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18세기 == === [[조선]] === * [[권율]] === [[프랑스 왕국|프랑스]] === * [[질 드 레]] === [[합스부르크 제국|오스트리아]] === * [[레오폴트 요제프]] * [[사부아 공자 외젠]] * [[니콜라우스 요제프 에스테르하지]] * [[막시밀리안 율리시즈 폰 브라운]] * [[안드레아스 그라프 하디크 폰 푸타크]] * [[에른스트 기데온]] * [[에른스트 디트리히 폰 부르크홀츠하우젠]] * [[요제프 벤첼 1세]] * [[요제프 프리드리히]] * [[카를 알렉산더]] * [[카예탄 프란츠]] * [[크리스티안 모리츠]] * [[프란츠 모리츠 폰 라시]] === [[스페인]] ([[카스티야 연합 왕국|카스티야]]-[[아라곤 왕국|아라곤]]) === * [[곤살로 데 코르도바]] === [[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 *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야코프 폰 카이트]] == 19세기 == === [[영국]] === ==== [[나폴레옹 전쟁]] 시기 ==== * [[아서 웰즐리]] === [[프랑스]] === [include(틀:나폴레옹/26인 원수)] * [[장 란]]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조아킴 뮈라]]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앙드레 마세나]]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장 바티스트 베시에르]]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에두아르 모르티에]]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루이 니콜라 다부]]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니콜라 장드듀 술트]]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미셸 네]]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장 바티스트 주르당]]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장 바티스트 베르나도트]]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피에르 오주로]]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프랑수아 조제프 르페브르]]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프랑수아 크리스토프 켈레르만]]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기욤 마리 안 브륀]]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도미니크 카트린 드 페리뇽]]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장 마티유 필리베르 세뤼리에]]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아드리안 쟈노 드 몽세]] 1804년 제국 원수 임명 * [[클로드 빅토르]] 1807년 제국 원수 임명 * [[오귀스트 마르몽]] 1809년 제국 원수 임명 * [[자크 마크도날]] 1809년 제국 원수 임명 * [[니콜라 우디노]] 1809년 제국 원수 임명 * [[루이 가브리엘 쉬셰]] 1811년 제국 원수 임명 * [[로랑 구비옹 생 시르]] 1812년 제국 원수 임명 * [[유제프 안토니 포니아토프스키]] 1813년 제국 원수 임명 * [[에마뉘엘 그루시]] 1815년 제국 원수 임명 === [[독일]] === ==== [[프로이센]] ==== ===== 나폴레옹 전쟁 시기 ===== * [[게브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 ==== [[독일 제국]] ==== * [[헬무트 폰 몰트케]] * [[프리드리히 폰 브랑겔]] * [[알브레히트 폰 론]] * [[에버하르트 헤르바르트 폰 비틴펠트]] * [[카를 폰 슈타인메츠]] === [[러시아]] === ==== 나폴레옹 전쟁 시기 ==== * [[미하일 일라리오노비치 골레니시체프 쿠투조프]] * 미하일 보그다노비치 바클레이 데 톨리 === [[보르본 왕조|스페인 왕국]] === ==== 나폴레옹 전쟁 시기 ==== * [[페드로 카로]] === [[일본]] === * [[사이고 다카모리]] 후대와 달리 이 사람은 계급으로서 원수이기도 했다. 사실상 일본에서 덴노를 빼고 유일하게 대장 위의 계급에 있어본 격이다. 