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울산경비사령부 후신(後身), rd1=제127보병여단)] [include(틀:해체된 대한민국 육군 사령부)] ||<-7><#000080><:> '''{{{#fff {{{+1 울산경비사령부}}}}}}''' || ||<#ffffff><-7><:>[[파일:울산경비사령부.jpg|width=100%]] || ||<-7><#0c0e85><:> '''{{{#fff }}}''' || ||<#000080><:> '''{{{#fff 창설일}}}''' ||<-6><(> [[1968년]]'''(울산경비사령부)''' || ||<#000080><:> '''{{{#fff 해체일}}}''' ||<-6><(> [[1982년]] || ||<#000080><:> '''{{{#fff 소속}}}''' ||<-6><(> [[대한민국 육군]] || ||<#000080><:> '''{{{#fff 상급부대}}}''' ||<-6><(> [[제2작전사령부|제2야전군사령부]] || ||<#000080><:> '''{{{#fff 종류}}}''' ||<-6><(> [[기능사령부]] || ||<#000080><:> '''{{{#fff 규모}}}''' ||<-6><(> [[사단(군대)|사단]] || ||<#000080><:> '''{{{#fff 역할}}}''' ||<-6><(> 경상남도 울산시·울주군 경계 및 방어 || ||<#000080><:> '''{{{#fff 초대 사령관}}}''' ||<-6><(> [[준장]] [[박정인]](조선경비사관학교 6기) || ||<#000080><:> '''{{{#fff 해체 전 사령관}}}''' ||<-6><(> [[준장]] 이덕만(육군종합학교 5기) || ||<#000080><:> '''{{{#fff 위치}}}''' ||<-6><(> 경상남도 [[울산광역시|울산시]]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울산광역시,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 울산시·울주군(現 [[울산광역시]])을 근거지로 했던 [[대한민국 육군]] [[제2작전사령부|제2야전군사령부]] 소속 [[사령부]]. == 상세 == 1968년 당시 경상남도 울산시·[[울주군]][* 신명, 정자 및 온산 등 당시 울주군 지역 해안선]과 '대한민국 1호 [[국가산업단지]]'인 울산공업지구의 경비 및 [[1.21 사태]] 이후 북한군 특작부대 또는 간첩이 동해안을 이용하여 침투[* 60년대에 울산 전하리와 일산진 마을 등 해안가로 간첩들이 침투한 적이 있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7월 9일에 대통령령에 의해 '''울산특정지역경비사령부'''(이하 울경사)가 창설되었으며, 초대 사령관에는 훗날 1973년 3.7 완전 작전으로 유명하게 되는 [[박정인]] 장군(당시 준장)이 임명되었다. 사령부는 경상남도 울산시 옥동(現 울산광역시 남구 [[옥동(울산)|옥동]])에 있었으며[* 현재 53사단 127여단 주둔지와는 위치가 달랐다는 말이 있다.], 박정인 사령관 때 지어진 '부전장'이라는 관사가 선암저수지(現 선암호수공원) 부근에 있는데 [[박정희]] 대통령이 울산에 행차했을 때 종종 들러가기도 했다고 한다.[[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29656|#]] 울경사는 울산 지역의 해안선(정자, 주전, 방어진, 온산 등), 항만(울산, 방어진, 장생포, 온산 등) 및 공업지구([[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울산미포]], [[온산국가산업단지|온산]]) 경비[* [[울산고속도로|울산-언양간 고속도로]] 진입로와 공단 진입로 등에 검문소와 경비초소를 설치·운용하기도 했다.]·경계임무 및 공단 예비군 관리 등을 맡았다. 특이하게도 예하에 선박소대가 편제되어 [[육경정|육군 소속 경비정]]이 지역 해상 경계 및 의아 선박 검문·검색을 맡기도 했던 모양이다. 울경사가 창설되기 직전에는 [[해병대 제1사단|해병1사단]] 예하 5연대가 울산 지역 해안선 등을 일시적(1년~1년 6개월 가량)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805310032920102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8-05-31&officeId=00032&pageNo=1&printNo=6967&publishType=00020|방어]]하고 있다가 울경사에 임무를 넘겨주었다.[* 같은해 포항에서는 이 해병1사단을 주축으로 한 포항특정지역경비사령부(포특사)가 창설되었고, 현재까지 존재한다.] 1982년에는 울산 지역 책임부대가 경상남도를 방어하는 [[제39보병사단|39사단]]으로 넘어가면서 사령부는 해체되었고 예하 울산연대로 격하되었다. 1984년 1월 1일부로 연대 본부가 부산 동래에서 울산 옥동으로 이동하였으며, 동년 [[제53보병사단|53사단]] 제127보병연대(現 [[제127보병여단]])으로 개편되었다. == [[사령관]] == ||||<-6><#000080><:> '''{{{#ffffff 역대 울산경비사령관}}}''' || ||<#000080> '''{{{#ffffff 역대}}}''' ||<#000080> '''{{{#ffffff 이름}}}''' ||<#000080> '''{{{#ffffff 계급}}}''' ||<#000080> '''{{{#ffffff 임관}}}''' ||<#000080> '''{{{#ffffff 비고}}}''' ||<#000080> '''{{{#ffffff 기타}}}''' || || 초대 || [[박정인]] || 예) [[준장]] ||[[육군사관학교|조선경비사관학교]] 6기 ||前 [[제3보병사단|제3사단]]장 ||68.07.26.~71.06.10. || || 2대 || 정형택 || [[준장]][* 당시 계급] || ||前 [[사령관]] ||71.06.10.~73.04.05. || || 3대 || 이종숙 || [[준장]][* 당시 계급] || ||前 [[사령관]] ||73.04.05.~75.03.31. || || 4대 || 이필조 || 예) [[소장]] ||[[육군종합학교]] 12기 ||前 [[육군훈련소|제2훈련소]]장 ||75.03.31.~76.06.14. || || 5대 || 박찬수 || 예) [[준장]] ||[[육군사관학교]] 10기 ||前 국방부 군사연구위원 ||76.06.14.~79.02.07. || || 6대 || 강호원 || 예) [[준장]] || ||前 [[사령관]] ||79.02.07.~80.08.21. || || 7대 || 이덕만 || 예) [[준장]] ||[[육군종합학교]] 5기 ||前 [[사령관]] ||80.08.21.~82.04.15. || == 여담 == * 1972년 [[10월 유신]] 선포 직후, 그동안 박정희 정권을 비난했던 지역구 국회의원 [[최형우(정치인)|최형우]]의 울산 지구당 인사들과 울산 지역 야당 인사들이 계엄군에 체포되어 울산경비사령부에서 한 달 동안이나 모진 고문을 받은 적이 있다. [[분류:해체된 대한민국 육군 부대]][[분류:사령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