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테마파크]]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워터파크)] [목차] == 목록 == === 대한민국 === [include(틀:대한민국의 워터파크)] 야외존의 경우 주로 [[5월]][* 이상 고온이 심할 경우에는 [[4월]] 말에 야외존을 개장한다.]에 개장해서 [[9월]]까지 한다.[* 이상 고온이 심할 경우 10월 극초반까지 개장한다. 그러나 이미 9월 중하순 무렵은 체감 온도가 급하락하기 때문에 야외에 돌아다니긴 다소 춥게 느껴지는 경우도 많다.] 실내의 경우는 1년 내내 개장한다. '''굵은 글씨'''는 규모와 인지도가 매우 높은 곳. ==== 수도권 ==== * [[씨랄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문래동]]. 100% 실내. * 워터킹덤: [[서울특별시]] [[송파구]] [[문정동(서울)|문정동]]. 100% 실내. * [[원마운트/워터파크|원마운트]]: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 [[에버랜드]] '''[[캐리비안 베이]]''':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에버랜드로. 1996년 개장. * [[테르메덴]]: [[경기도]] [[이천시]] * [[웅진플레이도시]] 내 워터도시: [[경기도]] [[부천시]] [[상동(부천)|상동]]. 대부분 실내이다. * [[금강산랜드]]: [[경기도]] [[파주시]] * 남양주시 청소년수련관 내 [[아쿠와조이]]: [[경기도]] [[남양주시]] * 안양 워터랜드: [[경기도]] [[안양시]] * [[스타필드 하남]] [[아쿠아필드]]: [[경기도]] [[하남시]] 신장동 * [[양지파인리조트]] 아쿠아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 배다골테마파크 내 워터파크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고양시)|화정동]] * [[웨이브파크]]: [[경기도]] [[시흥시]]. 시흥시의 거북섬 개발에 부속된 곳으로 인공서핑장과 인공해수욕장이 들어서는 시설인데 2020년 10월에 서핑장인 서핑존만 선행개장하였고 파도풀인 웨이브존은 2021년 5월에 개장하였다. * 씨메르: [[인천광역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운서동]]. 100% 실내, 스파 위주. ==== 강원권 ==== * '''[[오션월드]]''':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2006년 개장했으며 현재는 아쿠아존, 익스트림존, 다이나믹존, 메가슬라이드존이 존재한다. * 소노캄 델피노 오션플레이: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강원도)|고성군]] 토성면 * [[설악 워터피아]]: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영랑동, 장사동. 1997년 개장. 온천수를 사용하며, 가장 먼저 보양 온천으로 지정되었다. * [[알펜시아]] 오션700: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 [[휘닉스 평창#블루캐니언|휘닉스 평창 블루캐니언]]: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봉평면 * [[용평리조트#s-3.2|용평리조트 피크 아일랜드]]: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 쏠비치 양양 오션플레이: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오션월드로 유명한 [[대명소노그룹]] 계열의 워터파크다. 규모는 중규모 워터파크보다 조금 작지만, 동해바다 조망권에 지중해풍 (정확히는 스페인풍) 인테리어가 좋고 아이들도 부담없이 놀 수 있는 수위의 풀장, 자쿠지 등 릴렉스풀 위주다. * [[쏠비치]] 삼척 오션플레이: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리조트 자체가 양양 솔비치의 형제격으로 위의 양양점보다 늦은 2016년 개장. 