼 고급유닛이라 마컨에 빼앗기면 셔틀도 잡아주고 옵저버도 잡아주고 정찰도 해주고 일꾼도 잡아주는 역캐리 유닛이 된다.--물론 스카웃을 뽑는다는 가정 하에 말이다--] 굳이 다크 아칸이 아니더라도 주력 유닛 드라군이 스타게이트 유닛 전원에게 강해서 괜시리 뽑았다가 용기병 대부대에 쓸려갈 수 있다. 스타의 모든 생산 건물 중 특정 종족전에서 일반적으로 아예 안 지어지는 특이한 점을 지닌 유일한 경우다.[* 테란의 [[배럭스]]도 [[테테전]]이나 [[프테전]]에서 사실상 안 쓰이는 것은 비슷하나 테크에 필수적인 건물이기 때문에 반드시 지어야 하며 초반 방어 문제 때문에 거의 반드시 유닛 생산도 해야 한다. 물론 보통 1개만 유지하고 상위 테크에서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하면 생산 목적으로써의 역할을 종료한다. 특별한 이유가 있다면 메딕 혹은 고스트 목적으로 쓰였으나 안되면 정찰용으로 띄우는 경우도 많다.] [[김태형(1973)|김캐리]]는 이미 캐리어의 도를 깨우쳤으므로 '스타게이트만 보면 감이 온다.'는 드립을 치기도 했다. [youtube(a042RCdESyQ, width=300, height=200)] 현재는 프로토스 건물 중 이 건물만 클릭할 때 나오는 사운드가 없지만, 클릭했을 때 나오는 사운드가 존재한다. 미사용 데이터로 남아있는 상태. (위 영상의 26~28초에 나온다.) == [[스타크래프트 2]]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프로토스)] || [[파일:btn-building-protoss-stargate.png]] [br] 기본 || [[파일:btn-building-protoss-stargate-forged.png]] [br] 벼려진 자 || [[파일:btn-building-protoss-stargate-ihanrii.png]] [br] 이한 리 || {{{#!wiki style="text-align:center; max-width:80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50%" [[파일:SC2Pic_Pst_stargate.gif]] [br] 기본 상태[*정지_이미지 [[파일:SC2Pic_Pst_stargate.png]]]}}}{{{#!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50%" [[파일:SC2Pic_Pst_stargate_work.gif]] [br] 소환 중[* 생산 여부 확인에 어떤 유닛을 뽑는지, 그 유닛의 형상까지도 다 드러난다.]}}}}}}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building-protoss-stargate.png|width=76]]}}}||{{{+1 '''우주관문'''}}} ,,Stargate,, 프로토스 공중 유닛을 소환합니다.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10px 1px; vertical-align:top" ||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protoss=, mineral=150, vespene=150, time=60 (아주 빠름 기준 43))] ||<|6>{{{#!wiki style="margin:-4px -9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파일:btn-armor-protoss-buildingplating.png|width=76]]{{{#!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0 20px 0 10px" '''프로토스 장갑''' [br] ,,Protoss Building Plating,,}}}}}}}}}|| || 요구 사항 || [[인공제어소]][br][[수정탑]] 동력 안에 있어야 함 || 단축키 || V-S || || 보호막 || 600 || 체력 || 600 || || 보호막 방어력 || 0 (+1) || 방어력 || 1 || || 시야 || 9 || 건물 크기 || 3 x 3 || || 특성 || 중장갑 - 구조물 ||}}} ||
<-4> {{{+1 '''기능'''}}}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protoss-phoenix.png|width=76]]}}}||<-3>'''불사조 소환''' ,,Warp In Phoenix,, ({{{#fff X}}})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protoss=, m=150, g=100, s=2, t=35 (아주 빠름 기준 25))] 제공 전투기입니다. {{{#ffff8a 공중 유닛 공격 가능}}}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protoss-oracle.png|width=76]]}}}||<-3>'''예언자 소환''' ,,Warp In Oracle,, ({{{#fff E}}})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protoss=, m=150, g=150, s=3, t=52 (아주 빠름 기준 37))] 특수 능력을 사용하는 비행 유닛입니다. 계시, 정지장 수호물, 펄서 광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protoss-warpray.png|width=76]]}}}||<-3>'''공허 포격기 소환''' ,,Warp In Void Ray,, ({{{#fff V}}})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protoss=, m=250, g=150, s=4, t=60 (아주 빠름 기준 43))] 정밀 타격기입니다. {{{#ffff8a 지상 및 공중 유닛 공격 가능}}}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protoss-tempest.png|width=76]]}}}||<-3>'''폭풍함 소환''' ,,Warp In Tempest,, ({{{#fff T}}})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protoss=, m=250, g=175, s=5, t=60 (아주 빠름 기준 43))]/ 요구 사항: 함대 신호소 공성 포함입니다. 