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우크라이나 관련 문서)] ||<-2> {{{#244292,#fff {{{+1 '''우크라이나 철도공사'''}}}}}}[br]{{{#f7d948 {{{+1 '''Укрзалізниця'''[* 영문 표기는 Ukrzaliznytsia]}}}[br]'''Українська залізниця'''}}}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우크라이나철도공사로고.webp|width=100%]]}}} || || {{{#244292 '''종류''' }}} ||[[공기업]] || || {{{#244292 '''핵심인물'''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silver; font-size: 0.75em" {{{#fff '''CEO'''}}}}}} 예벤 랴첸코 || || {{{#244292 '''운행 지역''' }}} ||우크라이나 본토 전역|| || {{{#244292 '''영업 거리''' }}} ||24,000km|| || {{{#244292 '''창립''' }}} ||[[1991년]] || || {{{#244292 '''플랫폼'''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ua.gov.uz|[[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height=25]]]] | [[https://apps.apple.com/ua/app/%D1%83%D0%BA%D1%80%D0%B7%D0%B0%D0%BB%D1%96%D0%B7%D0%BD%D0%B8%D1%86%D1%8F/id1626073366|[[파일:App Store 아이콘.svg|height=25]]]] || || {{{#244292 '''외부 링크''' }}} ||[[https://www.uz.gov.ua/e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접속 하려면 VPN 필요]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Ukrzaliznytsia, 크기=24)]|| [목차] [clearfix] == 개요 == [[우크라이나]]의 [[철도]]를 관할하는 [[공기업]]. [[1991년]] [[소련 해체]]에 따라 [[우크라이나]] 국내에 있는 철도를 운영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 상세 == [[우크라이나]]는 땅이 넓고 [[고속도로]]망이 좋지 않아 [[철도]]가 도시간 교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시철도]]를 제외하고 노선 연장 24,000km가 넘는 철도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철도공사가 이 중 98% 이상을 관할하고 있다. 나머지 2%는 각 사기업들의 [[전용철도|전용지선]]이다. 거대한 노선 연장을 바탕으로 세계에서 6번째로 큰 여객철도기업이자 세계에서 7번째로 큰 화물철도 기업이라는 타이틀도 가지고 있다. [[우크라이나]] 철도는 [[소련]] 철도를 그대로 승계해 [[광궤|러시아 궤간]] (1,520mm)을 채택하고 있었으나, 러시아와의 단절을 위하여 [[표준궤]] (1,435mm)으로 변경한다.[[https://www.railwaygazette.com/infrastructure/ukrainian-standard-gauge-railway-plan/61727.article|#]]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와중에 우크라이나 철도공사 전 직원이 포화 속으로 들어가며 [[철도]] 운송과 철도 건설에 힘쓰고 있다. 전쟁 초기 [[키이우 전투]]가 시작될 때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북부 지역을 관할하는 철도공사 직원들한테 피난을 제안했지만 직원들이 스스로 거부하고 [[러시아]]와 맞서 싸우며 키이우와 [[체르니히우]]를 잇는 철도 수송망을 지켜내 러시아의 공격으로부터 키이우를 지켜내는 데 일조하였다. 그 과정에서 4월 초까지 무려 41명의 직원이 [[순직]]하고, 다음 해 1월까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기반시설 폭격]] 등으로 307명의 직원이 순직하고 665명의 직원이 부상당하면서도 열차 운행과 선로 수리를 멈추지 않는 [[살신성인]]의 정신을 보여주었다.[[https://news.sky.com/story/we-are-the-second-army-how-ukraines-trains-keep-running-under-threat-of-attack-12791136|#]] 특히, 기차를 타고 서방 국가 정상들의 우크라이나 방문이 이어지면서 '''[[https://en.wikipedia.org/wiki/Iron_diplomacy|철의 외교]]'''라는 용어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 경영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20314114817-06-ukrainian-train-railways-war-intl-exlarge-169.jpg|width=100%]]}}}|| || {{{-1 '''前 CEO 올렉산드르 카미신'''}}} || [[2021년]] [[10월 25일]]부로 [[1985년]]생 사장인 올렉산드르 카미신(Олександр Миколайович Камишін / Oleksandr Kamyshin) 사장이 착임하여 활동하고 있다. 