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우크라이나의 대외관계)] [include(틀:체첸 공화국의 관계)]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100%]] || [[파일:체첸 공화국 국기.svg|width=100%]] || || [[우크라이나|{{{#ffffff '''우크라이나'''}}}]] || [[체첸 공화국|{{{#ffffff '''체첸 공화국'''}}}]] || [목차] == 개요 == 우크라이나, 체첸의 관계에 대한 문서. == 역사적 관계 == 1917년과 1918년 러시아 혁명 당시 우크라이나 독립 세력들은 북캅카스 산악 공화국의 독립 세력들을 도우면서 이들과 동맹을 맺은 것이 최초이며, 당시 북캅카스 산악 공화국에는 체첸인과 인구시인을 비롯한 여러 캅카스 제족들이 거주했다. 한 편 일부 우크라이나인들은 북캅카스 일대로 이주하면서 체첸 지역에 이주되었다. 두 지역들은 제정 러시아, 소련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두 지역은 소련의 탄압을 받으면서 동시에 독립을 원했다. [[소련 해체]] 이후, 우크라이나는 본격적으로 독립이 되었으나 체첸은 계속 러시아의 속령이 되었으며 체첸은 러시아로부터 독립을 하기 위해 나중에 무장투쟁을 하였다. [[체첸 전쟁]] 발발 당시 체첸인들 중에는 우크라이나로 망명간 반러시아 체제 인사들도 있었으며, 일부 체첸인들은 난민이 되어 우크라이나로 도망가기도 했다. 우크라이나는 체첸 독립을 지지하기도 했었다. 2007년 이후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이 붕괴되면서 체첸 반군들 및 체첸 지역의 반러파들은 사실상 소멸되었지만 일부 세력들은 우크라이나로 갔으며 훗날 [[돈바스 전쟁]]이 일어나면서 옛 체첸 반군과 반러, 반체제 인사들은 조하르 두다예프 대대, 셰이흐 만수르 대대등 의용대대를 창설해 우크라이나 정부군을 지원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일어나자 체첸 공화국에서 [[제141특수차량화연대]]가 침공에 참여했다. == 관련 문서 == * [[우크라이나/외교]]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북캅카스 연방관구]] * [[체첸 공화국]] /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 * [[체첸 전쟁]] * [[체첸인]] * [[우크라이나/역사]]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동유럽 국가]] [[분류:러시아의 외교]][[분류:우크라이나의 외교]][[분류: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분류:체첸]] [[분류:체첸 공화국]][[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지역·국가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