워터파크 특성은 인테리어가 이쪽의 경우 그리스 [[산토리니]] 인테리어라는 점의 차이만 제외하면 중규모 이하에 해양조망권이라는 점은 양양솔비치와 대동소이하다. * 롯데리조트 속초 워터파크: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대포동. 2017년 개장. * '''[[하이원 워터월드]]''':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사북읍. 2018년 7월 5일 정식 개장.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3156517|정선에 대형 물놀이 시설 ‘하이원 워터월드’ 개장]] [[하이원 리조트]]([[강원랜드]])에서 운영하는 국내 4번째 규모의 대형 워터파크이다. * [[워터플래닛]]: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둔내면. [[웰리힐리 파크]]에서 운영중인 워터파크. ==== 충청권 ==== * 소노문 단양 오션플레이: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 상록 아쿠아피아([[상록리조트]]): [[충청남도]] [[천안시]] * 아산 스파비스: [[충청남도]] [[아산시]] * 파라다이스 스파 도고: [[충청남도]] [[아산시]] * 레그랜드 펀비치: [[충청남도]] [[보령시]] * [[소노벨 천안 오션어드벤쳐]] : [[충청남도]] [[천안시]] * 서대산 드림리조트: [[충청남도]] [[금산군]]. 워터파크라고 하기에는 규모가 작다. * [[리솜리조트|스플라스 리솜]]: [[충청남도]] [[예산군]]. 아동용 [[일본 애니메이션]]과 콜라보를 자주 한다. 2010년 전후(?)에는 [[크레용 신짱]], 2016년에는 [[포켓몬스터]]와 했다. 겨울에도 야외 개장을 한다고 한다. * [[리솜리조트|아일랜드 리솜]]: [[충청남도]] [[태안군]]. 롯데에서 운영하던 적도 있었으나 이후 손뗐다. 물놀이보다는 휴양 위주. * [[리솜리조트|리솜 포레스트 헤브나인 힐링 스파]]: [[충청북도]] [[제천시]] ==== 경상권 ==== * [[스포원파크 금정체육공원]]: [[부산광역시]] [[금정구]] * [[클럽디 오아시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울산대공원]] 아쿠아시스: [[울산광역시]] [[남구(울산)|남구]] * [[스파밸리]]: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 퍼블릭워터파크(가칭)(추진중): [[경상북도]] [[고령군]] * [[블루원 워터파크]]: [[경상북도]] [[경주시]] 천군동 * 엘리바덴 신월성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대구)|월성동]] * [[경주월드#s-4|캘리포니아 비치]]: [[경상북도]] [[경주시]]. 경주월드 어뮤즈먼트 옆에 있다. * 대명 경주리조트: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관광단지]] * 부산 아쿠아팰리스: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 * 장유스파랜드: [[경상남도]] [[김해시]] * 에덴벨리리조트 워터플레이: [[경상남도]] [[양산시]] * 썬비치 워터파크: [[경상남도]] [[창원시]] * '''[[롯데워터파크]]''': [[경상남도]] [[김해시]] 신문동. 2014년 5월 30일 일부분만 정식 개장을 한 뒤 2015년 6월 12일 완전개장을 하였다. 사업상으로는 [[롯데월드]] 계열로 분류된다.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워터파크'''이다. * [[소노캄#s-3.2|소노캄 거제 오션어드벤처]]: [[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 [[소노캄]] 거제 내에 위치한다. * [[뽀롱뽀롱 뽀로로|뽀로로]]아쿠아빌리지: [[경상북도]] [[경주시]]. 뽀로로를 테마로한 유아전용 소규모 워터파크로 한화리조트 산하에 있다. 