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우편]][[분류:통신 시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의 우체국과 그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 조직, rd1=우정사업본부)] [include(틀:시설)] [include(틀:세계의 우체국)] [목차] == 개요 == '''우체국'''([[郵]][[遞]][[局]])은 [[우편]]물을 수취·발송·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는 기관 또는 기업으로 [[금융]] 업무를 겸하기도 한다. 보통 [[정부]]기관 또는 [[공기업]]이다. [[대한민국]]의 경우 정부기관의 형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산하 기관인 [[우정사업본부]]로 존재한다.[* 과거에는 우편 업무를 [[대한민국 정보통신부|체신부]]가 전적으로 직접 관할했다가 [[문민정부]] 시절인 [[1994년]] [[12월 23일]]부터 체신부에서 [[대한민국 정보통신부|정보통신부]]란 명칭으로 바뀌었다. 이후, 우정사업 부문이 [[대한민국 정보통신부|정보통신부]] → [[지식경제부]] → [[미래창조과학부]]를 거쳐 지금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책임운영기관]]으로 존재한다. 가끔씩 공사(공기업)화 논의가 튀어나오긴 한다. 혹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상위기관]]의 외청인 우정청으로 독립시켜야 한다는 얘기도 있다. 보면 알겠지만 처음엔 국가기관에서 통신업과 우편업을 함께 했다가 나중에 통신업을 분할하여 매각한 것이다. 이 점은 민간의 [[AT&T|벨 통신회사]]가 먼저 전화 서비스를 시작했고 통신사업 규제권도 [[미국 상무부]]와 [[FCC|미국 라디오위원회]]에 있었던 [[미국]]을 제외하면 외국이라고 크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우체국이 [[정보통신부]]의 전신이었던 경우가 상당히 많다.] [[민영화|그렇지 않더라도]] [[국가]]의 제법 강력한 통제에 놓인다.[* 이는 우편이 [[수도(시설)|수도]], [[전기]]와 마찬가지로 국가 [[필수요소]]이기 때문이다. 이는 각종 국가중요시설로 지정된 각종 전화국을 관리하는 [[KT]]가 민영화 이후에도 정부에게 [[내리갈굼]]을 당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법전에 적힌 모든 법 조항들을 살펴보면, '체신관서'라고 언급한다. == 주 업무와 수익 == 주수입은 [[우표]]와 인지 판매 및 [[우편요금]]을 포함한 [[우편환]][* 요즘에는 [[구치소]]/[[교도소]]에 수감된 [[수감자|미결수]]한테 영치금을 송금하는 방법조차 굳이 [[가족]]이나 [[지인]]이 [[수감자]]와 직접 대면해서 정해진 한도 내의 [[현금]]을 수감자의 손에다가 쥐어주거나 [[우편환]]으로 송금 할 필요가 없는 것이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가 운영 중인 [[http://www.corrections.go.kr/corrections/1108/subview.do|영치금온라인뱅킹시스템]](연중 24시간, 수용자 영치금 300만 원 내 1회 입금 한도 없음)이 이미 갖춰져 있다고 하니, [[계좌이체]] 서비스가 [[우편환]] 서비스를 완전히 대체해 버렸다고 봐도 무방하다. 