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우크라이나 관련 문서)] [include(틀:우크라이나군)] ||<-2> {{{#FFFF00 {{{+2 '''우크라이나 공수군'''}}}[br]'''Десантно-штурмові війська України[br]Ukrainian Air Assault Forces''' }}} || ||<-2> [[파일:우크라이나 공수군 엠블럼.svg|width=200]] || ||<-2> {{{#FFFF00 '''우크라이나 공수군 엠블럼''' }}} || ||<-2> [[파일:우크라이나 공수군기.svg|width=200]] || ||<-2> {{{#FFFF00 '''우크라이나 공수군기''' }}} || ||<-2> [[파일:우크라이나 공수군 견장.svg|width=200]] || ||<-2> {{{#FFFF00 '''우크라이나 공수군 견장''' }}} || ||<-2> {{{#FFFF00 '''모토''' }}} || ||<-2> {{{#black '''Always First!''' [br] '''Завжди перші!''' [br] '''항상 먼저!'''}}} || || {{{#FFFF00 '''창설년도''' }}} ||[[1992년]] || || {{{#FFFF00 '''기념일''' }}} ||[[11월 21일]] || || {{{#FFFF00 '''국가'''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우크라이나]] || || {{{#FFFF00 '''소속''' }}} ||[[파일:우크라이나군기.svg|width=30]] [[우크라이나군]] || || {{{#FFFF00 '''군종''' }}} ||[[공수부대|공수군]] || || {{{#FFFF00 '''명령체계''' }}} ||우크라이나 국방부 || || {{{#FFFF00 '''주임무 및 역할''' }}} ||[[경보병]], [[공수작전]], [[평화유지군]]|| || {{{#FFFF00 '''본부'''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우크라이나]] [[지토미르]] || || {{{#FFFF00 '''사령부''' }}} ||공수군사령부, [[지토미르]]|| || {{{#FFFF00 '''전력''' }}} ||8,000 ~ 16,000명 || || {{{#FFFF00 '''색상'''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56031b;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마룬색 {{{-2 (#570b21)}}}}}}}}}|| || {{{#FFFF00 '''전신''' }}} ||[[파일:소련 국기.svg|width=30]] [[소비에트 연방]] [[파일:attachment/소련군/sov_f.jpg|width=30]] [[소련군]] 공수군 [[VDV]] || || {{{#FFFF00 '''참전''' }}} ||[[KFOR]] [br] [[이라크 전쟁]] [br]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br] [[돈바스 전쟁]] [br]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FFFF00 '''링크''' }}} ||[[https://dshv.mil.gov.ua/|[[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https://www.facebook.com/www.dshv.mil.gov.u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www.instagram.com/air_assault_forces_of_ukrain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2> {{{#FFFF00 '''지휘''' }}} || || {{{#FFFF00 '''공수군사령관''' }}} ||막심 빅토로비치 미르호로드스키(Максим Вікторович Миргородський) 준장 ([[2021년]] [[8월 8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크라이나군]]의 [[공수부대|공수군]]. 구 소련의 영향에 따라 현재 [[러시아군]]과 같이 공수군이 정식 군 편제로써 따로 존재한다. == 상세 == ||[[파일:우크라이나 공수군 세이버 정션 2018_1.jpg|width=100%]]||[[파일:우크라이나 공수군 훈련 세이버 정션_2.jpg|width=100%]]|| ||<-2> {{{#FFFF00 우크라이나 공수군의 [* 미 공수여단과 유럽 국가들의 연합 공수작전훈련으로 당시 20개국 5,500명이 참가한 대규모 군사훈련이다.] 훈련 참가 모습.}}} || '''우크라이나 공수군(Десантно-штурмові війська України, Ukrainian Air Assault Forces)'''은 우크라이나에 주둔하던 소련 공수군을 모태로 하여 1992년 탄생하였다. 약칭은 DShV(ДШВ, 데샤베). 본부는 [[지토미르]]에 있다. 러시아 공수군과 비슷하게 우크라이나군의 정예부대 포지션이며 신속대응군이라는 장점 덕분에 창설 직후부터 시에라리온, 이라크, 코소보 같은 분쟁지역에 평화유지군으로 자주 투입되었다. [[돈바스 전쟁]] 당시 도네츠크 지역 후방에 대규모 강습작전을 벌여 포위된 우크라이나군과 피난민들의 후퇴로를 확보하는 등 엄청난 활약을 펼쳤다. 