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원더풀라디오(프로그램)]][[분류:김현철(가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김태원 진행체제의 원더풀라디오, rd1=원더풀라디오 김태원입니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같은 이름의 영화, rd1=원더풀 라디오)] ||<-5> [[MBC 표준FM|[[파일:mbc-fm-gray.png|width=170]]]] || || 19:00 ~ 20:00 ||<|4><:> → ||<#F7F5D7,#525147> '''{{{#black 20:00 ~ 22:00}}}''' ||<|4><:> → || 22:00 ~ 23:00 || ||<:> [[MBC 저녁앤뉴스|저녁앤뉴스]] (평일) / [[7시 뉴스#s-3.2|19시 뉴스]] (주말) ||<:> [[8시 뉴스#s-3.4|20시 뉴스]][*A 일부 지역 자체 방송.] / [[9시 뉴스#s-3|21시 뉴스]][*A] ||<:> [[10시 뉴스#s-3.2|22시 뉴스]][*A]|| ||<:> [[뉴스 하이킥|신장식의 뉴스 하이킥 3~4부]] (평일)[*A] ||<|2><:><#F7F5D7,#525147> '''원더풀라디오 김현철입니다'''(종영) ||<|2><:> [[별이 빛나는 밤에|김이나의 별이 빛나는 밤에 1~2부]] || ||<:>[[뉴스 하이킥|김치형의 뉴스 하이킥 3~4부]] (주말)|| ||<-2>
{{{#424242 '''원더풀라디오 김현철입니다'''}}} || ||<-2> [[파일:원더풀라디오 김현철입니다.png|width=100%]] || || '''방송일''' ||2016년 5월 30일 ~ 2018년 2월 2일[br]2020년 5월 11일 ~ 2023년 11월 19일 || || '''진행자''' ||'''[[김현철(가수)|김현철]]''' ,,(2022년 3월 28일 ~ 2023년 11월 19일 ),, || || '''연출''' ||김정관(윤태진의 FM데이트로이동) || || '''구성''' ||윤나영, 윤보라 || || '''오프닝 시그널''' ||노유림 - [[https://youtu.be/GNl72wJT-sw|Love Cafe]][* [[이석훈]] DJ 체제부터 쓰이기 시작한 시그널. [[골든디스크]] 시절 사용했던 자신의 곡 'Wonderful Radio'는 3부 오프닝 시그널 송으로 들어갔다.] || || '''방송시간''' ||'''매일''' / 20:05 ~ 21:57 || || '''송출채널''' ||[[MBC 표준FM]], [[MBC mini]]|| || '''외부링크''' ||[[http://www.imbc.com/broad/radio/fm/wonderfulradi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오프닝 멘트''' ||(시그널 음악) 원더풀라디오 김현철입니다. || || '''클로징 멘트''' ||(음악) 오늘 못 한 이야기는 내일 나누겠습니다. 원더풀라디오 김현철이었어요.[* 이 멘트는 과거 [[오후의 발견 김현철입니다]]를 진행할 때부터 이어져 오는 클로징 멘트다. 차이점이라면 [[골든디스크]]를 진행했을 때까지 애용했던 "감사합니다" 대신에 "원더풀라디오 김현철이었어요"로 마무리 짓는다. 2022년 9월 24일까지는 평일 방송이었기 때문에 금요일 마무리 멘트는 다음과 같았다. "오늘 못 한 이야기는 다음주 월요일에 나누겠습니다. 원더풀라디오 김현철이었어요." 이후 [[밤의 디스크쇼]]로 이어진다.]|| [목차] [clearfix] == 소개 == 대한민국의 전 음악 전문 프로그램. 초대 DJ는 [[부활(밴드)|부활]]의 [[김태원(음악인)|김태원]]이 맡아 [[원더풀라디오 김태원입니다]]라는 프로그램명으로 2016년 5월 30일부터 2018년 2월 2일까지 진행했으며, 후임 프로그램으로 [[에헤라디오(프로그램)|에헤라디오]]가 진행되었다가 2020년 5월 11일 봄 개편으로 부활하였다. 부활 당시에는 [[강수지]]가 진행하였다가 개인 사정으로[* 배우자인 [[김국진]]이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스타]]에서 언급하기를 올해 고등학교 3학년인 딸의 뒷바라지를 위해서라고.] 하차한 이후부터는 [[SG워너비]]의 이석훈이 진행자 자리를 이어받았다. 이석훈은 10개월 동안만 진행하고 골든디스크 진행자였던 김현철과 자리를 맞바꿔 [[이석훈의 브런치카페]]를 진행하게 되었다. 첫 방송될 당시부터 평일(주중) 방송이었으나 2022년 9월 26일 개편과 함께 매일 방송으로 전환되었으며, 또한 지역 릴레이로 인해서 송출이 안되는 지역이 있었으나,(대전, 광주, 대구, 경남, 부산) 현 시점에서는 전국 방송중. 다만 프로야구 중계방송 송출때는 (지역 한정으로)방송을 쉬는 때가 있다. 2022년 9월 26일부터 매일 방송으로 확대되었다. 2023년 가을개편으로 2023년 11월 19일 '원더풀라디오'는 종료되고 <[[밤의 디스크쇼]]>가 부활된다.