장거리에서 공격합니다. {{{#ffff8a 지상 및 공중 유닛 공격 가능}}}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protoss-carrier.png|width=76]]}}}||<-3>'''우주모함 소환''' ,,Warp In Carrier,, ({{{#fff C}}})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protoss=, m=350, g=250, s=6, t=90 (아주 빠름 기준 64))]/ 요구 사항: 함대 신호소 주력함입니다. 요격기를 생산하고 출격시켜 적을 공격합니다. {{{#ffff8a 지상 및 공중 유닛 공격 가능}}} || {{{#!folding  [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 자유의 날개 * 베타 0.10.0: 공허 포격기 생산 비용 200/150 → 250/150 * 1.2.0: 불사조 생산 시간 45 → 35 (아주 빠름 25) * 군단의 심장 * 베타 시작: 우주모함 삭제, 예언자와 폭풍함이 추가 * 베타 BU 2: 우주모함 롤백, 예언자 생산 비용 150/200 → 150/150 * 베타 BU 4: 명령창에 '집결 지점 설정' 명령이 올바르게 표시됨 * 베타 BU 6: 폭풍함 생산 비용 300/300 → 300/200, 보급품 6 → 4, 생산에 함대신호소 더이상 필요하지 않게 함 * 베타 BU 7: 예언자 생산 시간 60 → 35 * 베타 BU 8: 예언자 생산 시간 35 → 50, 폭풍함 생산 시간 75 → 60 * 베타 BU 12: 공허 포격기 보급품 3 → 4 * 공허의 유산 * 베타 2.5.0: 우주모함 생산 시간 120 → 90 * 베타 2.5.2: 여러 건물 선택시 표시되는 순서 조정 관문 (관문 > 차원 관문) > 로봇공학 시설 > 우주관문 * 베타 2.5.5 BU #5: 우주모함 생산 시간 90 → 120 * 3.8.0: 폭풍함 보급품 4 → 6 * 4.0.2 BU: 예언자 생산 시간 37 → 43 (보통 기준 52 → 60) * 4.1.1 BU: 예언자 생산 시간 43 → 37 (보통 기준 60 → 52) * 4.7.1: 폭풍함 생산 비용 300/200 → 250/175, 보급품 6 → 5, 우주모함 생산 시간 86 → 64 (보통 기준 120 → 90) * 5.0.2: 공허 포격기 생산 비용 250/150 → 200/150, 생산 시간 43 → 37 (보통 기준 60 → 52) * 5.0.9: 공허 포격기 생산 비용 200/150 → 250/150, 생산 시간 37 → 43 (보통 기준 52 → 60) }}} ---- [[스타크래프트 2]]에서는 애매하게 생긴 전작의 형태가 납득이 가는 디자인으로 재탄생하였다. 함선을 소환하는 중앙부의 둥근 형태에서 함선이 소환되는 모습도 구현되었다. 또한 전작에 비해 건설 시간이 10초 줄었다. [[자유의 날개]]에서 불사조의 상향 이전에는 공허 포격기만 보고 짓는 건물이었으나 전작과 같은 낭비는 줄어들었다. 우주모함의 생산 역시 가능하다.[* 우주관문 유닛 중 유일하게 전작과 이번 작 모두 나오는 유닛이다. 원래는 [[자유의 날개]]에서 삭제되고 그 역할은 신 유닛 [[폭풍우]]가 대신할 예정이었지만 우주모함이 다시 돌아왔다.] [[소환]]이라는 설정 때문인지 건물 사이 빈 공간에 무엇이 나오고 있는지 [[실루엣]]이 보인다. 수정탑이 막혔을 경우에는 소환 이펙트만 나오고 유닛의 실루엣이 안나온다. [[관문(스타크래프트 시리즈)|관문]]이나 [[차원 관문]], [[로봇공학 시설]]도 실루엣은 보이지 않는데 우주관문만 보이게 되었다. 다른 종족 생산 건물도 실루엣 따윈 보이지 않는다.[* 애벌레로 통한 변이와 우주공항과 다르게 우주관문은 소환 중에는 티가 나기 때문에 페이크성 전략은 쓰지 못한다.] 파생형으로 캠페인이나 [[아르타니스/협동전 임무|협동전 아르타니스]]에서는 가운데에 검은 공이 들어가 있는 형태의 차원 우주관문이 존재한다. '차원'이라는 말이 붙어 있듯 '''[[차원관문]]의 우주관문 버전'''이다. [[군단의 심장]]에서는 [[폭풍함]]과 [[예언자(스타크래프트 2)|예언자]]가 우주관문에서 생산되는 유닛으로 추가되었다. [[파일:btn-building-protoss-starwarpgate.png]] 캠페인에서는 차원 우주관문을 쓸 수 있고, 전작의 [[정찰기]]를 볼 수 있는데 성능은 여전히 시원찮다. == 여담 == [[파일:external/pds26.egloos.com/e0028092_56431d8fa0a4d.jpg]] * [[공허의 유산]] 본편 엔딩 영상을 보면 원래는 공중에 떠있는 구조물이다.[* 게임에선 밸런스 문제 때문에 지상판정을 받는다.] 비행체가 소환될 때마다 지상으로 나오게 하는 것보다는, 공중으로 나와서 편하게 운행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기는 할 것이다. 덧붙여 가운데 둥근 공간에 별과 우주가 보이는걸로 봐서 아예 '''우주랑 직접적으로 웜홀을 뚫어서 함대를 들이고 내 보내는 개념'''인듯 보인다. * 스타2 팀플레이에서 토스가 나오면 10판 중 8판 수준으로 자주 등장한다. 그중 4판은 시작부터 드러눕고 째면서 공허포격기나 우주모함을 쌓는 유형이고, 3판은 불사조나 공허로 테러를 다니면서 함대로 전환하며, 나머지 1판이 1대1처럼 초반에만 쓰고 버리는 운영을 한다. 이러한 소위 '기승전함대' 플레이를 블리자드도 의식했는지 결국 우주모함은 중력자 발사기가 사라진 시점에서 이미 1대1에서는 퇴물 신세가 되었음에도 너프에 너프를 먹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