본래 육군 소속이었으나 2017년부터는 공수군(Air Assault and Airborne Forces)이라는 별개의 조직으로 분리되었으며, 부대체계를 서방식 신속대응부대로 뜯어고치는 대수술 끝에 현재는 8개의 여단 체계를 가지고 있다. 본래 러시아 VDV와 똑같이 하늘색 텔냐쉬카와 푸른 베레모를 착용하였으나 2016년부터 러시아의 영향을 완전히 벗어버린다는 뜻에서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56031b;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마룬색 {{{-2 (#570b21)}}}}}}}}}(Maroon) 베레모로 교체했다.[* 꽤나 상징적인 의미였기 때문에 행사 당일날 포로셴코 대통령이 직접 찾아와 지휘관들에게 베레모를 전해주기도 했다. ] 포로셴코 대통령은 재임기에 공수군을 거의 뜯어고치는 수준의 개혁을 실시하여 완전히 탈바꿈시켰다. 또한, 기존 "우크라이나 공수군의 날"이었던 [[8월 2일]]은 과거 소련 시절 소련 공수군의 기념일을 그대로 따라간 것이었는데, [[페트로 포로셴코]] 대통령의 탈 러시아 정책에 따라 2017년부터는 [[11월 21일]]이 우크라이나 공수군의 기념일이 되었다. 왜 하필 11월 21일이냐면, 2017년 11월 21일이 우크라이나 공수군의 엠블럼이 현재의 것으로 공식 지정된 날이기 때문이다. 엠블럼 가운데의 구불구불한 칼은 [[대천사 미카엘]]이 [[사탄]]을 물리칠 때 쓴 검이다. == 전력 및 편제 == 우크라이나 공수군의 편제는 창설된 1992년부터 수차례 바뀌어 왔으며, 2014년도 [[돈바스 전쟁]]에 즈음해 육군에서 포병대대 및 전차대대 등의 화력부대를 받아와 증편되어 약 1,200명 수준의 규모로 늘어났다. 2016년 공수군사령부의 계획에 따르면 2020년까지 최대 병력을 30,000명까지 늘리는 것이 목표였으나, 현재는 우크라이나 공수군 병력이 최소 8,000명(런던 국제 전략 연구소 추정, 2021년)에서 최대 16,000명(폴란드 포털 Defense24 추정, 2021년)까지 추산된다. 2023년 기준, 우크라이나 공수군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 * 우크라이나 공수군사령부 * 제25공수여단, 흐바르디이스케, [[드니프로페트로우시크]] * 제45공중강습여단(2020년 해산) * 제46공중강습여단, [[폴타바]] * [[파일:우크라이나71예거보병부대마크.png]][* 구 로고이다.][br]제71엽병보병여단[* 이름은 달라도 다른 부대들처럼 경보병 부대이며 2022년 전쟁통에 창설되었다. 여담으로 비슷한 61예거보병여단은 육군에 소속되어 있다.] * 제77공중기동여단, [[지토미르]] * 제79공중강습여단 "타우리안", [[미콜라이우]] * [[파일:우크라이나80공수부대마크.png]][br]제80공중강습여단 "하리츠카", [[르비우]] * 제81공중기동여단 "슬로보잔스카", [[크라마토르스크]] * 제82공중기동여단(창설 중) * 제95공중강습여단 "폴리스카", [[지토미르]] * 제102공수군수저장소 * 제135지휘대대 * 제148포병사단 * 제199공수군훈련소 * 제347정보통신부대 * 제132정찰대대 * 제23전차대대 * 제78연대 '헤르츠'(창설 중) == 장비 == 주력 전차로는 [[T-80]]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공수장갑차인 [[BMD-1]], [[BMD-2]]와 차륜형 장갑차인 [[BTR-4]], [[BTR-80]]등을 운용한다. 군용차량으로 [[험비|M1114 UAH]] 또한 운용 중이다. 포병 장비로는 자주곡사포 [[2S1 그보즈디카]], 공중투하가 가능한 자주박격포인 [[2S9 노나-S]], 다연장로켓 [[BM-21]], 2연장 대공포 [[ZU-23|ZU-23-2]]를 운용한다. ZU-23의 경우 [[병력수송장갑차]] 및 [[보병전투차]] 등에 탑재하여 운용하거나, [[PT-76]] 베이스의 [[수륙양용전차]]에 탑재하여 각종 상륙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운용한다고 한다. 여단 내에 [[MANPAD]]를 운용하는 방공미사일 대대를 보유하고 있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에는 제25공수여단 방공대대가 보유한 맨패드로 러시아군의 [[Su-30]]를 격추시키는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https://blog.naver.com/sundin13/222883434782|#]] == 기타 == *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정예부대 포지션으로 많은 활약을 하고있다. 개전 초 벌어진 [[호스토멜 공항 전투]]에서 러시아군 [[VDV]]를 상대로 승리해 키이우 사수의 주역 중 하나가 되었다. * 제40공수여단은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를 수복했고, 제25공수여단과 제81공수여단은 [[우크라이나 가을 공세]]에서 러시아군 특수부대와 기갑여단을 격파하는 활약을 보여주며 [[리만(도시)|리만]]을 수복하는 전과를 올렸다. [[분류:우크라이나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