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독소전쟁]][[분류:우크라이나의 역사]] [include(틀:우크라이나의 역사)] [include(틀:나치 독일의 국가판무관부)] ||||||<#000> {{{#f00 {{{+1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br]'''Reichskommissariat Ukraine'''}}} || ||<-2>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75%]] || [[파일:나치 독일 국장.svg|width=60%]] || ||<-2><#000> '''{{{#f00 국기}}}''' ||<#000> '''{{{#f00 국장}}}''' || |||||| [[파일: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위치.png|width=300]] || ||<-3><:> '''{{{#f00 1940년 ~ 1944년}}}''' || ||<-2><:> '''{{{#f00 성립 이전}}}''' || '''{{{#f00 해체 이후}}}''' || ||<-2><:> '''[[우크라이나 SSR|{{{#FFD700 우크라이나 SSR}}}]]''' || '''[[우크라이나 SSR|{{{#FFD700 우크라이나 SSR}}}]]''' || ||<-2><:> '''[[우크라이나 국가정부|{{{#FFD500 우크라이나 국가정부}}}]]'''[* [[바르바로사 작전]] 이후 우크라이나의 [[민족주의자]]들이 독립을 선포한 국가로, 나치 독일의 지원을 기대하고 설립되었으나, 독일은 이 정부를 해산시켜버린다.] || '''[[우크라이나 국민위원회|{{{#FFD500 우크라이나 국민위원회}}}]]''' || ||<-2><#000> {{{#f00 '''정치 체제'''}}} ||[[전체주의]]|| ||<-2><#000> {{{#f00 '''국가판무관'''}}} ||[[에리히 코흐]] || ||<-2><#000> {{{#f00 '''수도'''}}} ||리우네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치 독일]]이 [[바르바로사 작전]]을 실행하고 곧이어 우크라이나 지방에 건립한 [[국가판무관부]].[* 오데사와 [[돈바스]] 지방은 제외되었다. 그 당시 [[크림 반도]]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로 분류되었다.] 임명된 국가판무관은 동프로이센 대관구지휘자 에리히 코흐. 당초 [[나치 독일]]은 [[소련]]과 [[독소 불가침조약]]을 체결하면서 상호간 침략행위를 하지 않는데 동의하게 된다. 그러나 [[영국]] 본토 공방전에 실패한 [[아돌프 히틀러]]가 동유럽 진격을 계획하고 있었고 여기에 동맹국인 [[이탈리아]]가 [[그리스]]를 침공하려다가 패전하고, 추축국 멤버로 있었던 [[유고슬라비아]]가 쿠데타로 추축국 멤버에서 탈퇴하고, [[이오아니스 메탁사스|친독 성향의 총리]]가 다스렸던 [[그리스]]에서도 총리가 급사하고 친영파인 왕실파들의 득세가 짙어지자 결국 독일이 [[유고슬라비아]]와 [[그리스]]를 침공하였다. 이후 나치 독일의 불가침조약 일방적인 파기로 [[소련]]도 [[나치 독일]]의 침공을 받게 되었고 그 중에서 [[우크라이나]] 지역이 침공을 받게 되면서 국가판무관부가 설치되었다. 1944년에 소련군이 [[발칸 반도]]로 [[바그라티온 작전|진격하면서]] 해체되었다. == 여담 == '''[[볼고그라드|스탈린그라드]]가 이곳으로 편입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나치 독일이 [[스탈린그라드 전투|스탈린그라드에서 대패하면서]] 계획은 무산되었다. [include(틀:포크됨2, title=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d=2022-07-13 10:4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