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2 '''원라인'''}}} (2017)[br]''One-Lin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원라인 포스터.jpg|width=100%]]}}} || || {{{#ffffff '''장르'''}}} ||[[범죄물|범죄]], [[드라마]] || || {{{#ffffff '''감독 | 각본'''}}} ||양경모 || || {{{#ffffff '''제작'''}}} ||김유경 || || {{{#ffffff '''기획'''}}} || || || {{{#ffffff '''촬영'''}}} ||강국현 || || {{{#ffffff '''조명'''}}} ||정해지 || || {{{#ffffff '''편집'''}}} ||이진 || || {{{#ffffff '''동시녹음'''}}} ||은희수 || || {{{#ffffff '''음향'''}}} ||현지윤 || || {{{#ffffff '''미술'''}}} ||김유정 || || {{{#ffffff '''음악'''}}} ||이준오 || || {{{#ffffff '''출연'''}}} ||[[임시완]], [[진구]], [[박병은]], [[이동휘(배우)|이동휘]], [[김선영(배우)|김선영]] 외 || || {{{#ffffff '''제작사'''}}} ||미인픽쳐스, 곽픽쳐스 || || {{{#ffffff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 || {{{#ffffff '''제작 기간'''}}} ||[[2016년]] [[1월 30일]] ~ [[2016년]] [[5월 30일]] || || {{{#ffffff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2017년]] [[3월 29일]] || || {{{#ffffff '''상영 시간'''}}} ||132분 || || {{{#ffffff '''총 관객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435,100명 || || {{{#ffffff '''스트리밍'''}}}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8]]]] | [[wavve|[[파일:wavve 로고.svg|height=18]]]] || ||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상영 등급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5세이상_초기.svg|width=6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7년]] [[3월 29일]]에 개봉한 한국 영화. 대규모 대출 사기에 뛰어든 평범한 대학생 민재와 각기 다른 목표를 지닌 사기 전문가들의 이야기이다. 영화는 초반부 과거 [[2005년]] [[11월]] ~ [[2006년]] [[1월]], 중반부에는 [[2006년]] [[11월]]을 배경으로 한다. 후반부에는 [[2007년]] [[1월]]로 넘어간다. 영화의 만듦새에 비해 흥행 성적이 저조한 점이 아쉬운데 동시기에 개봉한 <미녀와 야수>, <공각기동대> 등의 외화에 밀린 부분이 크다. 피해자들에 대한 현실성 있는 묘사를 통해 현실 사회에 대한 비판을 한다. 작업 대출에 대한 현실성 또한 매우 뛰어난 편이다. 다만 소품, 배경, 패션 등의 시대적 배경 고증 묘사는 그닥 준수하지는 못한 편이다. 심지어 작중 시간대가 2000년대 중반인데 포스터에는 [[진구]]와 [[이동휘(배우)|이동휘]]가 스마트폰을 들고 있다.[* 실제 극중에선 스마트폰이 등장하지 않으며 2G/3G 피처폰이 등장한다. 여담으로 촬영을 위해 이 2G 휴대전화들을 실제 개통해서 통화가 가능하게 만들었다고.] 극에서 나오는 류의 대출 사기는 현 시대에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인데, 스토리상 영화 제작 시기인 [[2015년]] ~ [[2016년]]을 배경으로 했어도 괜찮았을 것을 왜 굳이 10년 전을 배경으로 삼았는지는 의문.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xY4sfGpF_A)]}}} || || {{{#ffffff '''▲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은행 돈, 필요하세요?''' '''우리 대본대로 하면 돈 나옵니다!''' 평범했던 대학생 ‘민재’는 모든 걸 속여 은행 돈을 빼내는, 일명 ‘작업 대출’계 전설의 베테랑 ‘장 과장’을 만나 업계의 샛별로 거듭난다. 환상의 케미를 자랑하며 돈이란 돈은 모두 쓸어 담던 5인의 신종 범죄 사기단! 그러나, 결코 서로를 믿을 수 없는 사기꾼들은 서서히 다른 속내를 드러내는데… '''이름 나이 직업 모든 것을 속여라!''' '''리얼 사기꾼들의 마지막 작업이 펼쳐진다!''' || == 등장인물 == ||
[[파일:원라인 임시완 스틸컷.jpg|width=100%]] || || {{{#ffffff '''이민재''' ([[임시완|{{{#ffffff 임시완}}}]] 扮)}}} || 일명 민 대리. ||
[[파일:2db0890a1f2563f78fd4f57353415001b38d416b.jpg|width=100%]] || || {{{#ffffff '''장석구''' ([[진구|{{{#ffffff 진구}}}]] 扮)}}} || >'''"그게 내 잡(job)이라서."''' >---- >'''"나는 평화적인 게 좋은데."''' 일명 장 팀장. ||