사업상으로는 뽀로로파크에 부속되어있다. ==== 전라권 ==== * [[쏠비치|소노벨]] 변산 내: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반도]] * 아쿠아틱파크 아마존: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2019년 개장. * [[중흥골드스파&리조트|중흥 골드 스파 리조트]]: [[전라남도]] [[나주시]] * [[여수 The Ocean 리조트]] (디오션워터파크) [* 읽을 때 The뒤에 모음인 O가 나오기 때문에 '디오션'이라고 읽는다.]: [[전라남도]] [[여수시]] * 화순 금호 아쿠아나: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 * 라풀 어드벤처: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도. 2022년에 개장한 소규모 실내 워터파크이다. * 스파리조트 안단테: [[전라남도]] [[장흥군]] 안앙면 ==== 제주권 ==== * 제주 워터월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법환동 * 신화워터파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2018년 8월 개장. ==== 개장 예정 ==== * [[이월드]] 워터파크: [[대구광역시]] [[달서구]]. 무려 2014년부터 추진된 사업이나 아직까지도 진행된 게 없다.[[http://www.water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959|#]] ==== 폐업 ==== * [[부곡하와이]]: [[경상남도]] [[창녕군]]. 2017년 5월 28일 폐업. 전성기 시절에는 전국구급 유명세를 보유한 곳이었다. * 펀펀비치: [[경상북도]] [[경산시]]. 현재 철거중인 듯하다. 주차빌딩과 워터슬라이드가 철거되고, 콘크리트로 땅을 매워 기존의 모습이라곤 오래전부터 있던 메인빌딩 뿐이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입장권 판매를 하지 않는다. 현재는 부분별로 재개발, 버스차고지로 개발 및 이용되고 있다. * 판타시온리조트(사실상): [[경상북도]] [[영주시]]. 2008년 개장 후 2011년 여름 재개장을 제외하고 영업하지 않았다. * [[아일랜드 캐슬]](사실상):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의정부)|장암동]]. 공식적으로 폐업하진 않았지만 사실상 폐업상태이다. * [[통도환타지아#s-4|통도 아쿠아 판타지아]](사실상): [[경상남도]] [[양산시]]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도부터 휴업에 들어갔고 2021년까지 휴장한다는 공지가 있었으나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나고 코로나 범유행이 비교적 잠잠해진 2023년에도 개장소식이 없으며 현재 옆에있는 [[통도환타지아]]와 같이 방치되어 사실상 폐업상태라고 할수 있다. === [[북한]] === * [[문수물놀이장]]: [[평양시]] === 외국 === ==== [[미국]] ==== 기본적으로 미국 워터파크에서는 [[구명조끼]] 대여료가 없고 무료다. 이는 미국에서 생명과 관련된 장비는 돈을 받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목마를 때 물도 달라고 하면 그냥 준다. 생수는 아니고 자판대에서 컵에 따라준다.] 보통 파도풀 옆에 구명조끼 걸어놓는 곳이 있는데 가져다가 쓰고 알아서 반납하면 된다. 한국 워터파크는 파도풀 이용 시 일괄적으로 구명조끼를 착용해야 하지만, 미국 워터파크는 구명조끼 착용을 강제하는 규정이 없다. 수영에 자신이 있다면 구명조끼 없이 파도와 한번 맞서 싸워보아도 된다. 실전 [[입영]](Treading) 연습에 파도풀만큼 좋은 장소가 없고, 실력이 아주 탄탄하다면 파도가 높아도 충분히 버텨볼 만 하다. * [[월트 디즈니 월드]] * [[디즈니 타이푼 라군]] * [[디즈니 블리자드 비치]] * 웨튼 와일드 하와이: 하와이 주 카폴레이. 하와이 주 유일의 워터파크. * H2오아시스: [[알래스카]] 주 앵커리지: 위도가 높은 탓에 100% 실내로만 운영한다. 알래스카 주 유일의 워터파크. * [[유니버설 올랜도 리조트]] * [[유니버설 볼케이노 베이]] * 홀리데이 월드&스플래슁 사파리 (Holiday World & Splashin' Safari) * 식스플래그 화이트 워터 (Six Flags White Water): 조지아 주 Marietta * 식스플래그 허리케인 하버 (Six Flags Hurricane Harbor): 미국에 14개 지점이 있다. * 슐리터반 (Schlitterbahn Waterpark): [[텍사스]]주 4곳[* 갤버스턴, 코퍼스 크리스티, 뉴 브란펠스, 사우스 파드레 아일랜드]과 [[캔자스]]주 [[캔자스시티]]에 있는 워터파크. 