다만 1873년에 일본에서 계급으로서 원수는 폐지되어 대장이 되었다. * [[야마가타 아리토모]] * [[오야마 이와오]] === [[미국]] === ==== [[미국 내전]] 직후 ==== * [[율리시스 S. 그랜트]] 1866년 임명 임명 당시 별을 4개만 받았으나, 이는 공화국은 원수가 있을 수 없다는 당대 미국식 사상이 반영된 것으로, 대장이 아닌 원수로 보아야 옳다. * [[윌리엄 테쿰세 셔먼]] 1869년 임명 * [[https://en.wikipedia.org/wiki/Philip_Sheridan|필립 셰리든]] 1888년 임명 == 20세기 == ===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 ==== [[미국]] ==== * [[조지 듀이]] * [[존 조지프 퍼싱]] ==== [[영국]] ==== ===== 제1차 세계대전 ===== * 존 프렌치 * [[더글러스 헤이그]] * 허버트 키치너 * [[존 젤리코]] * [[데이비드 비티]] * 휴 트렌차드 ==== [[프랑스]] ==== ===== 제1차 세계대전 ===== * [[조제프 조프르]] * [[페르디낭 포슈]] * [[필리프 페탱]] ==== [[독일]] ==== ===== 제1차 세계대전 ===== *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 * [[파울 폰 힌덴부르크]] * [[헤르만 폰 아이어혼]]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 [[프리드리히 폰 외스터라이히테셴 대공]] * 오이겐 폰 외스터라이히테셴 대공 * [[카를 1세]] * [[프란츠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 헤르만 쾨베시 폰 쾨베셰사 * 알렉산더 폰 크로바틴 * 프란츠 로어 폰 덴타 * [[에두아르트 폰 뵘에르몰리]] * [[스베토자르 보로예비치]] * 요세프 아우구스트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 ==== [[소련]] ==== [[소련군|노농적군]]은 1935년도에 [[군사 계급]] 제도를 부활시키면서 투하쳅스키, 예고로프, 블류헤르, 보로실로프, 부됸니를 처음으로 원수직에 올렸다. 그중 투하쳅스키, 예고로프, 블류헤르는 2차 대전 이전에 숙청당한다.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 [[세묜 부됸니]] * [[미하일 투하쳅스키]] * [[알렉산드르 예고로프]] * [[바실리 블류헤르]] ==== [[일본]] ==== * [[하세가와 요시미치]] * [[데라우치 마사타케]] // 육군 원수 이하 * [[도고 헤이하치로]] // 해군 원수 이하 ==== [[한국]] ==== [[대한제국]] 당시 대내외적 위협에 대응하여 황권을 강화할 목적으로 [[원수부(대한제국)|원수부]]를 설치하면서 수관급 계급이 만들어졌다. 따라서 일반적인 군사 계급은 아니었다. * [[고종(대한제국)|고종]] 군통수권자로서 대원수였다. * [[순종(대한제국)|순종]] 황태자 당시 원수로서 명목상 원수부의 수장이었다. ==== [[이탈리아]] ==== * 파올로 타온 디 레벨 ==== [[터키]] ==== *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 페브치 차크마크 ==== [[핀란드]] ==== *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하임]] === 제2차 세계 대전 중 === 제2차 세계 대전은 비록 짧은 시기이기는 했지만, 가장 많은 원수가 배출된 시기이기도 하다. 여기서는 1939년 9월 1일에서 1945년 8월 15일 시기에 임명되었거나, 그 이전에 임명되었지만 현역으로 활동한 인물들만 담도록 하겠다. ==== [[독일]] ==== [include(틀:독일 국방군/원수)] 독일 육군은 [[총사령관|총사령부]]와 [[참모부|참모본부]]가 별도로 존재하다보니 "독일군에는 원수들이 수두룩했는데 [[참모총장]]은 겨우 [[상급대장]]이냐?"라는 오해가 생기고는 하는데, 독일 육군 참모본부는 육군 총사령부의 하위조직으로, 참모총장은 참모본부의 장으로서 야전군 작전을 기획하고 지시하는 업무만을 담당한다. * [[독일 국방군/원수|독일군 원수 목록과 약력]] ==== [[미국]] ==== ===== [[미합중국 육군]] ===== * [[더글러스 맥아더]] * [[조지 C. 마셜]]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헨리 아놀드]](육군항공) ===== [[미합중국 해군]] ===== * [[윌리엄 리히]] * [[어니스트 킹]] * [[체스터 니미츠]] ==== [[소련]] ==== [include(틀:소련군/원수)] [[소련군]]의 원수는 연방원수(Маршал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해군원수(Адмирал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병과상원수(Главный Маршал рода войск), 병과원수(Маршал рода войск) 네 종류가 있었는데, 타국의 원수에 해당하는 계급은 연방원수와 해군원수 뿐이었다. 