[[파일:a7dd2abb0d1a055f2ecfbed4ffc0b5a9e94848c8.jpg|width=100%]] || || {{{#ffffff '''강지원''' ([[박병은|{{{#ffffff 박병은}}}]] 扮)}}} || 본작의 [[진 최종 보스]]이자 [[메인 빌런]]. 일명 박 실장. ||
[[파일:784fa06f45a8241b2b2d12d77820aed7e8016cb0.jpg|width=100%]] || || {{{#ffffff '''김유송''' ([[이동휘(배우)|{{{#ffffff 이동휘}}}]] 扮)}}} || 본작의 서브 빌런이자 강지원 밑에서 일하는 일명 송 차장. ||
[[파일:e1b0d3cdadc36c6eb529da6eb68408f2fc8ce529.jpg|width=100%]] || || {{{#ffffff '''홍 대리''' ([[김선영(배우)|{{{#ffffff 김선영}}}]] 扮)}}} || ||
[[파일:6b9a77f489f5e2b7b89b4b8c48d1f5cbd3dd1e22.jpg|width=100%]] || || {{{#ffffff '''천주환''' ([[안세하|{{{#ffffff 안세하}}}]] 扮)}}} || ||
[[파일:8305cd2cb0c1645b9040cd21ec76035b5db62d10.jpg|width=100%]] || || {{{#ffffff '''원규철''' ([[조우진(배우)|{{{#ffffff 조우진}}}]] 扮)}}} || ||
[[파일:0bf98137d84e78dc8981d1cc94af8f51d1f1db2a.jpg|width=100%]] || || {{{#ffffff '''해선''' ([[왕지원|{{{#ffffff 왕지원}}}]] 扮)}}} || ||
[[파일:20200415_030453.jpg|width=100%]] || || {{{#ffffff '''기태''' ({{{#ffffff 박종환}}} 扮)}}} || 전직 건달. 이민재와 마찬가지로 장석구의 식구가 된 지는 얼마 되지 않은 듯 하다. ||
[[파일:20200705_082700.jpg|width=100%]] || || {{{#ffffff '''권혁진''' ([[박유환|{{{#ffffff 박유환}}}]] 扮)}}} || 이민재와 서로 형, 동생 사이인 것을 보면 아는 사이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성이 달라 친형제는 아닌 듯. ||
[[파일:20200415_032321.jpg|width=100%]] || || {{{#ffffff '''백 이사''' ([[김홍파|{{{#ffffff 김홍파}}}]] 扮)}}} || * '''영희''' ([[이일화]] 扮) 이민재의 엄마. 특별출연. == 촬영지 == [[https://brunch.co.kr/@locationmarket/86|영화 <원라인> 촬영지]] * 초반 이민재의 본가로 나온 [[경기도]] [[부천시]] 계수마을은 2021년에 부천 일루미스테이트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없어졌다. * 후반부 천주환이 장석구를 풀어주는 장소이자 차량용 엘리베이터가 있는 곳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위치한 스타우드 휘트니스클럽. == 평가 == ||
[[watcha|'''{{{#ffa0a0 왓챠}}}''']] || || '''[[https://watcha.net/mv/weonrain-2016/m2ob5o|사용자 평균 별점 3.2/5.0]]''' || ||<-3>
'''[[네이버 영화|{{{#ffffff 네이버 영화}}}]]''' || ||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42699|기자, 평론가 평점[br]5.71/10]]''' ||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42699|관람객 평점[br]8.68/10]]''' ||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42699|네티즌 평점[br]8.19/10]]''' || ||<-2>
'''[[다음 영화|{{{#adc900 다음 영화}}}]]''' || || '''[[http://movie.daum.net/moviedb/grade?movieId=100234&type=columnist|기자/평론가 평점 [br] 5.82 / 10]]''' || '''[[http://movie.daum.net/moviedb/grade?movieId=100234&type=netizen|네티즌 평점 [br] 7.48 / 10]]''' || ||
★★★☆ '''진부한 듯 참신하고 가벼운듯 울림 있는 적시타 한방''' - 한동원 ★★☆ '''성공 확률 떨어지는 뻔한 사기 행각을 봐야 하는 곤혹''' - 허남웅 ★★★ '''더디더라도 똑같은 수법만은 피하겠다는 야심어린 스타터''' - 정지혜 ★★★ '''사이즈와 속도에 연연하지 않고 제 갈 길 간다''' - 이주현 ★★ '''개연성에서 요행수로''' - [[박평식]] ★★★ '''장르적 컨벤션 위에 미세하게 깔린 개성''' - 김소희 || [[분류:한국의 범죄 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2017년 영화]][[분류:가치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