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천광역시의 지역 구분)] ||<-4> {{{#fff {{{+1 '''동인천 ,,(인천 원도심),,'''}}}[br]'''東仁川 (原都心)[br]Dongincheon ,,(Original Downtown),,'''}}}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천 원도심 (동인천).svg|width=100%]]}}}|| ||<-2> '''{{{#fff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2> '''{{{#fff 기초자치단체}}}''' || [[중구(인천광역시)|중구]]·[[동구(인천광역시)|동구]][* 소위 동인천이라고 부르는 중구 원도심과 동구 지역을 [[제물포구]]로 [[인천광역시 행정체제 개편|통합 개편하는 작업]]이 추진되고 있다.] || ||<-2> '''{{{#fff 인구}}}''' || 64,914명[*기준 2023년 2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 통계]]] || ||<-2> '''{{{#fff 면적}}}''' || 7.84㎢ || ||<-2> '''{{{#fff 인구밀도}}}''' || 8,279.85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천 원도심은 [[중구(인천광역시)|중구]]의 내륙 지역[* 중구 관할구역에서 [[영종도]]를 제외한 곳. 대체로 [[월미도]]도 동인천 지역으로 본다.]과 [[동구(인천광역시)|동구]] 전역을 이르는 명칭이다. 원도심에서도 가장 중심지에 있던 전철역인 [[동인천역]]에서 따와 '''[[동인천]]'''이라고도 부르며, 이 명칭이 더 잘 알려져 있다.[* [[인스타그램]]에 이 지역을 이르는 다른 명칭인 '#상인천'이라는 태그를 검색하면 121개밖에 뜨지 않으나, '#동인천'을 검색하면 카페나 맛집 등 관련 게시물까지 합쳐 '''60.6만개'''개의 게시물이 뜬다.] 이 지역은 1990년대 초반까지 명실상부 인천의 정치·경제·문화 중심지였으나 시대가 흐르면서 [[도심 공동화]] 현상을 겪고 인구가 대거 유출되면서 도시가 다소 쇠락했다. 이 풍경은 인천 원도심과 비슷한 과정으로 도시가 형성됐던 [[원도심(부산)|부산광역시의 원도심]]에서도 똑같이 벌어진 바 있다.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이 추진하고 있는 [[인천광역시 행정체제 개편|행정체제 개편 작업]]이 모두 실현되면 이 지역은 '[[제물포구]]'라는 새로운 행정구역으로 합쳐진다. == 역사 == 구한말 이전 조선시대까지 오늘날의 중구 원도심 일대인 [[제물포]] 지역은 그저 별 볼일 없던 서해안의 작은 포구였다. 이 당시 제물포는 외부로 열리지 않은 포구였고 조수 간만의 차가 큰데다 수심까지 얕아서 작은 고깃배가 드나드는 것에 불과했다. 사실 조선 때까지만 해도 인천의 중심은 인천도호부 관아가 있던 [[관교동]]과 [[문학동]] 일대였다. 지도상 인천부의 영역을 보면 제물포는 서쪽 끝 동네였고 관교·문학동이 중심에 버티고 있었기 때문이다. 작은 포구에 불과했던 제물포가 일약 인천의 중심으로 떠오르기 시작한 것은 1870년대 이후부터다. 조선은 일본과 맺은 [[강화도 조약]]에 의해 [[부산항|부산 초량항]] 외에 2개 지역을 추가로 개항해야 했는데 한성과 가까운 제물포가 추가 개항지로 낙점됐다. 물론 이 당시에도 제물포는 수심이 얕고 조수 간만의 차가 극심해서 무역항으로서 제대로 된 역할을 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으나 서울과 가깝다는 이유로 개항을 강행했다. 1876년과 1880년 각각 개항한 부산항, 원산항에 이어 1883년 조선의 세 번째 개항 항구로 문을 연 제물포항 주변에는 일본인과 청나라인 등 각국에서 온 외국인들의 거류지가 형성됐고 일본 정부가 조계지 내 거류민을 보호하기 위한 영사관을 [[자유공원|응봉산]] 기슭에 설치했다. 도시 팽창의 기폭제가 된 것은 1899년 개통한 [[경인선]] 철도와 1900년대 중반 이후 가설된 [[경인수도]]였다. 경인선 철도는 [[인천역|제물포역]]과 [[동인천역|축현역]]이 개통되면서 조선의 [[수도(도시)|수부도시]]인 한성과 제물포항의 입구인 북성동 일대와 부내면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로의 역할을 했고 한강물을 제물포까지 끌어오는 경인수도는 제물포항 주변에 거주하던 외국인 거류민들의 식수와 생활용수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했다. 