카미신 사장은 우크라이나 금융대학을 졸업하고 [[KPMG]] [[컨설팅]] 회사에 일했던 컨설턴트 출신으로, KPMG [[유럽]] 교통 분야에서 활동한 이력을 바탕으로[* 카미신 사장이 [[KPMG]]에서 활동은 2년만 했지만 이 기간동안 다수의 유럽 교통 프로젝트를 맡았다. KPMG 퇴사 이후로도 카미신 사장은 유럽 교통 학회에서 활동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직접 영입한 인사이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와중인 [[2022년]] [[3월]] [[영국]] [[BBC]]에서 카미신 사장을 [[https://www.bbc.com/news/world-europe-60755198|직접 인터뷰]]한 기사도 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예벤랴첸코코.jpg|width=100%]]}}} || || {{{-1 '''現 CEO 예벤 랴첸코'''}}} || [[2023년]] [[3월 21일]] 올렉산드르 카미신 사장이 전략산업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물러나고 이사회 위원인 예벤 랴첸코[* Yevhen Lyashchenko]가 새로운 사장으로 임명되었다.[[https://www.kmu.gov.ua/npas/deiaki-pytannia-pravlinnia-aktsionernoho-tovarystva-ukrainska-zaliznytsia-231r-210323|정부 홈페이지 임명장]], [[https://www.epravda.com.ua/news/2023/03/21/698294/|관련 뉴스]] == [[대한민국]]과의 관계 == 의외로 우크라이나 철도공사는 [[대한민국]]과 관계가 꽤 있다. [[2010년]] [[현대로템]]이 [[현대코퍼레이션]]을 통해 우크라이나에 [[전동차]]를 납품한 것이 첫 관계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2346354|기사]] [[2013년]]에 납품했는데, [[2014년]] 해당 전동차가 계속 고장이 잦아서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3140076|곤욕을 치르기도 했다]]. 현대로템은 [[한국]] 기후에 맞춘 제품을 보냈는데 [[우크라이나]]의 [[라스푸티차]]를 견디지 못하고 열차가 탈선하는 심각한 사고도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 정도로 심각하지는 않았지만 한국의 [[의정부 경전철]]도 차량의 제조사인 프랑스의 기후와 맞지 않아 [[VAL208#s-3|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다행히도 현대로템에서 문제점을 개선한 대체 전동차를 보내고 나서는 이런 비난은 잦아들었다. [[2021년]] [[국가철도공단]]과 우크라이나 철도공사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한국-우크라이나 간 협력 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 사업 전반은 [[현대코퍼레이션]]이 이끌기로 되었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19807|기사]] [[2022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쟁]]이 한창인 상황에서도 [[현대로템]]은 [[우크라이나]] 현지 직원들과 함께 [[전동차]] 수리 작업을 돕는 등 사후 조치에 만전을 다하고 있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32771|기사]] 이후 [[2023년]] 현대로템은 우크라이나 정부로부터 감사 팸플릿을 전달받았다. [[https://m.yna.co.kr/view/AKR20231011037000003|기사]] == 철도 연결 국가 == * [[러시아]]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라 폐쇄. * [[벨라루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라 폐쇄. * [[폴란드]] - [[르비우]]를 통해 연결돼 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발발 이후 우크라이나 철도의 생명선이다. * [[몰도바]] - [[트란스니스트리아]] 문제로 인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라 열차 운행이 급격히 줄었다. * [[루마니아]] - 2023년 1월에 노선을 신축해 개통했다. [[분류:우크라이나의 철도]][[분류:철도 기관]][[분류:우크라이나의 교통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