병과상원수, 병과원수는 육군의 기갑, 포병, 공병, 통신 병과와 공군에만 존재하는 대장과 연방원수 사이의 계급이었다. 이 두 계급은 서방식으로 직접 대입할 수 있는 계급은 아니라 번역에 애로사항이 꽃피는데, 굳이 따지자면 [[조선인민군 차수]]에 해당한다. 다만, 병과원수나 병과상원수는 서구권 기준 [[상급대장]] 취급받는 대장보다 의전서열상 높기에 [[수관급 장교]]로 분류한다. 공군의 경우 육군을 보조하는 군종이라는 소련 특유의 군 분류 탓에[* 이런 구조로 말미암아 소련을 포함한 공산권 국가들은 영공 방위 임무만 집중적으로 맡는 [[방공군]]이라는 별도의 군종을 창설한다.] 연방원수까지 진급한 장성은 한 명도 없으며, 항공 상원수가 진급 한계였다. 비록 이론상 항공상원수도 연방원수로 진급할 수는 있었지만, 그렇게 되면 '''[[조선인민군|강제로 육군으로 전군되었다.]]''' ===== 연방원수 ===== * [[세묜 티모셴코]] * [[그리고리 쿨리크]] * [[보리스 샤포시니코프]] * [[게오르기 주코프]] *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 [[이오시프 스탈린]] * [[이반 코네프]] * [[레오니트 고보로프]] *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 [[로디온 말리놉스키]] * [[표도르 톨부힌]] * [[키릴 메레츠코프]] * ~~[[라브렌티 베리야]]~~ 1953년 스탈린 사후 처형당하고 난 뒤 계급까지 박탈되었다. ===== 병과상원수 ===== 포병, 항공, 전차병, 공병, 통신병으로 분류되며, 병과상원수보다 한 단계 위인 계급이며 연방원수보다는 낮다. * [[니콜라이 보로노프]][*포] * [[알렉산드르 노비코프]][*항] * [[알렉산드르 골로바노프]][*항] ===== 병과원수 ===== 대장과 동급이나 의전서열상 대장보다 살짝 더 높은 계급이다. 해당 병과를 지닌 상장들은 대장을 거치지 않고 바로 해당 계급으로 올라간다. 이들 병과 외의 상장들은 당연히 대장으로 올라간다. * [[니콜라이 야코블레프]][*포 포병][*방 방공군] * [[미하일 치스티야코프]][*포] * [[표도르 아스타호프]][*항 항공] * [[그리고리 보로젠킨]][*항] * [[니콜라이 시크립코]][*항] * [[표도르 팔라레예프]][*항] * [[세르게이 후댜코프]][*항] * [[세묜 자보론코프]][*항] * [[야코프 페도렌코]][*차 전차병] * [[세묜 보그다노프]][*차] * [[파벨 리발코]][*차] * [[이반 페레십킨]][*통 통신병] * [[미하일 보로비요프]][*공 공병] ==== [[영국]] ==== * [[조지 6세]] 영국 국왕은 즉위할 시 명예 계급으로 원수 계급이 부여된다. * 윌리엄 에드먼드 아이언사이드 // 육군 원수 * 존 그리어 딜 // 육군 원수 * 존 고트 //육군 원수 * 아치볼드 퍼시벌 웨이벌 // 육군 원수 * 앨런 프랜시스 브룩 // 육군 원수 * 해럴드 알렉산더 // 육군 원수 * [[버나드 로 몽고메리]] * 헨리 마이트랜드 윌슨 // 육군 원수 * 시릴 뉴월 // 공군 원수 * 찰스 포털 // 공군 원수 * 로저 케예스 // 해군 원수 * 더들리 파운드 // 해군 원수 * 찰스 모턴 포브스 // 해군 원수 * 앤드루 브라운 커닝엄 // 해군 원수 * 존 크로닌 토비 // 해군 원수 * 제임스 서머빌 // 해군 원수 * 월리엄 보일 // 해군 원수 ==== [[이탈리아]] ====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제국 원수 * [[베니토 무솔리니]] * 루이지 카도르나 // 육군 원수 * 아르만도 디아즈 // 육군 원수 * [[아오스타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 육군 원수 * 엔리코 카빌리아 // 육군 원수 * 가에타노 가르디오 // 육군 원수 * 굴리엘모 페코리 기랄디 // 육군 원수 * [[피에트로 바돌리오]] * [[에밀리오 데 보노]] * [[로돌포 그라치아니]] * 우고 카발레로 // 육군 원수 * 에토레 바스티코 // 육군 원수 * [[움베르토 2세]] * [[조반니 메세]] * [[이탈로 발보]] ==== [[일본]] ==== 일본에서의 원수는 다른 나라와 달리 대장 위의 별도 계급이 아니라 대장 중 공적이 큰 자에게 수여하는 명예 칭호였다. 따라서 원수가 되어도 군 계급은 여전히 대장으로 원수 육군대장, 원수 해군대장으로 불린다. 물론 일본도 초기에는 계급으로서 원수를 두었다. 