캔자스시티 워터파크에 한때 세계에서 가장 높은(51.4 m) [[워터 슬라이드]]인 '버루트(Verrückt)'가 있었으나, 2016년에 어린이가 슬라이드를 타다 몸이 한쪽으로 지나치게 쏠려 슬라이드에서 튕겨나가 바닥으로 떨어져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조사 결과 안전에 중점을 두지 않고 설계했다는 게 밝혀져서 철거가 결정되었다. * 노아의 방주 (Noah's Ark) * 디스커버리 코브: [[플로리다]]주 [[올랜도(도시)|올랜도]]시 * 레이징 워터스 (Raging Waters Los Angeles) * 어드벤쳐 아일랜드 (Adventure Island) ==== [[일본]] ==== 현지 워터파크 최고의 성수기는 [[바다의 날]] 연휴 기간과 [[오봉]] 연휴 기간이라고 한다. [[문신]]이 있으면 입장하지 못하는 곳도 있다. * [[http://www.hawaiians.co.jp/|스파 리조트 하와이안즈]]: [[후쿠시마]] 현 이와키 시[* 근데 이곳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방사능]] 때문에 폐장은 시간 문제였나 싶지만... '''2013년 기준으로''' 하와이안즈가 [[타카라토미]] 협찬을 받고 [[http://www.asahi.com/shimen/articles/TKY201306130537.html|부흥캠페인]]이 실렸다. ] * 오션 돔: [[미야자키]]현. 2007년 이후 이 곳은 폐장된 상태. * 서머랜드: [[사이타마현]] * 도쿄 서머랜드: [[도쿄도]] 아키루노 시 * 선토피아 오카야마: [[오카야마현]] 소자 시 * [[나가시마 스파랜드]] 워터파크: [[미에현]] 구와나 시 나가시마초 * 스파월드 세계의 대온천: [[오사카부]] [[오사카시]] - [[신이마미야역]] 근처에 있다. 100% 실내. * 풀랜드 MIO: [[오사카부]] 센난군 미사키초 ==== [[중국]] ==== * 창롱 워터파크: 광둥 성 광저우 시 * 워터큐브: 베이징 시. 실내 워터파크이다. ==== [[독일]] ==== * 트로피컬 아일랜드 리조트: [[브란덴부르크]] 주 * 테르말 에르딩: [[바이에른]] 주. 100% 실내. ==== [[인도네시아]] ==== * 까북 워터봄: [[자카르타]] * 발리 워터봄: [[발리]] ==== [[호주]] ==== '''남반구에 있어서 [[여름]]이 [[12월]]~[[2월]]'''[* 보통 '''[[11월]] 중순부터 더워지기 시작해서 3월이나 4월까지는 더위가 계속된다.''' 호주의 [[여름방학]]이 11월이나 [[12월]]에 시작해서 2월쯤 끝나는 것도 이 때문이다.]이므로 워터파크 시즌이 한국과 다르다. 현지 최대의 관광 시즌인 [[크리스마스]]와 [[새해 첫날]]에도 관광객을 끌어모으기 위해 주로 9월~4월이나 11월~3월에 개장하는 편. * 레이징 워터스 시드니: 시드니. [[9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만 개장한다. * 웨튼 와일드 월드 골드코스트: 골드코스트. [[5월]]부터 [[8월]]까지는 물을 데워서 운영한다. * 빅스플래시: 캔버라.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만 개장한다. ==== [[베트남]] ==== 공휴일이 10일밖에 없어서[* [[크리스마스]]도 공휴일이 아니다.] 그런지 성수기가 거의 없다고 한다. * 나트랑 빈펄 리조트: 나트랑. ==== [[우즈베키스탄]] ==== * 타슈켄트 워터파크: [[타슈켄트]] ==== [[이란]] ==== * 오션워터파크: 키시 섬. 이란에서 가장 높은 워터슬라이드가 여기에 있다. ==== [[카타르]] ==== 기후 특성상 낮에는 매우 더워서 사람이 적고 저녁에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12월 25일]] 크리스마스와 [[1월 1일]]에도 상대적으로 여유롭다. * 아쿠아파크 카타르: [[도하]]. [[일요일]] 휴무, [[화요일]]은 여성 전용, [[토요일]]은 가족 전용으로 운영된다. 카타르의 유일한 워터파크라고 한다. [[이드 알 피트리]] 기간에는 엔터테이너 카타르 할인권을 사용할 수 없다. ==== [[러시아]] ==== [[겨울]]이 길고[* 무려 '''[[9월]] 중, 하순'''부터 겨울이 시작해 [[5월]] 초까지 계속된다. 러시아의 [[크리스마스]]인 [[1월 7일]]은 현지에서 가장 추운 시기일 정도.] 