항구가 외국으로 열리고 서울과 교통로와 식수 관로까지 연결되자 사람들이 모여들면서 작은 포구에 불과했던 제물포는 근대 도시로 팽창하기 시작한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일제의 행정구역 대개편]]으로 오늘날의 중구와 동구 일대가 인천부로 조정되고 이때부터 명실상부 인천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1932년 응봉산 기슭의 인천부청을 새로 지으면서 이 지역은 인천의 행정·정치·사회·문화·경제의 중심으로 발돋움하게 된다. 특히 인천부청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면서 신포동과 인현동 일대가 인천의 경제 중심으로 번영할 수 있었다. [[개항로]]로 일컬어지는 배다리~신포동 거리에 은행 점포가 유독 많았던 것[* 20세기 대한민국 빅5 은행으로 꼽히는 [[조상제한서|조흥은행-상업은행-제일은행-한일은행-서울신탁은행]] 중 서울신탁은행과 한일은행을 제외하고는 개항로 위에 모두 점포가 있었다. 특히 옛 상업은행 인천지점과 조흥은행 인천지점은 해방 전부터 같은 자리에서 영업을 해왔다. 물론 상업은행과 조흥은행 인천지점은 2000년대 초 나란히 흔적조차 없이 사라졌다.] 역시 이와 연관이 있다. 이 지역은 인천의 최서단에 있으면서도 인천의 관문 역할을 했는데 경인선의 종점인 [[인천역]]과 가장 많은 승객이 타고 내리던 [[동인천역]]은 서울과 부천에서 오는 승객으로 넘쳐났고 [[인천IC]] 인근 [[용현동 구 터미널|인천시외버스터미널]]은[* 터미널의 위치는 [[미추홀구|남구]] [[용현동(인천)|용현동]]이지만 횡단보도만 건너면 중구 신흥동이었고 터미널에서 내린 이들은 대부분 동인천 등 시가지로 향했다.] 전국 각지에서 몰려드는 사람들로 북적였다. 또한 바닷길로는 [[연안부두]]를 통해 수많은 사람들이 육지와 섬을 오갔다. 인천이 직할시로 승격한 직후인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인천시청이 중구에 있었고 여전히 시내의 모든 사람들이 각종 일처리를 위해 중구를 찾았으며 동인천역 일대는 인파로 늘 북적였기에 이 일대는 인천에서 가장 번화한 지역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1985년 [[남동구]] [[구월동]]에 인천시청 신청사가 문을 열고 이후 [[주안역]] 일대와 [[부평역]] 일대가 인천의 새로운 부도심으로 성장하면서 이 지역의 영광은 조금씩 저물기 시작한다. 1990년대 중반까지도 어느 정도 생기가 돌았던 인천 원도심은 도심 공동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1997년 외환 위기]] 봉착 직후 악몽처럼 터진 [[인현동 화재 참사]]의 여파를 이기지 못하고 추락하게 된다. 1995년만 해도 17만명에 달했던 이 지역 인구는 30여년 뒤에는 10만명이 되었다. 특히 학령 인구의 지속적 감소로 인해 [[인천여자고등학교]], [[인천여자중학교]], [[인천박문초등학교]] 등이 원도심을 떠나 [[연수구]]로 학교를 옮겼고 원도심의 남녀 명문 고교로 이름을 높이던 [[제물포고등학교]]와 [[인일여자고등학교]]도 나란히 원도심을 떠나고자 계획을 세웠다가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히며 원도심에 잔류했다. == 미디어 == * [[Men's Tear]] - [[Men's Tear/뮤직비디오#s-1.7|빈민가 소년]] 뮤직비디오 : 동구 송현동 * [[잔나비]] - [[주저하는 연인들을 위해]] 뮤직비디오 : 중구 도원동, 동구 금곡동 * [[박재정(가수)|박재정]] - [[박재정(가수)/음반 목록#s-2.10|좋았는데]] 뮤직비디오 : 동구 금곡동 (배다리헌책방거리), 중구 북성동2가 ([[인천 차이나타운]]) *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 : 중구 해안동1가 (인천아트플랫폼), 중구 송학동1가 (자유공원), 중구 전동, 동구 금곡동 (배다리헌책방거리) * [[태양의 후예]] : 중구 북성동1가 ([[월미도]]) * [[사냥의 시간]] : 중구 북성동1가 ([[월미도]]) * [[멜로가 체질]] : 중구 북성동1가 ([[월미도]]) * [[남자친구(드라마)|남자친구]] : 동구 화평동 * [[극한직업(영화)|극한직업]] : 동구 금곡동 (배다리헌책방거리)[* 영화의 주 무대가 되는 '''수원 왕갈비 통닭'''이 여기서 촬영되었다.] * [[공조(영화)|공조]] : 중구 북성동1가 ([[인천항]]) [[분류:중구(인천)]][[분류:동구(인천)]][[분류:대한민국의 지명]][[분류:인천 중구 원도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