다만 훗날 규정을 개정했다. * [[간인노미야 고토히토 친왕]] * [[스기야마 하지메]] * 하타 슌로쿠 // 육군 원수 * 데라우치 히사이치 // 육군 원수 *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 * [[야마모토 이소로쿠]](사후 추서) * [[나가노 오사미]] * 고가 미네이치(사후 추서) // 해군 원수 ==== 그 외 국가들 ==== * [[프랑스]]: [[프랑수아 다를랑]] * [[남아프리카 연방]]: [[얀 스뮈츠]] * [[루마니아]]: [[이온 안토네스쿠]] * [[몽골]]: [[허를러깅 처이발상]]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 ==== [[미국]] ==== * [[헨리 아놀드]] 아놀드는 1944년에 이미 육군항공사령관으로서 공적을 인정받아 육군 원수였지만, 1947년 육군 항공군이 [[미합중국 공군]]으로 독립하였으므로, 그 역시 1949년에 새로이 공군 원수 계급장을 받았다. 미군 장성 중에서 유일한 공군 원수이자 2개 병과의 원수를 지닌 유일한 인물이다. * [[오마 브래들리]] * [[윌리엄 홀시]] ==== [[영국]] ==== * [[루이 마운트배튼]] * [[필립 마운트배튼]] * [[찰스 3세]] * [[클로드 오킨렉]] * 아서 테더 * [[에드워드 조지 니콜라스 폴 패트릭]] * 윌리엄 숄토 더글라스 * [[아서 해리스]] ==== [[소련]] ==== ===== 연방원수 =====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이것도 최고지도자에 오른 다음 억지로 원수별을 단 것이라서 후에 비웃음을 받았다. 그가 2차 대전 이후 [[정치장교]]로 제대할 때의 계급은 소장이었다.[* 소련군에서는 준장이 없으므로 일성장군이다.] 그의 정치장교 직속상관이었던 [[흐루쇼프]]는 대장. * [[바실리 추이코프]] * [[안드레이 예료멘코]] * [[바실리 소콜롭스키]] * ~~[[니콜라이 불가닌]]~~ [[소련 장관회의]] 의장을[* 타국 총리에 해당한다.] 지낸 정치가인데, 원수계급을 받았지만 1958년 강등당했다. * [[이반 바그라먄]] [[아르메니아]]인이다. 아르메니아에서는 아직도 명장으로 추앙하고 있다. * [[안드레이 그레치코]] * [[마트베이 자하로프]] * [[필리프 골리코프]] [[GRU]] 사령관을 지냈다. * [[이반 야쿠봅스키]] * [[표트르 코셰보이]] [[카자크]]족이다. *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1976년~1984년 소련 국방장관을 역임. * [[빅토르 쿨리코프]] * [[니콜라이 오가르코프]] 소련군 [[총참모장]] 재임 중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이 터졌다. * [[세르게이 소콜로프]] * [[세르게이 아흐로메예프]] * [[세묜 쿠르콧킨]] * [[바실리 페트로프]] * [[드미트리 야조프]] 1991년 [[8월 쿠데타]] 때 쿠데타 주역 중 하나였다. *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 [[세르게이 비류조프]][*로 전략로켓군] * [[키릴 모스칼렌코]][*방] * [[니콜라이 크릴로프]][*로] * [[파벨 바티츠키]][*방] ===== 병과원수 ===== * [[바실리 카자코프]][*포] * [[콘스탄틴 카자코프]][*포] * [[유리 바자노프]][*포] * [[파벨 쿨레쇼프]][*포] * [[게오르기 오딘초프]][*포] * [[게오르기 페레델스키]][*포] * [[에핌 도이추크]][*포] * [[블라디미르 미할킨]][*포] * [[미하일 카투코프]][*차] * [[파벨 폴루보야로프]][*차] * [[올레그 로시크]][*차] * [[알렉세이 레오노프(군인)|알렉세이 레오노프]][*통] * [[안드레이 벨로프]][*통] * [[니콜라이 알렉세예프]][*통] * [[알렉세이 프로슐리야코프]][*공] * [[빅토르 하르첸코]][*공] * [[아르칠 겔로바니]][*공] * [[세르게이 아가노프]][*공] * [[니콜라이 셰스토팔로프]][*공] * [[세르게이 루덴코]][*항] * [[블라디미르 수데츠]][*항] * [[스테판 크라솝스키]][*항] * [[예브게니 사비츠키]][*항] * [[필리프 아갈초프]][*항] * [[예브게니 로기노프]][*항] * [[이반 보르조프]][*항] * [[알렉산드르 포크리슈킨]][*항] * [[게오르기 지민]][*항] * [[알렉산드르 예피모프]][*항] * [[이반 프스티고]][*항] * [[알렉산드르 실란티예프]][*항] * [[그리고리 스코리코프]][*항] * [[니콜라이 스코모로호프]][*항] * [[표트르 키르사노프]][*항] * [[아나톨리 콘스탄티노프]][*항] * [[이반 코제두브]][*항] * [[알렉산드르 볼코프]][*항] * [[예브게니 샤포시니코프]][*항] ===== 상원수 ===== * [[미트로판 