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약어가 RWS인 미국의 게임 제작사, rd1=러닝 위드 시저스)] [목차] === 개요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ongsberg_Protector_RWS_on_M1126.jpg|width=1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ws_stryker_interiorscreen.jpg|width=100%]] || || [[스트라이커 장갑차|{{{#000 스트라이커 장갑차}}}]]에 탑재되는 M151 프로텍터 || M151 프로텍터를 내부에서 원격으로 운용중인 병사 || [[전차]], [[장갑차]], [[소형전술차량]] 등 장갑차량의 상부장착 무장체계를 무인화시켜서 소형의 무인총탑 내지는 무인[[포탑]]의 형태로 만든 시스템을 일컫는다. [[영어]]로는 'Remote Controlled Weapon Stations (RCWS)', 'Remote Weapon Station (RWS)', 'Remote Weapon System (RWS)' 등의 명칭으로 불리고 있는데, 여기서 이 세 명칭은 거의 동의어로 사용된다. RCWS는 상부기관총 운용자가 차내에서 엄폐하면서 공격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기존 '''[[포방패]]가 달린 화기더라도 [[저격소총|저격]], [[폭발물]], 탑어택 방식을 사용하는 대전차미사일[* [[FGM-148 재블린]], [[현궁]], [[스파이크 대전차미사일]] 등]에 사수가 사망할 수 있었던 것과 달리 차량 자체가 격파되지 않는 한 승무원의 생존성을 극도로 높여줄 수 있다.''' 또한 RCWS는 차량에 달아서 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계지역에 고정포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일부 [[GP]]에 K6의 RCWS 버전인 KR6가 설치되어 운용중이다. 아래에 써있듯 역사가 길다. [[제2차 세계 대전]] 전후로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나치 독일]]과 [[서독]]은 물론이고 [[냉전]] 당시 [[소련]] 전차들도 [[저격수]]에 대비해 간단한 유선 [[리모콘]] 조종용 RCWS를 사용했다. 대표적인 물건이 [[LT vz. 38|38(t)]] 기반 구축전차 [[헤처]]에 적용된 [[MG34]] 마운트. 잠망경과 와이어를 이용해 전차 내부에서 기계식으로 조종할 수 있는 물건이었으며, 이후 서독에서 개발된 서방권의 첫 [[보병전투차]]인 [[SPz 마르더|마르더 보병전투차]]의 초기형 역시 후방에 리모콘 조종용 RCWS가 장착되어 있었다. RCWS는 거의 모든 상부기관총 마운트가 존재하는 무기체계에 적용할 수 있으며, 주로 [[기관총]], [[자동유탄발사기]] 등의 소구경 화기를 올려 사용하며 거기에 덤으로 [[연막탄]] 발사기 등을 소소하게 같이 달아주기도 한다. 승무원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을 살려 여기서 규모를 더 키워 장갑차, 주력전차의 [[포탑]]을 원격 무인화 한 무인포탑도 연구, 배치되고 있다. [[T-14]], [[M1 에이브람스#s-4.9.1|에이브람스 X]]처럼 모든 승무원이 차체 승무원 집중방호구역에 탑승하고 포탑은 탐색, 장전, 조준, 발사 등 모든 기능을 원격 조작으로 실행한다. [[파일:external/www.armyrecognition.com/K4386_4x4_armoured_vehicle_personnel_carrier_Kamaz_Russia_Russian_defense_industry_military_equipment_640_001.jpg|width=600]] 기관포는 BMP-2와 Mi-28에 장착되는 소련제 30mm 기관포인 2A42로 보인다. 하지만 [[북유럽]]의 사양으로 [[기관포]] 등의 대구경 화기나 [[미사일]] 장착이 가능한 버전들이 있고, 이 일환으로 [[FGM-148 재블린]]이나 [[AGM-114|헬파이어]] 등의 운용능력이 있으며, [[XM307 ACSW]] 및 [[XM312 ACSW]]의 운용능력의 부여도 XM307와 XM312가 개발 취소를 당하기 전까지는 검토된 전력이 있었다. 거기다 현 [[미국]]에 납품되는 CROWS III도 이쪽 사양들. [[파일:0293949239341233.jpg]] [[서유럽]]과 [[동유럽]]은 한술 더 뜬다. 프랑스나 러시아 쪽에선 [[20mm]] 기관포나 [[30mm]] 기관포, 심지어 57mm 기관포도 올려 놓아 이게 무인포탑인지 RCWS인지 구분이 안가는 수준이다. 