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초 군주)] |||||| '''{{{#ece5b6 초(楚)나라 초대 국군[br]{{{+1 웅역}}}[br] 熊繹}}}''' || |||| '''[[성씨|{{{#ece5b6 성}}}]]''' ||미(羋) || |||| '''[[본관|{{{#ece5b6 씨}}}]]''' ||웅(熊) || |||| '''[[휘|{{{#ece5b6 휘}}}]]''' ||역(繹) || |||| '''{{{#ece5b6 아버지}}}''' ||[[웅광]](熊狂)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의 초대 국군. [[웅광]](熊狂)의 아들. [[웅애]](熊艾)의 아버지. 초나라가 가탁한 역사서에 의하면 이때부터 공식으로 제후로 인정되어서 자작이 되었다고 한다. 《사기》〈초세가〉에서도 성왕이 문왕과 무왕을 위해 애를 썼던 후손을 천거하여 웅역을 초만(楚蠻)에 봉하고 자남(子男)의 작위와 땅을 내렸다고 한다. 그는 [[제정공]](齊丁公), [[진후섭|진후 섭]](晉侯燮), [[위강백]](衛康伯), [[노태공|노공 백금]]과 함께 주강왕을 모셨다고 한다. 초나라의 시조인 만큼 (명목상) 초 의제를 조문하기 위해 지었다는 [[조의제문]]에서도 언급된다. [[분류:초나라의 군주]][[분류:창업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