네델린]][*포] * ~~[[세르게이 바렌초프]]~~[*포] 1953년에 계급을 박탈당한다. * [[블라디미르 톨룹코]][*포] * [[파벨 로트미스트로프]][*차] * [[아마자습 바바자니안]][*차] * [[파벨 지가레프]][*항] * [[콘스탄틴 베르쉬닌]][*항] * [[파벨 쿠타호프]][*항] * [[보리스 부가예프]][*항] * [[알렉산드르 콜두노프]][*항] ===== 해군 원수 ===== 소련군이 지상전 위주의 군대라서 그런지 위의 원수들과는 달리 해군에선 원수를 단 사람이 고작 ''' 다음 세 사람 뿐이다.''' *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 [[이반 이사코프]] * [[세르게이 고르시코프]] ==== [[러시아 연방]] ==== * [[이고르 세르게예프(군인)|이고르 세르게예프]] ==== [[프랑스]] ==== * 알퐁스 쥐앵 * 필리프 르클레르 * 장 드 라트르 드 타시니 * 마리 피에르 쾨니흐 ==== [[중국]] ==== 중국의 경우는 1955년 제정되었다가 1964년 폐지했다. * [[주더]] * [[펑더화이]] * [[린뱌오]] * [[류보청]] * [[허룽(군인)|허룽]] * [[천이]] * [[뤄룽환]] * [[쉬샹첸]] * [[예젠잉]] * [[녜룽전]] ==== [[북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선인민군 원수)] ==== 그 외 국가들 ==== * [[유고슬라비아]]: [[요시프 브로즈 티토]] * [[가나]]: [[크와메 은크루마]] * [[그리스]]: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 * [[브라질]]: 발데마르 레비 카르도소, 에두아르두 고메스 * [[이라크]]: [[사담 후세인]] * [[파키스탄]]: [[아유브 칸]] * [[예멘]]: [[알리 압둘라 살레]] * [[요르단]]: [[후세인 1세]], [[압둘라 2세]] * [[우간다]]: [[이디 아민]] * [[이집트]]: 압델 하킴 아메르, 아흐메드 이스마일 알리, 아흐메드 바다위, 모하마드 압델 가니 엘가마시, [[모하마드 탄타위]] * [[인도]]: 샘 마넥셔, 코단데라 M. 카리아파 * [[인도네시아]]: [[수하르토]] * [[자이르]]: [[모부투 세세 세코]] * [[칠레]]: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장 베델 보카사]] * [[캄보디아|크메르]]: [[론 놀]] * [[크로아티아]]: [[프라뇨 투지만]] * [[태국]]: 핀 춘하반, 사릿 타나랏, 타놈 끼띠카쫀, 쁘라팟 차루사티안 * [[포르투갈]]: 안토니우 오스카르 카르모나, 프란시스쿠 로페스, 안토니우 데 스피놀라[*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집권시절 대통령들이다.] * [[호주]]: 토머스 블레이미 == 21세기 == 큰 전쟁이 없는 시기이므로, 몇몇 사람을 제외하고는 거의 국가원수나 그것을 자칭했던 자들이며, 혹은 정부에서 군벌 두목을 회유하느라 원수를 준 경우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 * [[벨라루스]]: [[알렉산드르 루카셴코]](2001)@ * [[북한]]: [[리병철]], [[박정천]](2020) * [[리비아]]: [[칼리파 하프타르]] (2016)[[http://www.libyanexpress.com/tobruks-hor-promotes-khalifa-haftar-to-a-marshal-following-capture-of-oil-ports/|#]]@ * [[시리아]]: [[바샤르 알 아사드]]@ * [[아프가니스탄]]: 모하메드 파힘(2004)@, [[압둘 라시드 도스툼]](2019) * [[영국]]: 찰스 3세, 찰스 거스리(2012), 마이클 보이스, 조크 스터럽(2014) 이 세 명은 각 군의 참모총장이다. 거스리 육군대장은 2012년에, 나머지 둘은 2014년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생일을 맞아 동시에 진급했다. * [[요르단]]: 사드 카이르(2005) * [[이집트]]: [[압델 파타 엘 시시]](2014)@ * [[인도]]: 아르얀 싱(2002) * [[스리랑카]]: 사라스 폰세카(2015)@ * [[캄보디아]]: [[헹 삼린]]@, 체아 심, [[훈 센]](2009)@ * [[미얀마]]: [[탄 쉐]]@, [[민 아웅 흘라잉]]@ 공식명칭은 '''미얀마군 육군 [[상급대장]]'''이다. 영어로는 Senior general로 옮겨진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원수(계급), version=1718, paragraph=6)] [[분류:원수(계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