또한 RCWS 조준을 위한 광학장비 덕분에 차체 내부에서 승무원이 안전하게 밖을 관찰할 수 있다. [[M1A1]]처럼 일부 CITV(전차장용 독립 조준경)가 없는 전차들은 RCWS를 CITV처럼 사용하며, 러시아의 PK-PAN은 아예 [[헤드 발칸|CITV에 기관총을 장착해 RCWS와 통합하기도 했다]]. 단점으로는 기존 상부기관총 운용자들이 차내에서 사격을 하는 것이기에 시야확보가 극히 제한되며, RCWS의 탑재 무기에 물린 탄환을 전부 소진하면 결국 승무원이 해치를 열고 나와 장전을 해야 하는 것 등이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최근 개량판에서는 [[COFFIN|360도 전방위 카메라를 달고]] 내부 급탄 버전이 등장하는 등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파일:attachment/테크니컬/내부.jpg]] 2차대전부터 등장했을 만큼 워낙 만들기 쉽고 최근 성능이 좋아진 민간부품 덕분에[* 고해상도 카메라, 포탑을 구동하기 위한 전자기부품, 손에 익은 게임용 패드 등] [[테크니컬]]도 RCWS를 자작해 쓰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테크니컬]] 문서 참조. === 국가별 RCWS 개발/운용 현황 === ==== [[미국]] ==== * [[https://en.wikipedia.org/wiki/Recon_Optical|리콘 옵티컬]] * [[https://defense-update.com/20040505_crows.html|RAVEN R-400]] (M101 [[CROWS]]) 제식명 M101 뒤에 붙은 CROWS는 Common Remotely Operated Weapon Station의 약자이며 일종의 사업명. 1까지는 미국에서 자체설계하여 사용하였으나, 2부터는 노르웨이산 프로텍터를 공급중이다. * [[레이시온]] * [[http://www.army-guide.com/eng/product5036.html|배틀가드]] ||
[[파일:BattleGuard_sdfshkj1.jpg|width=280]] || || '''BattleGuard''' || [[레이시온]]이 개발한 RCWS. CITV(전차장용 독립 조준경)와 [[기관총]]을 탑재한 RCWS를 하나로 통합시킨 것이 특징으로, [[모빌슈트]]나 [[암 슬레이브]] 등의 [[헤드 발칸]]을 연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컨셉이다. CITV와 RCWS가 하나로 통합된 구조인지라 사이즈가 상당히 대형이다. 모듈화 설계가 적용되어 [[M1 에이브람스]] 외에도 [[브래들리 장갑차]] 등의 다른 차량들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기본무장은 기관총이지만 [[FGM-148 재블린]]이나 [[FIM-92 스팅어|스팅어 지대공미사일]] 등을 보조무장으로서 기관총과 함께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기본무장인 기관총 역시 [[자동유탄발사기]] 등의 다른 무장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 [[노르웨이]] ==== * 콩스베르그 * [[https://www.kongsberg.com/kda/what-we-do/defence-and-security/remote-weapon-systems/|프로텍터]] (M151/M153 [[CROWS]] II/III)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ongsberg_Protector_RWS_on_M1126.jpg|width=280]] || || '''M151 버전''' || || [[파일:m2a1-m153crows_usa 1.jpg|width=280]] || || '''M153 버전''' || 노르웨이의 방산기업 콩스베르그에서 개발한 RCWS. 현재로서는 RCWS계의 베스트셀러로 미군에 대량납품중인 CROWS II를 제외하더라도 많은 국가들이 프로텍터를 사용하고 있다. 진짜 상부에 기관총을 달 수만 있으면 어떤 플랫폼이든 달 수 있기 때문에 실전에 투입되는 군대들이 자체적으로 보유하기도 한다. 수많은 [[피라냐]] 계열 [[차륜형 장갑차]]들과 남아공제 [[MRAP]] 시리즈들이 처음부터 RCWS의 사용을 전제하고 만들어지기도 한다. 