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니폼/e스포츠]] [목차] == 개관 == [[웅진 스타즈]]는 전신인 한빛 스타즈와 연관되어 적는다. == 한빛 스타즈 == [[파일:external/nimage.dailygame.co.kr/restmb_idxmake.php?idx=3&simg=2015103008245203927_20151030084042_4.jpg]]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2002년 네이트배]]~[[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SKY 2002 스타리그]] 초반까지 입었던 옷이다. 이 당시에는 프로리그가 없었고 이벤트전으로 팀대항전에 입고 나왔고, [[e스포츠]]에 처음으로 방송에서 팀 단위 유니폼으로 등장. 그러나 대회에서는 대회용 유니폼이 따로 마련되어 있어서 이 유니폼은 그리 기억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 [[파일:external/nimage.dailygame.co.kr/restmb_idxmake.php?idx=3&simg=2015103008245203927_20151030084040_3.jpg]] [[파일:external/sports.chosun.com/2ai80005_1.jpg]] 2002년 SKY 2002 스타리그 중기부터 입기 시작. [[박정석]]이 [[임요환]]을 꺾고 우승했을때 입었던 유니폼이다. 색이 2종류로 금색, 은색이 있다. 초창기에는 [[강도경]], [[변길섭]]의 고참 선수들은 금색을, [[박정석]], [[박경락]], [[나도현]]의 신인 선수들은 은색을 주로 입었으나 그 후 각자 취향에 따라 색상을 선택해서 입는다. 박경락의 전성기인 [[락라인]] 시절을 회상할 수 있다. [[파일:external/game.donga.com/hanbitsoft20030812.jpg]] e스포츠 처음으로 의류 브랜드가 후원해준 유니폼. MF가 후원했으며 [[힙합]] 스타일 유니폼이다. [[동양 오리온]]에게 져서 준우승을 한다. [[KTF EVER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 결승에서 선수들이 등장할 때는 이 옷을 입고 등장했으나, 경기에 임할 때는 아래의 남색 유니폼을 입었다. 개인리그에는 자주 입지않고 프로리그나 팀 단위 리그에만 이 유니폼을 입고 출전했지만 이 유니폼으로 2번이나 준우승을 한 콩라인 유니폼이다. [[워크래프트 3]] 선수들도 리그에서는 이 유니폼을 입고 출전했다. [[파일:external/sports.chosun.com/47v81002_2.jpg]] MF와 계약 종료 후 만든 유니폼으로 남색의 와이셔츠 타입 유니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 1회([[KTF EVER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KTF EVER 2003]]), [[팀리그]] 1회(라이프존 팀리그) 준우승을 기록한 [[콩라인]] 유니폼이라 할 수 있다. 팀리그에서는 강도경,박정석의 무적팀플이 활약했으며 개인리그에서는 마이큐브에서 박경락이 3위, 박정석이 4위를 기록했으며 한빛의 리즈시절의 상징인 유니폼으로 한빛하면 이 유니폼을 기억하는 사람이 많다. [[파일:external/file.gamedonga.co.kr/pangya20040906_6.jpg]] N.GENE에서 후원한 유니폼으로 전작과 같은 남색 바탕이지만 디자인은 2종류이며 하얀색 실선이 있는 타입과 민무늬 남색타입이 있다. 한빛은 에이스였던 박정석과 변길섭의 이적등으로 큰 전력란이 예상됐으나, 강도경의 팀플 실력과 나도현, 박경락의 개인전 당담 등, 1위로 [[SKY 프로리그 2004 1Round]] 결승에 직행해서 T1을 꺾고 우승하게 된다. 그러나 [[SKY 프로리그 2004 2Round|2Round]]부터 [[팀플레이(스타크래프트)|팀플레이]] 맵 변화로 인해 강도경의 팀플레이 약화, 나도현, 박경락의 하락세 등 악재가 겹치면서 불안했지만, 포스트시즌까지 올라갔다. [[SouL]]에게 패하며 3위로 마감한다. 개인리그에서는 나도현의 스타리그 4위를 끝으로 당분간 개인리그 출전하는 선수들이 없을 정도로 침체기에 빠진다. [[파일:external/blog.jinbo.net/171044336.bmp]] 2004년도 동계 유니폼. [[SKY 프로리그 2004 3Round]] 때 입기 시작. N.GENE에서 역시 후원. 남색의 자켓 위주를 띄우고 있으며, 팀리그 강자였던 한빛의 하락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프로리그에서 한 번도 포스트시즌에서 탈락한 적이 없던 한빛이 처음으로 3Round에서는 탈락했으며, 개인리그에서는 다행히 [[조형근]]이 스타리그에는 올라갔지만 16강에서 탈락하였고, 에이스였던 나도현의 건강악화와 박경락의 탈주 등으로 암울한 시기를 보낸 시절이다. 다행히 [[SKY 프로리그 2004 그랜드 파이널|그랜드 파이널]]에는 [[하이트 스파키즈|KOR]]을 꺾고 결승에 올랐으며, 결승전에서 당시 최고조였던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를 4:2로 꺾으며 우승을 하였다. 이것이 한빛 스타즈 시절로 마지막 우승한 유니폼이다. [[파일:/pds/200612/18/25/b0014125_03124283.jpg]] [[파일:external/pds23.egloos.com/f0070173_4ec91a8527dc8.jpg]] 2005년도 초기 유니폼 리즈시절의 남색바탕의 와이셔츠 타입 유니폼의 디자인으로 나쁘지는 않지만 자회사인 한빛의 게임광고들이 붙어있어서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하였다. [[김준영]]의 차렷저그와 대인배 별명이 만들어진 옷. [[파일:external/game.donga.com/hanbit080306.jpg]] 2005년도 중반기에 [[케이스위스]]에게 후원받은 옷. 2002년도 은색 디자인 계통의 옷을 계승하려 했지만 팬들의 반응은 디자인이 무슨 은박지 같은 옷을 입는냐고 하였으며 그렇게 호평받지 못하였다. [[파일:/pds/1/200511/24/03/b0042403_2194530.jpg]] 2005년도 후반기~2006년 전기 유니폼. 