[* 해당 프로는 원래 [[MBC FM4U|FM]] 프로였지만, 이번 개편에서는 [[MBC 표준FM|표준FM(구 AM)]] 프로로 부활하게 되었다.] == 역대 DJ == * 초대 DJ(2016년 5월 30일 ~ 2018년 2월 2일): [[김태원(음악인)|김태원]] * 2대 DJ(2020년 5월 11일 ~ 2021년 5월 28일): [[강수지]] * 3대 DJ(2021년 5월 31일 ~ 2022년 3월 25일): [[이석훈]] * 4대 DJ(2022년 3월 28일 ~ 2023년 11월 19일): [[김현철(가수)|김현철]] === 임시 DJ === * [[이한철]]: 2022년 3월 31일, 4월 1일[* 진행자 김현철의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해 진행], 2023년 1월 2일~1월 8일[* 진행자 김현철의 휴가로 인해 진행] * [[테이]]: 2022년 4월 4일~8일[* 테이의 경우 이전에 [[꿈꾸는 라디오]]를 진행한 바 있다.] == 코너 == 대체로 1부와 2부는 청취자들의 사연 이야기가 메인이 되었다. === 매일 === * 원더풀 차차차[* 이석훈 진행 체제부터 있었던 코너였다.] * 기억 속의 멜로디 * 현디 맘대로[* 이 코너는 김현철 과거 [[골든디스크]] 시절부터 해 왔던 코너이며 다음 진행 프로인 [[밤의 디스크쇼|디스크쇼]]에서도 하고 있다.] === 주간 === * 월요일 주제가 있는 음악패키지 * 화요일 실시간 사연과 신청곡 * 수요일 아내/남편에게 바치는 노래 (G:[[전영미]]) * 목요일 마음 카페 (G:송형석) * 금요일 털고 갑시다[* 이석훈 진행 체제부터 있었던 코너였다.] * 토요일 토요일을 부탁해 / 권태은의 뮤직토크 (G: 권태은 음악감독) * 일요일 원곡 vs 리메이크 / 세곡만 == 여담 == * 이석훈 진행 시절 SG워너비의 <넌 좋은 사람>이 발매되었을 당시 이 방송보다 [[MBC FM4U|이웃 채널]]의 방송인 [[꿈꾸는 라디오]]가 먼저 틀었다. 그래서 꿈꾸라로 청취자가 잠시동안 대이동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 노래 선곡이 상당히 올드한 편이다. 일단 최신곡들을 포함해 2010년대 후반 이후의 노래들은 거의 안 튼다. [[강수지]]가 DJ로 있던 시절엔 전반적으로 지금보다 훨씬 올드한 편이었지만, 이 때는 의외로 한 두곡씩 최신곡을 끼워서 틀기도 했었다. [[김현철(가수)|김현철]] 이후에도 대체로 이러한 선곡 기조가 유지되고 있다.[* 과거 [[오후의 발견 김현철입니다]]와 선곡 스타일이 비슷하다.] * 김현철은 자신의 노래 제목과 제목이 같은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되었는데, 방송 첫곡을 자신의 동명 곡으로 선곡하면서 드디어 이 곡이 제 자리를 찾았다는 소회를 남겼다. 그리고 [[수미상관|방송 끝곡도 동명 곡으로 선곡하면서 끝을 장식했다.]] * 2022년 3월 31일 김현철이 몸 상태가 좋지 않아 3월 31일 방송은 가수 [[이한철]]이 맡게 되었는데, 다음날인 4월 1일에 김현철이 코로나 19 확진 판정을 받아 4월 1일 역시 이한철이 맡게 되었다. '라디오 개편한 지 1주일도 안되어서 코로나 19 확진 판정을 받게 되어 청취자들한테 죄송하다'고 이한철을 통해 사과를 남기기도 했다. 그리고 4월 4일부터 8일까지는 가수 [[테이]]가 임시로 진행을 맡았다. * 2022년 10월 30일 방송은 [[이태원 압사 사고]] 관련 특별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 기존 코너 진행 대신 청취자들의 사연 및 위로, 추모 관련 내용으로 11월 4일까지 꾸려졌다. * 종합방송인 표준FM 채널 특성상 선거나 세계구급 스포츠 대회같은 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편성변동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반면 FM4U 채널은 음악FM으로 분류되어서 이러한 영향을 덜 받는 편이다.] * 선거기간(전국동시선거든 재보궐선거든)에는 [[공직선거법]]에 의한 후보자 라디오 연설방송 편성으로 인해 기존 시간보다 30분정도 더 마칠 때가 종종 발생한다. * 2022년 6월 1일에는 [[MBC 선택 2022(지선)|선택 2022]] 제8회 지방선거 라디오 개표방송 편성으로 결방되었다. * 2022년 11월 24일에는 2022 [[카타르 월드컵]] H조 조별리그 대한민국:우루과이 중계방송 편성으로 인해 기존 시간보다 10분정도 일찍인 오후 9시 50분에 마쳤다. * 동년 11월 28일에도 마찬가지로 2022 [[카타르 월드컵]] H조 조별리그 대한민국:가나 중계방송 편성으로 인해 기존 시간보다 10분 더 일찍 마쳤다. * 2023년 3월 10일에는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 한일전 편성으로 결방했다. * 2023년 11월 19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 지역 방송 == 프로야구 시즌 중에는 아래의 지역국에서 프로야구를 편성한다. 정규시즌에는 홈경기만 중계하며, 포스트시즌 진출 시에는 전 경기를 중계하므로 참고. ||<-4> '''KBO 리그 시즌 자체방송''' || || 지역국 || 중계팀 || 캐스터 || 해설 || || [[부산문화방송|부산]] || [[롯데 자이언츠]] || 김동현 || [[박승호(야구)|박승호]] || || [[대구문화방송|대구]] || [[삼성 라이온즈]] || 이동훈, 서상국 || [[홍승규]] || == 둘러보기 == [include(틀:MBC 라디오)] [include(틀:MBC 표준F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