일정한 조건만 맞아 떨어지면 이체 [[은행/수수료|수수료]]를 아주 적게 혹은 아주 안 내고 이체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경조사비라면 상대방의 계좌로 불쑥 이체하기가 뭐할 테니 얘기가 다를 것이고, 아주아주 드문 케이스에 불과하겠지만, 금융질서문란자란 낙인이나 마찬가지인 꼬리표가 오랜기간 따라붙게 생긴 바람에 [[계좌개설]]조차 [[개설방어|거부당하여]] [[계좌이체]] 형태로의 송금이 불가능한 페널티 때문에 이용하게 되는 수도 있을 것이다. [[계모임]]에서의 자금 관리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하여 입출금계좌를 본인 명의로 굳이 개설 해야 할 필요가 없고, 단체 명의로 개설해도 상관없는 등의 예외가 아니라면 [[대포통장|차명계좌]]에는 절대로 눈독들일 생각을 해선 안 된다.], 금융업무 취급 수수료에서 나와야 하나, [[북한]]처럼 [[우표]] '''[[수출]]'''로 돈을 버는 우체국도 있고, [[독일]] 우체국은 팬시점을 차려서 돈을 벌고 있기도 하다. 한국 [[우정사업본부]]는 [[우체국 택배]]로 돈을 번다. [[캐나다 포스트]], [[호주 우편공사]]와 같이 [[여권]]과 같은 공문서를 취급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우체국은 공공서비스이기에 함부로 가격을 올릴 수 없어 우편과 금융 서비스만으로는 적자를 매꾸기 힘든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실제로는 정부예산으로도 운영된다고 볼 수 있다. == 대한민국에서의 역사 == ||[[파일:external/s32.postimg.org/IMG_20160511_173738.jpg|width=100%]]|| || [[조계사]] 옆에 있는 한국 최초의 우체국인 우정총국 || || [[파일:external/photos.wikimapia.org/89_big.jpg|width=100%]] || || 인천 항동6가에 있는 옛 인천중동우체국 청사[* 구 인천우체국(~2005). 한국 최초로 영업한 [[우체국]]이다. 건물은 [[1923년]]에 [[건축]]되었으며, [[인천광역시]] 지방문화재 8호. 정밀안전진단 결과 D등급을 받아 긴급보수가 필요한데다 [[문화재 훼손]]의 우려가 있어 [[2019년]] [[5월]] 청사를 옮겨, 현재 인천중동우체국은 신흥동 정석빌딩에서 운영하고 있다.] || [[대한민국]]에서는 [[1884년]] [[4월 22일]]에 세워진 [[우정총국]]을 통하여 [[우편]]의 역사를 시작하였으나, 당시에 [[기차]]나 [[자동차]]는 운용되지 않았기에 속도는 느렸다. 또한, [[1884년|그 해]] [[12월]] [[갑신정변]]의 여파로 순식간에 일이 엎어지게 된다.[* 우정총국 초대 총판이 [[홍영식]]인데, [[갑신정변]]이 터지고 며칠 후에 살해당했다.] 이후, 10여년이 넘게 근대 우편 제도가 중지되었다가, [[1895년]] [[갑오개혁]]이 되어서야 전국 서비스가 시작됐다. [[1900년]], [[만국우편연합]]에도 가입해 [[국제우편]] 서비스도 시작했다. 당시의 우체국의 명칭은 우체사였다. 그러나 일제의 침략이 본격화되면서 [[1905년]]에 [[한일통신합동조약]]이 강제로 맺어져 [[대한제국]]의 체신 업무는 그대로 일본에 접수되고 말았다. 따라서 우정총국은 [[경성우편국]]으로 흡수되었으며, 건축물등에 관한 상세는 문서참조. 세월이 지나 해방 이후 일제가 남겨두고 간 시설로 다시 업무를 시작했고,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정부의 공식 기관이 돼 오늘날 대한민국 우편 서비스의 모태가 된다. [[우체국]]은 [[우정사업본부]] 소속[*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하의 독립 직제로 개편되었다.]으로서 [[우체국]]을 관할하는 [[지방우정청]]은 전국에 9개([[서울지방우정청]], [[경인지방우정청]], [[부산지방우정청]], [[충청지방우정청]], [[전북지방우정청]], [[전남지방우정청]], [[경북지방우정청]], [[강원지방우정청]], [[제주지방우정청]])가 있다. 따라서, 상당수의 직원들은 [[국가공무원]]이다. 우정사업 자체가 전 국토를 커버해야 하는 업무이기 때문에 지방공무원이 담당할 수 없다.