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한 황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10E0E 0%, #A11 20%, #A11 80%, #810E0E)" {{{#ece5b6 '''효원황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한 황태자)] ---- [include(틀:한서)] ---- [include(틀:전한기)]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10E0E 0%, #A11 20%, #A11 80%, #810E0E); color: #ece5b6" '''한 제11대 황제[br]{{{+1 효원황제 | 孝元皇帝}}}'''}}}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wonje.jpg|width=100%]]}}} || ||<|2> '''출생''' ||[[기원전 75년|{{{-2 기원전}}} 75년]] || ||[[전한]] [[시안시|장안]] 미앙궁[br](現 [[산시성(섬서성)|산시성]] [[시안시]]) || ||<|2> '''즉위''' ||[[기원전 48년|{{{-2 기원전}}} 48년]] [[1월 10일]] || ||[[전한]] [[시안시|장안]] 미앙궁[br](現 [[산시성(섬서성)|산시성]] [[시안시]]) || ||<|2> '''사망''' ||[[기원전 33년|{{{-2 기원전}}} 33년]] [[7월 8일]] (향년 42세) || ||[[전한]] [[시안시|장안]] 미앙궁[br](現 [[산시성(섬서성)|산시성]] [[시안시]]) || || '''능묘''' ||위릉(渭陵) || ||<|4> '''재위기간''' ||'''{{{#ece5b6 전한의 황태자}}}''' || ||[[기원전 67년|{{{-2 기원전}}} 67년]][br]~ [[기원전 48년|{{{-2 기원전}}} 48년]] [[1월 10일]] || ||'''{{{#ece5b6 전한의 황제}}}''' || ||[[기원전 48년|{{{-2 기원전}}} 48년]] [[1월 10일]][br]~ [[기원전 33년|{{{-2 기원전}}} 33년]] [[7월 8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씨''' ||[[유(성씨)|유(劉)]] || || '''휘''' ||석(奭) || || '''부모''' ||부황 [[선제(전한)|중종]][br]모후 [[공애황후 허씨|공애황후]] || || '''형제자매''' ||6남 2녀 중 장남 || || '''배우자''' ||[[효원황후 왕씨|효원황후]] || || '''자녀''' ||3남 3녀 || || '''묘호''' ||--[[고종]](高宗)--[*취소 후한 때 폐지되었다.] || || '''시호''' ||'''효원황제(孝元皇帝)''' || || '''연호''' ||초원(初元, [[기원전 48년|{{{-2 기원전}}} 48년]] ~ [[기원전 44년|{{{-2 기원전}}} 44년]])[br]영광(永光, [[기원전 43년|{{{-2 기원전}}} 43년]] ~ [[기원전 39년|{{{-2 기원전}}} 39년]])[br]건소(建昭, [[기원전 38년|{{{-2 기원전}}} 38년]] ~ [[기원전 34년|{{{-2 기원전}}} 34년]])[br]경녕(竟寧, [[기원전 33년|{{{-2 기원전}}} 33년]]) || }}}}}}}}} || [목차] [clearfix] == 소개 == [[전한]]의 제11대 황제. 묘호는 고종(高宗)이다. 효원황제(孝元皇帝). [[선제(전한)|선제]]의 장남으로 이름은 유석(劉奭). 선제는 황태자 석이 지나치게 감상적인 성격과 [[유교]]에 심취해 있다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했으나, 그가 사랑하는 [[공애황후 허씨|공애황후]]의 아들인 데다 자신의 세 번째 황후인 [[효선황후 왕씨|효선황후]]와 중상시 허가의 후원을 받았고, 나중에 [[성제(전한)|후계자가 될 아들]]을 뒀다는 것 때문에 폐위하진 않았다. == 생애 == 즉위 직후에 학사인 소망지(蕭望之) 등 유생을 등용했지만, 이들이 선제 때부터 측근으로서 중용되고 있던 환관인 홍공(弘恭), 석현(石顯)과 대립해 실각한 뒤로는 환관 중심의 정치가 계속되었다. 세금을 경감하고, 어려운 형법을 개정하고, 대규모 연회를 금지하고, 제사부터 별장, 황실 소유지 등의 경비를 절약했지만, 재정은 근본적으로 나아지지 않았다. 도리어 전매 제도를 폐지했다가 재정만 더 망가졌다.[* 사실 어쩔 수 없는 것이 그의 증조부인 무제가 워낙 전쟁과 토목 공사, 사치를 많이 벌이다가 국고를 탕진하여 재정을 망쳤기 때문이다. 원제의 아버지 선제도 무제가 망친 재정 문제를 해결하려고 많은 애를 썼지만 완화시키는 수준에 그쳤지 해결하는 데는 실패했다.] 그의 이런 행보는 결국 왕씨 가문의 세도와 지나친 유교 숭배로 [[왕망]]이라는 괴물을 탄생시키는 밑거름이 되었다는 평이 많다. 왕망은 원제의 황후인 [[효원황후 왕씨|효원황후]]의 조카였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왕소군]]은 원래 이 황제의 치세 때 궁녀로 있었다. 아들로 [[성제(전한)|성제]], 정도왕 유강, 중산효왕 유흥이 있었으나, 성제의 아들들은 어려서 효성황후 조비연에게 살해당해 장성하지 못했고 정도왕의 외아들 [[애제(전한)|애제]]와 중산효왕의 외아들 [[평제]] 모두 아들이 없어 후손이 끊겼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원제,version=30)] [[분류:한나라의 황제]] [[분류:기원전 75년 출생]] [[분류:기원전 33년 사망]][[분류:역대제왕묘 배향자]][[분류:시안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