흰색 계열의 캐주얼 유니폼이다. 그닥 기억이 나는 유니폼은 아니지만 강도경의 현역 시절 입은 마지막 유니폼으로, 강도경의 은퇴 후 이 유니폼은 추천으로 팬들에게 기증하였다. [[파일:external/i9.photobucket.com/hanbitkn6.jpg]] 2006년 하계 유니폼. 역시 케이스위스에게 후원받은 옷. 2005년 동계 유니폼의 반팔버젼이지만 색이 좀더 알록달록해졌다.[* 정확히 말하자면 왼쪽 가슴쪽에 줄무늬가 생긴것이라고 할 수 있다.] 줄무늬가 파란색으로 된 것도 있는데, 이 유니폼이 보였을 때 선수 전용이 아닌, [[이재균(e스포츠)|이재균]] 감독 한정으로 제작된 것 같다.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0807311635260107000001070100-001.jpg]] 2006년 동계 유니폼. 검은색 바탕으로된 옷이다. [[파일:external/www.khgames.co.kr/362_34_2_2.jpg]] [[파일:external/www.xportsnews.com/6-O1aavsaa_aa2.jpg]] 2007년도 상반기 유니폼. [[파일:hanbit0605.jpg]] 2007년도 하계 유니폼. [[파일:070713kimjoonyuong1.jpg]] [[파일:external/nimage.dailygame.co.kr/restmb_idxmake.php?idx=3&simg=201205012331460059853_3.jpg]] [[김준영]]이 [[Daum 스타리그 2007]] 우승 당시 입은 유니폼. [[파일:external/game.donga.com/hanbit080707_01.jpg]] [[파일:external/img.inven.co.kr/20080201181304032.jpg]] 2007년도 동계 유니폼. 전년도 옷과 비슷하나 위쪽에 줄무늬가 없고, 왼쪽에 게임 광고 로고가 들어가 있다. [[파일:200709202024093358_1.jpg]] 검은색 버전 외에 하얀색 버전도 존재한다. [[파일:external/file2.instiz.net/4c2d1dfa15a25bbb9adce4825e5e6307.jpg]] [[파일:1215591273_1.jpg]] 2008년도 하계 유니폼. 검은색 바탕에 추리닝 디자인의 유니폼이며, 역시 하얀색 버전도 있다. [[헬게이트 런던|헬게이트]] 게임광고가 붙어있다. 한빛 시절 마지막 유니폼. == 웅진 스타즈 == [[파일:200809301014313359_1.jpg]] [[파일:1225300069_1.jpg]] 창단 직후 유니폼. [[파일:/image/236/2008/12/24/1230087891_1.jpg]] [[파일:/image/236/2009/08/20/1250749767_1.jpg]] 2008년 12월부터 착용한 유니폼. [[파일:attachment/1304494387_1.jpg]] [[파일:/news/201006/10/fomos/20100610212304915.jpg]] [[파일:external/file2.instiz.net/5837d969078d73553d7d2d6a77af3530.jpg]] 2010년 초부터 착용한 유니폼. 이때 연두색의 비중이 커서 웅식물 스타즈라고도 불렀다. [[파일:external/nimage.dailygame.co.kr/restmb_idxmake.php?idx=3&simg=201112141857470053493_1.jpg]] 2011년 11월부터 착용한 야구점퍼 스타일 유니폼. 하의는 검정색과 회색이 있으며, 주로 검정색을 많이 입었다. 이 유니폼부터 [[스페셜 포스 2]] 선수들이 입기 시작했다. [[파일:external/www.gametoc.co.kr/2342_4446_1825.jpg]] [[파일:1346215599_1.jpg]] 2012년 5월 중순부터 착용한 하계 유니폼.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에서 높은 승점을 올렸음에도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DTD]]'''가 되어버리는 아픔을 겪기도 했으며, 개인리그 쪽에서는 [[김명운]]이 8강 징크스를 깨고 4강에 진출했으나 [[허영무]]와의 접전 끝에 결승 진출이 좌절되기도 했으며, [[신재욱]]이 올라왔으나 8강에서 무너졌다. 당시에는 스갤러부터 예쁘다는 반응으로 보였으며, 입는 비율은 파란색이 더 높으나 파란색이 색 배치가 웅진 스타즈와의 컬러 이미지와 거의 안맞아 [[흑역사]]로 간주된다.[* 실제 상징색은 노란색, 라임색(연두색). 예외가 있다면 당시 웅진 계열이었던 코웨이나 싱크빅 정도.] 반전색이던 흰색 티셔츠도 있었으며, [[제8게임단]]에서도 비슷한 유니폼을 착용하였다. 참고로 이 언디피티드 유니폼은 과거 이 팀에서 활약했던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 선수의 노력으로 후원해준 것이라고 한다. [[파일:external/nimage.dailygame.co.kr/restmb_idxmake.php?idx=3&simg=201305132123330076728_1.jpg]] [[파일:external/nimage.dailygame.co.kr/restmb_idxmake.php?idx=3&simg=201301011744460071477_1.jpg]] [[파일:external/nimage.dailygame.co.kr/restmb_idxmake.php?idx=3&simg=2013121310272032986_20131213103158_1.jpg]]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12-13]]에서는 새 유니폼을 착용했는데, 이때부터 해체할 때까지 [[나진 e-mFire]]의 유니폼과 동일한 유니폼을 쓰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