추운 나라답게 현지의 워터파크들은 100% 실내인 곳이 많다. * 카리비야: [[모스크바]]. 100% 실내. * 크바-크바: 모스크바. 100% 실내. ==== [[모로코]] ==== 나라의 영토가 이렇게나 넓은데도 워터파크는 나라 전체에 달랑 3개밖에 없다. * 오아시리아: [[마라케시]] * 호텔 아쿠아 펀: [[마라케시]] * 타마리스 아쿠아파크: [[카사블랑카]] ==== [[아랍 에미리트]] ==== 이슬람 국가답게 [[금요일]]과 [[토요일]]에 이용객이 많고 일요일에는 상대적으로 여유롭다. * 야스 워터월드 (Yas Waterworld) * 아틀란티스 아쿠아벤쳐 워터파크 (Aquaventure Waterpark) * 와일드 와디 (Wild Wadi) ==== [[스웨덴]] ==== 겨울이 길어서[* 스톡홀름 기준으로 하면 10월 초부터 5월 초순까지, 북부 지역은 무려 9월 하순부터 겨울이 시작돼 6월 근처까지 겨울이다.] 야외존의 개장 기간이 짧고 실내 워터파크가 많은 편이다. * 액션바드 - 베스테로스 ==== [[멕시코]] ==== 수도권에는 상대적으로 해발 고도가 낮고 온화한 모렐로스 주에 많이 위치해 있다. 공휴일이 '''7일'''[* 1월 1일 [[새해 첫날]], 2월 첫째 주 월요일 [[제헌절]], 3월 셋째 주 월요일 [[베니토 후아레스]] 탄신일, 5월 1일 [[노동절]], 9월 16일 [[독립기념일]], 11월 셋째 주 월요일 혁명기념일, 12월 25일 [[크리스마스]].]밖에 없어서 성수기가 거의 없는 편이다. 여름에는 [[미국인]], [[캐나다인]]들이 휴가를 보내러 멕시코에 많이 오기 때문인지 멕시코의 워터파크 이용객들 중 [[미국인]]과 [[캐나다인]]이 많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수도권에서 거리가 먼 칸쿤 한정으로, 수도권에서 가까운 모렐로스 주 지역과 이달고 주의 익스미킬판(Ixmiquilpan)은 부활절 주변과 크리스마스 주변으로 준성수기 기간이 있어서 외국인보다는 현지인들이 더 많다. 모렐로스 주 쪽에 인지도가 더 있으며, 익스미킬판도 나름 유명하기는 하나 기름도둑(Huachicolero)와 관련된 악명 때문에 유명세가 덜하다.[* 이곳에서 Huachicol의 창고 화재 사건이 있었으며, 주변의 틀라우엘릴판에서는 [[멕시코 송유관 화재 사고]]까지 났다. 그런데 익스미킬판에는 워터파크가 2군데나 있으며, 서로 붙어 있다.] 의외로 멕시코 시티에도 워터파크가 있다. 이스타팔라파에 있는 발네아리오 엘바(Balneario Elba)[* [[멕시코시티 도시철도]] A호선 페뇬 비에호 역에서 하차하면 갈 수 있다.]가 유일하다. 아무리 해발고도가 높은 멕시코 시티라지만 4월 즈음에는 매우 덥기 때문에 부활절 연휴를 중심으로 지방으로 나가기 여의치 않거나 그러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 경제 상황과는 별개의 개념이다. 상류층이라도 다른 시기에 보다 근사한 휴가를 보내고 싶고 부활절 연휴에는 그냥 평범하게 보내고 싶은 사람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 * 구. 아시엔다 테믹스코 (Ex Hacienda de Temixco): 모렐로스주 테믹스코 * 오호 데 아구아 (Ojo de Agua): 모렐로스주 테믹스코 * 식스 플래그 오악스테펙 허리케인 하버 (Six Flags Oaxtepec Hurricane Harbor): 모렐로스주 오악스테펙 * 디오스 파드레 (Dios Padre) : 이달고주 익스미킬판 * 엘 토얀 (El Tollan) : 이달고주 익스미킬판 * 벤추라 파크: [[칸쿤]] * 발네아리오 엘바 (Balneario Elba): [[멕시코 시티]] ==== [[프랑스]] ==== 여름이 길어서 성수기도 길다. 혁명기념일인 [[7월 14일]] 근처는 최고의 피크. ==== [[말레이시아]] ==== 열대기후라서 그런지 1년 내내 장사가 잘 된다. [[크리스마스]]와 [[새해 첫날]]로 이어지는 연말연시는 최고의 피크. * [[레고랜드]] 워터파크: 조호르바루 ==== [[튀르키예]] ==== 이스탄불의 Marina Aqua Waterland와 안탈라야의 아쿠아랜드가 있다. *Dolusu Water Park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워터파크, version=413, paragrap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