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타 재즈/선수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0B10 0%, #FFFFFF 20%, #FFFFFF 80%, #DF0B10)" {{{#002664 '''워커 케슬러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include(틀:NBA 역대 스킬스 챌린지 우승자)]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틀:2022-23 NBA 올루키 퍼스트 팀|[[파일:NBA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4890; font-size: 0.9em" [[틀:2022-23 NBA 올루키 퍼스트 팀|{{{#fff '''2022-23 NBA 올루키 팀'''}}}]]}}}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케슬러22-23.png|width=100%]]}}} || ||<-2> {{{#fff21f '''유타 재즈 No. 24'''}}} || ||<-2> {{{#000 '''{{{+2 워커 로스 케슬러 }}} [br] Walker Ross Kessler'''}}} || ||<|2> '''출생''' ||[[2001년]] [[7월 26일]] ([age(2001-07-26)]세) || ||[[조지아주|조지아 주]] [[애틀랜타]]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출신학교'''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2020~2021)^^ [br] [[오번 대학교]] ^^(2021~2022)^^ || || '''신장''' ||213cm (7' 0") || || '''체중''' ||111kg (245 lbs) || || '''윙스팬''' ||229cm (7' 6") || || '''포지션''' ||[[센터(농구)|센터]] / [[파워 포워드]] || || '''드래프트''' ||'''[[NBA 드래프트/2022년도|2022 NBA 드래프트 1라운드 22순위]] [br] [[멤피스 그리즐리스]] 지명'''[* 이후 [[미네소타 팀버울브스]]로 트레이드되었지만 며칠 후 [[루디 고베어]] 딜에 포함되어 [[유타 재즈]]로 이적했다.] || || '''소속팀''' ||'''[[유타 재즈]] (2022~)''' || || '''계약''' ||2022-23 ~ 2025-26 / $13,372,418 || || '''연봉''' ||2023-24 / $2,831,160 || || '''등번호''' ||24번 - 유타 [br] 14번 - [[미국 농구 국가대표팀]] || || '''SNS''' ||[[https://www.instagram.com/kidkessle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워커 케슬러는 [[미국]] 국적의 [[센터(농구)|센터]]이다. == 선수 경력 == === [[오번 대학교]] === 2022 NBA 드래프트에 참가했다. 전체 22순위로 [[멤피스 그리즐리스]]에 지명되었지만, 곧바로 [[미네소타 팀버울브스]]로 트레이드 되었다. 하지만, 며칠 후 [[루디 고베어]]와의 대형 트레이드에 열여서 다시 트레이드로 이번엔 [[유타 재즈]]로 가게되었다. === [[전미 농구 협회|NBA]] 경력 === ==== [[유타 재즈]] ==== 전 시즌 유타의 골밑을 든든하게 받쳐주던 [[루디 고베어]]가 이제 팀에 없고, 유타도 리빌딩을 선언한 상황에서 데뷔 첫 해부터 유타의 주전 센터로 나올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케슬러의 플레이스타일이 고베어와 비슷한 점이 많아서 더욱 많은 시간 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첫 경기부터 더블-더블을 기록하는 예사롭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그의 블록 능력은 NBA에서도 어느 정도 통하고 있다. 시즌 16경기를 치른 현재 경기당 평균 1.6블록을 기록 중이며 이는 신인 내 압도적 1위이다. 골밑에서의 득점력과 큰 키와 윙스팬을 이용해 리바운드를 얻는 능력이 요긴하게 쓰이고 있으며 더 큰 성장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1월 14일 올랜도전에서는 블록 커리어 하이인 '''7블록'''을 달성했다. 올랜도 선수들의 신장이 대부분 큰 편임을 감안하면 매우 놀라운 성과. 1월 14일 기준으로 총 블록 개수가 무려 83개로, 리그 '''3위'''에 위치해 있다. 참고로 [[루디 고베어]]의 블록 개수가 49개다. 이어서 1월 17일 미네소타전에서는 31분 출장하여 20득점 21리바운드 4도움 야투 9/13으로 '''20-20'''까지 달성하게 된다. 2월 2일 토론토전에서 또다시 '''7블록'''을 달성, 개인 커리어 통산 100블록을 달성했다. 리그 내 블록 개수 4위. 2월 24일 OKC전에서 또 또 다시 '''7블록'''을 달성했다. 특히 4쿼터 막바지 동점인 상황에서 클러치 블록을 성공시키며 승부를 연장으로 이끌고, 결국 팀이 승리해 해당 경기에서 큰 도움이 됐다. 3월 21일 새크라멘토전에서 10득점 8리바운드 5블록을 기록, [[팀 던컨]] 이후 최초로 하경기에 두 자릿수 득점 + 5블록 이상을 기록한 선수가 됐다. 특히 올스타 포워드인 [[도만타스 사보니스]]가 클러치에서 아무것도 못하게 만들어버린 것이 백미. 팀도 128-120으로 승리. 이날까지 시즌 '''150블록'''을 기록, [[닉 클랙스턴]], [[자렌 잭슨 주니어|JJJ]], [[브룩 로페즈]]의 엘리트 수비수들 바로 밑인 리그 블록 개수 4위에 위치해 있다. 3월 26일 새크라멘토전에서 31득점 11리바운드를 기록, 유타 재즈 프렌차이즈 최초로 신인으로 30점 10리바운드 이상 기록한 선수가 됐다. 이는 [[칼 말론]]조차 달성하지 못한 기록이다. 시즌 내내 팀의 주전 센터로 활약해주며 팬들에게 [[루디 고베어]]의 빈자리를 잊게 만들어주었고, 결국 '''올-루키 퍼스트 팀'''에 선정되는 쾌거를 누렸다. == 플레이 스타일 == 최근 10년간 NCAA 최강의 샷블라커. 오번 대학교 소속으로 36분당 블록슛이 '''무려 6.4개'''에, 수비 레이팅 83.0, DBPM 8.0을 기록한 최고수준의 골밑 수비수이다.[* 블록으로 NCAA에서 트리플 더블을 기록한 적도 있다. (12득점 11리바운드 12블록)] NBA에서는 데뷔 후 첫 54경기동안 평균 20.8분의 출전시간 동안 8.3득점 (FG% 0.716), 7.5리바운드 (ORB 2.9), 2.0블록이라는 놀라운 효율의 스탯을 기록하는 중이다. 출전시간만 30분대로 늘린다면 전임자인 [[루디 고베어]]와 비슷한 스탯라인이 되며, 플레이스타일 자체도 비슷하다. 유타가 고베어의 후계자를 빨리 찾았다는 평. == 수상 내역 == || '''수상 내역''' || ||[[파일:NBA 로고.svg|width=auto&height=20]] NBA 올-루키 퍼스트 팀 (2023) || == 여담 == [[분류:2001년 출생]][[분류:애틀랜타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농구 선수]][[분류:센터(농구)]][[분류:파워 포워드]][[분류: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출신]][[분류:오번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