[* 다른 나라들도 대부분 비슷하며, 미국도 마찬가지로 우편 직원은 전원 연방정부 소속 공무원 신분이고, 연방헌법에 따라 연방정부는 우편에 대한 독점적인 관할권을 가지고 있다.] [[군사우체국]] 대량 폐지에 이어서 [[2014년]] [[7월]]에는 우편 이용률 감소로 인한 적자를 이유로 [[대학교]] 캠퍼스 내 우체국을 상당수 폐국하고[*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이화여대]], [[한양대]], [[건국대]], [[한국외국어대학교|한국외대]] 등 주요 대학교들은 아직 캠퍼스 내 정식 우체국이 영업 중이다. [[2020년]]까지 정량 지표와 관계 없이 '1읍·면·동 1국' 체제에 따라 대학 구내의 우체국을 전부 폐국할 계획이었지만, 무산된 듯.] 일부는 [[우편취급국]]으로 전환했다. == [[지방우정청|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지방우정청)] === 우편취급국 === 우체국 업무에서 금융 업무를 뺀 것이 [[우편취급국]]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금융 업무를 제외한 나머지 우편 업무는 모두 취급하기에 우편 업무는 여기를 이용해도 된다. == 우편기관 == === [[아시아]] === * [[대한민국]]: [[우정사업본부]] * [[북한]]: [[조선우편]] * [[중국]]: [[중국우정]] * [[홍콩]]: [[홍콩우정]] * [[마카오]]: 마카오 우정국 * [[대만]]: [[중화우정]] * [[일본]]: [[일본우정]] * [[싱가포르]]: [[싱가포르 포스트]][* 흔히 싱포스트(Singpost)로 줄여 부른다.] * [[말레이시아]]: 포스 말레이시아 * [[베트남]]: [[베트남우정통신공사]] * [[필리핀]]: [[PHL포스트]] * [[태국]] - [[https://international.thailandpost.com/?lang=en|#]] * [[인도]] - [[https://www.indiapost.gov.in/vas/Pages/IndiaPostHome.aspx|India Post]][* Department of Posts, Ministry of Communication] === [[아메리카]] === * [[미국]]: [[미국우정공사|USPS]] * [[캐나다]]: [[캐나다 포스트]] === [[유럽]] === * [[영국]]: [[로열메일]] * [[아일랜드]]: An post * [[독일]]: [[도이치포스트]] * [[프랑스]]: [[라 포스트|La Poste]] * [[네덜란드]]: PostNL * [[이탈리아]]: Poste italiane([[이탈리아우정]]) * [[바티칸]]: [[바티칸 우취 및 주화국|바티칸 우정국]] * [[스웨덴]],[[덴마크]]: [[PostNord]] * [[핀란드]]: Posti * [[스페인]]: correos * [[에스토니아]]: [[Omniva]] * [[우크라이나]]: [[우크르포쉬타|Укрпошта]] * [[러시아]]: Почта россии([[러시아우정]]) * [[크림 공화국]]: Почта Крыма([[크림 우정]]) === [[오세아니아]] === * [[뉴질랜드]]: 뉴질랜드 포스트 * [[호주]]: [[호주 우편공사|오스트레일리아우정공사]] === [[아프리카]] === *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우정국]] == 세계의 민영화 사례 == 우편 업무의 효율성을 강화하고,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민영화]]를 단행하는 국가도 있다. 우정민영화는 사실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 [[신성로마제국]]의 프란치스코 데 타시스 2세가 우편 업무를 민영화시켰다는 기록이 있다. [[영국]], [[네덜란드]], [[독일]], [[일본]] 등은 우정사업을 [[민영화]]한 국가들이다. 이러한 [[민영화]]에 따른 결과는 국가마다 차이가 보인다. * [[영국]]은 '''[[로열메일|민영화로 인한 부작용이 일어나 문제가 다분해졌고]]''', 수익성 악화로 관리직원을 정리해고하며 논란이 생겼으며, 믿을 수 없는 불안한 기업이라는 평을 듣고 있다. * [[네덜란드]]와 [[도이체 포스트|독일]]은 성공한 사례이다. * 몇 백 년 전통의 [[네덜란드]] 우정은 민영화 뒤, [[1940년대]]에 세워진 [[호주]]의 물류 회사인 [[TNT Express]]를 [[1990년대]]에 인수해서 한때 자체 [[화물기]]까지 거느리고, 나중에 [[TNT]]를 아예 자기 브랜드로 만들었으나, 이후 [[http://www.postnl.nl/voorthuis/|PostNL]]이란 이름으로 다시 떨어졌다. 