노르웨이는 이 시스템의 온갖 확장형을 만들고 있는데, [[http://www.kongsberg.com/~/media/KPS/Images/Super%20Lite_.ashx?w=277&h=180&as=1|보병이 도수운반할 수 있도록 30kg대까지 경감한 초경량형]], [[http://www.deagel.com/library1/small/2008/m02008062300002.jpg|급탄기구 내장형]], [[http://www.kongsberg.com/~/media/KPS/Images/PROTECTOR%20RWS/Sea%20PROTECTOR/sea.ashx|수상함 탑재형]], [[비살상무기]] 탑재형, '''[[http://www.army-guide.com/images/Protector_pdfsdfddsd07.jpg|20~50mm 기관포 운용형]]''', [[http://www.kongsberg.com/~/media/KPS/Images/PROTECTOR%20RWS/PROTECTOR%20Dual%20RWS/Dual%20RWScrop%20copy.ashx|다중 기관총 운용형]] 등으로 개량형이 나오고 있다. [[스트라이커 장갑차]]에 탑재되는 RCWS도 이 모델이다. 이후 30mm 기관포로 교체예정. 근데 그 물건도 RCWS. CROWS III 버전부터는 [[http://forum.net.hr/cfs-filesystemfile.ashx/__key/CommunityServer.Discussions.Components.Files/16/8078.protector_5F00_javelin.jpg|약간의 조정으로 재블린도 사용가능하다.]] * XM914 역시 콩스베르그에서 개발한 미육군을 위한 새로운 RCWS로 주로 [[L-ATV]]에 탑재된다. 기관총과 함께 [[FIM-92 스팅어]]를 탑재할 수 있어 대공능력이 매우 향상되었다. ==== [[독일]] ==== * [[헤처]] ||
[[파일:Hetzer_MG34.jpg|width=280]] || || '''Hetzer''' || '''2차대전 당시의 독일군 헤처 구축전차가 맞다.''' 상부의 [[MG34]] [[기관총]]이 원격조작식이었다. 물론 자동화된 것은 아니었고, 잠망경에 기관총을 붙이고 내부에서 기계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한 것이지만 차내에서 장전을 제외한 모든 조작을 할 수 있었기에 꽤 호평을 받았다고 한다. * 베르게티거(P) 후기형 헤처와 동일한 기관총이 탑재되었다. * [[크라우스-마파이 베크만]] * FLW 100 * FLW 200 독일연방군에서 사용하는 현용 RCWS들이다. [[ATF 딩고]] 등의 전술차량에 탑재하여 사용된다. ==== [[소련]]/[[러시아]] ==== * [[T-64|T-64A, T-64B]], [[T-80|T-80B/U/UD]], [[T-90A]][* 따로 지칭하는 공식 명칭은 없으며, 전시 대량생산용 전차인 T-72에는 장착되지 않았다.] ||
[[파일:1407830122_05.jpg|width=280]] || 포탑 상부 [[NSV|NSVT]] 대공기관총을 차장이 외부로 나와서 직접 운용하지 않고도 내부에서 장전을 제외하고 차장 조준경을 통해서 조준과 사격이 가능하다. * PK-PAN ||
[[파일:krdmt_01.jpg|width=280]] || || '''PK-PAN''' || 상기한 BattleGuard와 마찬가지로 CITV와 [[Kord|기관총]]을 탑재한 RCWS를 하나로 통합시킨 컨셉으로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CITV와 RCWS가 하나로 통합된 구조인지라 역시 사이즈는 상당히 대형이다. 차세대 주력 전차로 개발된 [[T-14]]나 러시아군의 신형 전차 중 하나인 [[T-90M]]에 장착된다. * 6S21-01/02/03 * Arbalet-DM ||
[[파일:GAZ-2330 'Tigr'.jpg|width=280]] || || '''Arbalet-DM''' || [[GAZ 티그르|GAZ Tigr]]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RCWS이다. ==== [[영국]] ==== * [[BAE 시스템스]] * [[https://www.baesystems.com/en-us/product/defense-weapon-system|DWS]] ||
