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18로 제후)] 袁遺 ?~192년 [목차] == 개요 == [[후한]] 말의 군벌이며 [[자(이름)|자]]는 백업(伯業)으로 예주 여남군 여양현 사람. 어머니는 [[하기(삼국지)|하기]]의 종고모. [[원소(삼국지)|원소]]와 [[원술]]의 사촌형으로 <하기전>에서는 원술의 형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일본의 중국사학자 야노 치카라(矢野主税)는 원소의 아버지 원성이나 원술의 아버지 [[원봉(후한)|원봉]]의 형인 원평의 아들이라고 기록되었지만 근거는 없다. == [[삼국지(정사)|정사]] == 장안령을 역임하다가 하간의 [[장초(삼국지)|장초]]가 태위인 [[주준]]에게 추천했다. 또한 산양태수를 역임할 때 반동탁 의용군에 가담했으며, 이후 양주자사인 [[진온]]이 사망하자 [[원소(삼국지)|원소]]에게 양주자사로 임명되었지만 [[원술]]의 공격을 받아 패국으로 달아나다가 군사들에게 살해되었다. [[조비]]가 지은 전론에 남겨진 [[조조]]의 말에 따르면 장대하면서도 능히 학문에 부지런한 자는 나(조조)와 원백업(원유) 뿐이다라고 했다고 한다. == [[삼국지연의|연의]] == 동탁 토벌을 위해 모은 18로 제후 중 한명으로 호로관전에서 [[왕광]]을 교모와 함께 구출하는 장면이 있다. == 평가 == [[장초(삼국지)|장초]], [[조조]]에게 높은 학문 수준을 가졌다고 평가받은 점을 보면 당대에 뛰어난 문인이었던 모양. 원소와 등진 원씨 가문 인사들 중 유일하게 원소와 연계해 원술을 견제했지만, 당시 조조와 원소 연합군에게 밀려서 구강군으로 도망친 원술에게 져서 죽음에 이른 점을 보면 군재가 특출났던 무장으로 보기는 어려울 듯 싶다. == 미디어 믹스 ==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 [[파일:袁遺.jpg]] || [[파일:external/kongming.net/211-Yuan-Yi.jpg]] || || 100만인의 삼국지 || 삼국지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11.jpg|width=400]] || || 삼국지 13, 14 || [[삼국지 7]]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그냥 B급 문관으로 취급된다. [[유대(삼국지 시리즈)|유대]]의 세력에 속해 있는데, 사실 역사상으로 알려진 부하가 하나도 없어서 군주로 추가하기에도 애매하고 그리고 무엇보다 연주자사라는 확실한 타이틀을 가진 유대를 제외하면 연주의 나머지 군웅들은 유대와 대립했던 [[교모(삼국지 시리즈)|교모]]도 7편 이후 유대의 부하로 설정될 정도로 배치가 꼬여 있다. 그러나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원소(삼국지 시리즈)|원소]] 일족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특히 장수제인 삼국지 10이 그렇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7]]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54/지력 70/정치 73/매력 62. 특기는 첩보, 허보, 고무, 단련. 고만고만한 장수들만 있는 유대군에서 군사 노릇하기에 적합하지만, 192년 PK 추가 시나리오에선 지력이 더 높은 [[포신(삼국지 시리즈)|포신]]에게 밀린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56/지력 70/정치 76/매력 66. 전법은 난격 2, 교란 3, 열화 3, 공성 2. 특기는 지략, 상재, 발명, 허보. 특기나 전법 면에서 유대군의 최고 에이스(?)라고 할 만하다. 정작 컴퓨터는 무력이 제일 높다고 난격 2만 있는 [[왕충(삼국지)|왕충]]을 반[[동탁(삼국지 시리즈)|동탁]]연합군에 주로 내보내지만.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1/무력 43/지력 71/정치력 76. 병법으로는 분전, 투석, '''교사,''' 고무를 가지고 있다. 교사를 가지고 있어서 쓸 만하며 이 정도면 A급은 아니어도 B급 문관은 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7/무력 38/지력 73/정치력 76/매력 69로 특기는 농업, 기술, 징병, 고무, 유인, 반박, 군사, 명사. 총 10개다. 그저 그렇지만 의외로 대접이 좋다. 통솔력이 57로 바닥까진 아닌데 군사 특기를 줬기 때문에 전장에서 다른 쓸모 있는 장수만 있다면 원격 조종으로 굴릴 수 있고, 내정쪽으로는 농업, 기술 특기가 유용하다. 유대군에 집어 넣었기 때문에 밸런스를 위해 군사 특기를 준 듯하다. [[삼국지 11]]에서는 통솔력 56/무력 40/지력 73/정치 76/매력 70에 특기는 지도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칙서를 펼쳐보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56/무력 40/지력 73/정치력 76. 특기는 농업 2, 문화 3, 교섭 1. 전수특기는 문화로 전법은 화공계. 음성은 정중. 전법이 꽤나 쓸만하기 때문에 유대군으로 한다면 전장에 반드시 나가야 한다.[* [[정욱(삼국지 시리즈)|정욱]]도 허보라는 쓸만한 전법을 가지고 있지만 유대하고 관계가 -100이라 등용이 안 되기 때문에 원유 본인이 필수다.] [[원술(삼국지 시리즈)|원술]]의 유일한 인연무장으로 등장하는데 당연히 1단계 형제. 정사에서 원술의 공격을 받고 도망치다가 군사들에게 살해되었는데 어째선지 비자연사 판정이 아닌 자연사 판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정중 음성 무장 중 생년이 가장 이른 인물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7, 무력 39, 지력 73, 정치 76, 매력 7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한 대신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명성, 문화, 우유, 주의는 예교, 정책은 태학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제사,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동탁(삼국지 시리즈)|동탁]]이다. === [[토탈 워: 삼국]] === 천명 DLC에서 마이너 세력으로 등장한다. 136년생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타입은 모사. 장안령을 지낸 경력을 고려해서인지 장안 지역을 점거하고 있으며, 휘하 전설적인 인물로 [[가후]]가 있다.[* 삼탈워에서 원소, 원술이 각각 154년, 156년생인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나이가 많게 설정되었다.] 군웅할거 캠페인에서는 산양 지역이 구현되어 있지 않은데다가, 장안 지역은 동탁이 점거하고 있어서 개별 세력으로 출현하지는 않는다. === [[화봉요원]] === 호로관으로 출병한 [[여포]]에게 맞서 싸울 때 병사들이 도망치라고 했는데, 도망치면 천하 사람들의 멸시와 비웃음 거리가 된다고 말하면서 여포와 싸우다가 창에 찔려 죽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원유,version=43)] [[분류:후한의 군벌]][[분류:192년 사망]][[분류:저우커우시 출신 인물]][[분류:살해된 인물]][[분류:여남 원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