다만 [[TNT]]의 본사는 아직 [[네덜란드]]에 남아 있으나, [[FedEx|페덱스]]가 TNT의 특송부문을 [[2016년]] [[5월]] 인수했다. * [[독일]] 우체국은 세계 최대 수준인 특송회사 [[DHL]]을 거느리고 있다. 이외에도 해외직구라는 먹거리를 포착해서 저렴한 우편의 요금과 전자상거래의 추적옵션을 추가시킨 서비스로도 돈을 벌고 있다.[* [[일본]] [[오사카]]에서 출발한 [[아마존]] 해외직구 물품이 한국으로 바로 오지 않고 [[홍콩]]을 경유하는 일도 있다.] * 대부분 [[민영화]]가 [[비리]]나 [[파산]], 가격 상승과 연관된 것과 다르게 [[일본우정|일본]]의 경우 국민이 일본 우체국에 맡긴 돈을 정부가 자기 돈처럼 마구 빼내 쓰는 [[부정부패]] 때문에 오히려 [[국영기업]]으로 두는 것이 염려스러워 [[민영화]]한 거라서 성격이 다르다.[* 대장성이 우편저금 등으로부터 대출을 받고, 이걸 다시 타 성청, 지방자치단체, 특수법인에게 융자하는 식. 참고로 일본은 우편저금뿐만 아니라 국민연금과 후생연금 기금으로도 이런 일을 해서, 국민연금과 후생연금을 관리했던 연금복지사업단(후생노동성 산하 특수기관) 역시 폐지되고, 연금운영을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연금적립금관리운영독립행정법인라는 독립행정법인이 새로 설립되었다.][* 한국의 우체국은 예금담보대출이나 수표 대월약정을 제외하면 대출 취급 자체가 금지되어 있기에 이런 문제에서는 일본보다는 자유로운 구조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우체국예금과 국고는 회계가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관료들이 우체국에서 쉽게 돈을 빌리거나 예금을 빼오는 일은 한국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일본의 우정민영화]] 참조. [[전일본공수]]와 합작으로 ANA & JP Express를 운영한 적이 있는데, 나중에 일본우정 쪽에서 먼저 손을 뗐다. 일단 [[서비스]]와 [[품질]]은 상당히 좋은 편이지만, 간혹 [[일본우편]]이 [[미국우정공사|USPS]]같이 미리 배송완료로 스캔한 후 배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넥스]] [[도쿄도|도쿄]] [[시나가와구|시나가와]] 센터에서 확인되었다.] [[대한민국]]의 [[우체국]]과는 달리 [[휴일]]이나 [[심야]]에도 우편 접수를 하는 [[우체국]]이 있고, [[택배]]의 경우 배송일자도 직접 지정할 수 있다. 단, [[오가사와라 제도]]는 불가능하다. 배가 일주일에 한 편밖에 없어서 늦어도 '''선박 출항 전날'''까지는 접수를 해야 한다. == 여담 == * 우체국 사칭 피싱 메일이 급증하고 있어 주의를 요한다. 우체국에서 온 메일인데 결제를 요구한다면 의심을 해봐야 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583555?sid=105|‘우체국 사칭’ 피싱 메일 급증…“이메일로 결제요구 땐 의심해야”]] == 관련 문서 == * 종류 * [[우편집중국]] * [[별정우체국]] * [[우편취급국]]([[우편취급소]]) * [[군사우체국]] * [[우체통]] * [[집배원]] * [[우편번호]] * [[㉾]] * [[등기우편]] * [[우편요금]] * [[우편차]] * [[화물철도#s-3.5|우편열차]] * [[우편환]] * [[우표]] * [[기념우표]] * [[보통우표]] * [[인터넷 우표]] * [[국제반신우표권]] * [[국제우편]] * [[해외송금#s-1.3|국제우편환]] * [[만국우편연합]] * [[선편우편]] * [[항공서간]] * [[항공우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