[[파일:gau-17_dws(v-22).jpg|width=280]] || || '''Defense Weapon System''' || [[BAE Systems]]에서 개발한 물건으로 [[V-22]] 오스프리의 방어무기로 선정이 되었다. 장착 위치가 영 좋지 않아서 이 녀석이 한번 거론되면 [[고간포]] 드립이 나오기도 한다. 수납이 가능하며 수납 상태에서는 내부 인력으로 재장전도 가능하다. ==== [[일본]] ==== [[육상자위대]]의 [[코마츠 LAV]] 등을 위해 M2 12.7mm 중기관총을 운용할 수 있는 RCWS가 개발되었으나 정작 육상자위대에는 단 1개도 배치되지 않고 있고 오히려 [[해상자위대]]가 먼저 채택해 [[아사히급]]과 [[30FFM]]용으로 탑재하고 있다. 정황상 육자대용은 예산 순위에서 밀린 것으로 보인다(...). 함선의 사통 레이더와 연계될 수 있으며, UAV와 소형 고속보트 추적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대한민국]] ==== 육군의 경우 일부 [[GP]]에서 [[K6 중기관총]]의 고정형 RCWS 버전인 [[현대위아]] KR6을 운용 중이다. 또한 [[아미타이거 4.0]] 계획의 일환으로서 우선 [[K151]]과 [[K808]] 같이 주포탑이 따로 없는 전술 차량이나 차륜형 장갑차에 RCWS를 장착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고, 추후 예산이 더 확보되면 전차와 궤도형 장갑차에도 RCWS를 탑재할 예정이다. 또한 도입 예정인 무인전투차량에도 당연히 RCWS가 달린다. 21년 9월에는 12.7mm RCWS를 탑재한 K151이 포착되기도 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2031689|#]], 해병대의 경우 상륙돌격장갑차인 [[AAV-7A1#대한민국|KAAVP-7A1]]에 한화디펜스(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복합화기형 RCWS를 장착하여 운용 중이다. [[K6 중기관총]]과 [[K4 고속유탄기관총]]으로 무장한다. ||
[youtube(iMBRgFIojs0)] || || 2022 [[림팩]] 훈련에 참가한 해병대 복합화기형 RCWS 장착 KAAVP-7A1 || 해군의 경우 [[제1연평해전]], [[제2연평해전]] 등 근접전 위주로 진행되었던 과거 [[서해교전|서해에서 일어났던 교전]]들에서의 전훈을 반영하여 [[PKMR|신형 참수리급(PKMR)]]의 보조무장으로 한화테크윈(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해상용 12.7mm RCWS를 장착하여 사용 중이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https://www.youtube.com/watch?v=PNY-rvXG0T8|RCWS]] * [[현대위아]] * [[https://www.hyundai-wia.com/business/defense_future.asp|RCWS]] * [[LIG넥스원]] *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lignex1&logNo=222891488052|RCWS]] * [[SNT다이내믹스]] * [[https://www.youtube.com/watch?app=desktop&v=VBARaJ5SRSg|RCWS]] * --[[http://dodaam.com/index.php|도담시스템즈]]--[* 2017년 사업 중단.] * [[http://dodaam.com/sub2/menu2_1_4.php|aEgis 시리즈]] 과거 2004년 이라크에 파병된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자이툰부대]]에서 운용한 바가 있음.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391|#]] ==== [[북한]] ==== [[폭풍호]], [[선군호]] 전차, [[M-2018 자주곡사포|신형 152mm 혹은 155mm 자주포]]에 [[지대공 미사일]], [[대전차미사일]]을 RCWS로 만들어 포탑 측면에 설치하고 있다. ==== 기타 ==== * [[프랑스]] * ARX-20 * [[스웨덴]] * Saab 트랙파이어 * 보포스 Lemur * [[벨기에]] * [[FN 에르스탈]] DeFNder: FN에르스탈에서 제작한 RCWS로, 자사의 [[M2 브라우닝 중기관총|FN M2 QCB]], [[M240 기관총|M240]] 다목적 기관총, [[M249]] 경기관총을 탑재한다. * [[이스라엘]] * RAFAEL * RAFAEL DRAM DRWS * RAFAEL SAMSON * [[남아프리카 공화국]] * BAE TRT-25 - 주로 부시마스터 [[M242 부시마스터]] [[체인건]]을 사용하나, [[M230 체인건]]과 [[Mk44 부시마스터 II]]도 운용할 수 있다. * [[이탈리아]] * HITROL-Light * OTO MELARA HITROLE 20mm - 3배럴 발칸포 RCWS인데 경비정에 장착할 용도로 만들었다고 한다. 장탄수는 750발이다. [[분류:총기]][[분류:기관총]][[분류:기관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