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미국 함선)] ||||[[파일:Lewis-B-Puller-class ESB-5.png|width=100%]]|| |||| {{{#white '''ESB-5 USS 미겔 키스(Miguel Keith)'''}}} || [목차] == 개요 == '''원정이동기지선(Expeditionary Mobile Base, ESB)''' 차량 및 장비 등 대규모 물류 이동 능력을 갖춘, 미 해군에 4척밖에 없는 특수선박이다. [[미합중국 해군]]은 2015년 9월 4일부터 원정 지원을 위한 새로운 함정에 "E"를 사용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합동 고속 수송선 (JHSV)은 EPF(Expeditionary Fast Transport)로 변경됐고, 몬트포드 포인트급(Montford Point class) 등 이동착륙기지(Mobile Landing Platform)는 원정 환적 도크(Expeditionary Transfer Dock)로 분류되었다. 부유식 해상기지(Afloat Forward Staging Base)는 원정이동기지(Expeditionary Mobile Base)로 분류되었다. == 구조와 담당 임무, 배치 현황 == 원정이동기지선(EMB : Expeditionary Mobile Base)은 쉽게 말해 '''비행갑판을 가진 대형 화물선'''이다. 직접 해안가로 접근하여 장비와 물자들을 하역시키는 [[상륙함]]과는 달리 목표 지역에 항구가 없거나 상륙함이 정박하기에는 항구가 작을 경우, 해상사전배치선단이 적재한 물자를 받은 뒤 [[상륙작전]]에 투입될 [[전략물자]]들을 [[군수지원함|수송하는 선단]]의 모선으로 활동하면서 [[공기부양정]]이나 비행갑판에 있는 [[헬리콥터]] 등을 이용하여 목표 지역에 상륙할 [[미합중국 육군]]과 [[미합중국 해병대]]의 기동전력과 전략물자 등을 해상에서 상륙지로 빠르게 배송해 상륙작전에 투입된 군대가 목표 지역을 신속하고 원활히 상륙·점령하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022년 기준으로 '''[[루이스 풀러|루이스 B. 풀러]]'''([[https://en.wikipedia.org/wiki/USS_Lewis_B._Puller_(ESB-3)|USS Lewis B. Puller ESB-3]])와 '''[[https://en.wikipedia.org/wiki/Hershel_W._Williams|허셜 "우디" 윌리엄스]]'''([[https://en.wikipedia.org/wiki/USS_Hershel_%22Woody%22_Williams|USS Hershel "Woody" Williams ESB-4]]), '''[[https://en.wikipedia.org/wiki/Miguel_Keith|미겔 키스]]'''([[https://en.wikipedia.org/wiki/USS_Miguel_Keith|USS Miguel Keith ESB-5]]), '''[[https://en.wikipedia.org/wiki/John_L._Canley|존 L. 캔리]]'''([[https://en.wikipedia.org/wiki/USS_John_L._Canley|USS John L. Canley ESB-6]]) 4척이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시에 있는 [[제너럴 다이내믹스]] 산하의 [[NASSCO]] 조선소에서 건조 완료되어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고 2019년 8월부터 5번째 함인 '''[[https://en.wikipedia.org/wiki/Robert_E._Simanek|로버트 E. 시마넥]]'''([[https://en.wikipedia.org/wiki/USS_Robert_E._Simanek|USS Robert E. Simanek ESB-7]])이 조선소에서 건조 중이다.[* 공교롭게도 [[미합중국 해군]]의 함임에도 불구하고 함들의 이름에는 [[미합중국 해병대]]에서 복무한 군인들의 이름이 수여되었으며, 첫 번째 함인 루이스 B. 풀러를 제외하면 나머지 함들에는 [[미합중국 해병대]]에서의 활약으로 [[명예 훈장]]을 받은 군인들의 이름이 들어가 있다.] [[분류:미군/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