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작가]]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팟캐스트 진행자, 과학기술 커뮤니케이터, SF소설가, 작가, 뮤지션(기타리스트), ~~이론격투가~~ '[[파토]]'(원종우의 생일은 성 패트릭 데이다. 그래서 영어이름을 패트릭이라고 지었는데 유학시절 알고 지낸 일본인 여성이 패트릭을 일본식 발음으로 앞부분만 따서 파토~ 파토짱~ 으로 불렀고 마침 딴지일보에서 사용할 필명을 무엇으로 할까 고민하던 중 '파토'로 하기로 했다고한다.출처 [[https://www.youtube.com/live/-rq2uPDtZQk?feature=share]])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0년 기준 과학 전문 팟캐스트 [[파토의 과학하고 앉아있네]]를 운영중이다. 동명의 유튜브채널을 운영중이다. . 2023년 4월 26일 유튜브구독자 9.23만에서 결국 대대적 축소 개편을 하기로 단행했다. 팟캐에서만 듣던 사람들은 아무차이가 없을것이다. 단, 유튜브 영상 퀄리티는 녹음하는 현장 영상수준이 될것이다. == 약력 == 20대 때 철학을 전공하다가 인디레이블 운동을 주창하면서 1995년 [[원맨 밴드]] <[[http://www.maniadb.com/album/100325|Bad Taste]]>을 발표하면서 록뮤지션으로 데뷔하였다. 이 음반은 소위 [[인디 음악|홍대 인디 음악]]의 출발로 여겨진다. 그 뒤 여러장의 음반을 발표하였고, 음악평론가로도 활동하였다. 영국에서 기타연주를 전공하고 돌아와 1999년 [[딴지일보]]에 합류, 음악, 문화, 역사, 과학 등의 주제로 수백 편의 글을 썼다. 특히 [[스타트렉]]을 집중적으로 소개하면서 국내의 대표적인 [[트레키]](스타트렉 덕후)로 알려지게 된다. 2008년 SBS 창사특집 다큐멘터리 <코난의 시대> 작가로 휴스턴 영화제 대상을 받았다. 2013년 '[[https://www.sciencepeople.co.kr/|과학과 사람들]]'이라는 과학 커뮤니케이션 회사를 창업한 후에 '[[파토의 과학하고 앉아있네]]' 라는 [[과학]] 전문 [[팟캐스트]]를 이끌고 있다. 그외에 벙커원에서 하는 공개 토크쇼 '과학같은 소리하네', 김어준의 <뉴스공장> 과학 코너도 진행하고 있으며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를 역임했다. 2017년부터 현재까지 [[본게임]]에 출연하고있다. == 기타 == 어릴 적부터 [[외계인]]이나 관련 [[음모론]]에 대해 관심이 많았으며, 해당 분야의 전문가라고 자부한다. 물론 과학 커뮤니케이터로 활동하는 지금은 재미삼아 음모론 썰을 풀면서, 해당 음모론의 비과학적 요소를 지적하고 분쇄하는 데에 열중하는 중. 최근엔 유튜브 채널도 개설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_LO0RU54AgRBOqGiMYGIlg/videos|과학과 사람들]] == 저서 == '''・구라 논픽션 외계문명과 인류의 비밀(2011)''' 2010년에 딴지일보에 연재한 시리즈를 모은 것으로 과학적 증거들을 가지고 상상력--과대 뻥튀기--을 부풀려 태양계의 고대 전쟁사를 추측한 것, 논리적 비약이 심한데도 불구하고 믿게 만드는 저자의 필력이 압권. '''・조금은 삐딱한 세계사 유럽편--그 후 후속작이 나오지 않고 있다--(2012)''' 딴지관광청(현 노매드21)에 '파토의 유럽 이야기'라는 이름으로 약 5년 동안 연재된 내용을 보완하고 정리한 책으로 흔히 알려진 역사적 사실에 물음표를 던지는 책 '''・태양계 연대기(2014)''' 구라논픽션 외계문명과 인류의 비밀에 내용을 보강하여 개정한 책. 자작 단편 SF 소설 '기나긴 노을: 행성 Z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2019년에 2차 개정판이 나왔다. '''・파토의 호모사이언티피쿠스(2014)''' 현대과학, 인문학, SF를 통섭하는 과학 에세이. 세 편의 자작 SF 단편 소설이 실려있다. 현재 절판 상태. '''・과학하고 앉아있네 시리즈(2015~2018, 공저)''' 팟캐스트 '과학하고 앉아있네' 시리즈를 책으로 엮은 시리즈. 총 10권으로 각 권마다 한 회차씩 10개의 회차가 실려 있다. '''・정치가의 연애(2015, 공저)''' 나폴레옹, 히틀러 등의 사랑에 대해 정치가의 삶을 되돌아 보는 에세이집. 원종우가 다룬 부분은 나폴레옹과 조세핀. '''・호모 사피엔스 씨의 위험한 고민(2015, 공저)''' 과학기술과 그 사회적 위험, 그리고 책임에 대하여 경종을 울리는 책. '''・희망을 통찰하다(2016, 공저)''' 성공회 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진행한 '매스컴 특강'을 모은 것. 원종우는 '우리는 왜 사는가'라는 주제로 강의했다. '''・한국 창작 SF의 거의 모든 것(2016, 공저)''' 한국 창작 SF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볼 수 있는 책으로 18명의 작가 및 전문가들의 글을 모은 책. '''・나는 슈뢰딩거의 고양이로소이다(2019)''' 자작 SF 단편소설집, 표제작을 비롯해 8편의 작품을 모았다. 각 소설의 앞과 뒤에 해당 작품을 읽기 전에 알아 두면 도움이 될 수 있는 과학 지식과 작품의 배경 등을 친절하게 설명해 두었다. '''・엉뚱하지만 과학입니다1(2022, 공저)''' 어린이를 위한 생활과학책. == 자작 SF 소설 작품 == '''・20년 전후'''[* 오 헨리의 소설 20년 후를 SF적인 설정으로 개작한 것이다.] 저서 <파토의 호모 사이언티피쿠스>에 수록 '''・고대의 실험''' 저서 <파토의 호모 사이언티피쿠스>에 수록 '''・30초''' 저서 <파토의 호모 사이언티피쿠스>에 수록 '''・기나긴 노을: 행성 Z의 이야기''' 저서 <태양계 연대기>에 수기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 저서 <나는 슈뢰딩거의 고양이로소이다>에 수록 '''・세대 차이''' 저서 <나는 슈뢰딩거의 고양이로소이다>에 수록 '''・나는 슈뢰딩거의 고양이로소이다''' 저서 <나는 슈뢰딩거의 고양이로소이다>에 수록 '''・유로피언''' 저서 <나는 슈뢰딩거의 고양이로소이다>에 수록 '''・인형들의 천국''' 저서 <나는 슈뢰딩거의 고양이로소이다>에 수록 '''・튜링 히어로''' 저서 <나는 슈뢰딩거의 고양이로소이다>에 수록 '''・산타 신디게이트''' 저서 <나는 슈뢰딩거의 고양이로소이다>에 수록